•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반려동물 연관산업 발전 방향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18-121)

도그쇼 활성화가 미흡하고 반려동물 관련 전문가도 크게 부족한 상황임.

▶반려동물 미용서비스업, 애견카페, 애견호텔, 애견유치원 등 신규 업종에 대한 시설 및 인력기준 등 관리 기준이 미흡함.

반려동물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국민들은 반려동물의 상업적 대량생산에 대해 대부분 반대(82.1%) 의사를 나타냄. 반려동물 배설 물 부적절 처리에 대한 처벌(95.4%)과 유기 및 학대 관련 처벌을 강화(93.5%)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남.

▶반려동물 소유자의 책임의식을 높이기 위해 반려동물을 키울 경우 일정수준의 교육이수를 의무화 하는 것에 대해 83.4%가 찬성함.

반려동물 사료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향

▶반려동물 소유자들은 유기농원료를 사용한 사료에 대해 ㎏당 7,253원을, 알러지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사료에 대해 5,868원을, 국내산 원료를 사용한 사료에 대해 2,386원을 더 지불할 의향이 있 는 것으로 분석됨.

▶이러한 반려동물 소유자들의 특성과 선호를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료를 개발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원료의 주성분이 육류인 사료에 지불의향이 높게 나타나 고급 사료 개발이 필요하 며, 이를 위해 국내산 고급 육류 사료원료의 공급체계 구축이 필요함.

반려동물 연관산업 발전 방향

▶본 연구는 반려동물 및 연관산업의 발전을 위한 핵심목표를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과 건전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으로 설정함.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을 위해 반려동물의 생산, 분양, 사육과정에서 동물복지를 확대하고, 반 려동물을 기르는 시민의 보다 성숙한 의식과 문화를 고취할 필요가 있음.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련 법을 제정함으로써 정부의 산업 보호 및 육성 체계를 갖추어야 함.

이를 통해 반려동물 연관산업이 가지고 있는 현안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반려동물 연관산업 발전 방향>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과 건전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건강한 반려동물 생산 분양 및 유통관리

동물등록제 확대 펫티켓·맹견 관리 강화 핵심목표

국민과 반려동물의 행복 증진

동물복지·반려문화

반려동물 사료법 제정 국산원료 공급체계 구축 국산사료 경쟁력 강화

사료산업

민간자격증 관리 강화 도그쇼 활성화 서비스 인력 양성

서비스산업 표준 의료수가제 도입

동물간호복지사 제도 반려동물 보험 활성화

수의·보건

제도 정비

반려동물 보호·관리 및 연관산업 발전에 관한 법령제정 반려동물 관련 기초 통계 구축

반려동물 전담 기관 설립

<요약 및 시사점 1>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 방안

▶건강한 반려동물 생산을 위해 생산과 분양, 유통의 관리를 강화해야 하며, 유기동물을 줄이고 보험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동물등록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또한 반려동물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서 는 펫티켓에 대한 교육과 맹견에 대한 관리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요약 및 시사점 2> 건전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방안

▶반려동물 연관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는 사료산업 발전을 위한 반려동물 사료법 제정, 국산원료 공급체계 구축을 통한 국산사료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함.

▶수의·보건 산업은 표준 의료수가제 도입, 동물간호복지사 도입, 보험활성화가 필요함.

▶기타 서비스 산업은 민간자격증 관리, 도그쇼 활성화, 서비스 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 구축이 필요함.

<요약 및 시사점 3> 건전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방안

▶반려동물 연관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각 산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 해 우선적으로 「반려동물 보호·관리 및 연간산업 발전에 관한 법령」과 「반려동물 사료관리법」을 제 정할 필요가 있음. 법을 통해 관련 기초통계를 구축하고, 전담기관을 설립하는 등 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인 틀을 우선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음.

지인배 연구위원 TEL_061-820-2132 Email_jiinbae@krei.re.kr 김현중 전문연구원 TEL_061-820-2021 Email_kim1025@krei.re.kr 김원태 전문연구원 TEL_061-820-2245 Email_wtkim@krei.re.kr 서강철 연구원 TEL_061-820-2257 Email_softvalue@krei.re.kr

연구 관련 문의

수입곡물 가공 산업의 구조 및 시장성과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18-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