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교육효과 분석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49-152)

농가경영안정장치 중 하나인 수입보장보험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보험사고의 우연성 확보, 개별농가의 농 업수입 확인, 보험인수 심의 및 요율 산출을 위한 정보축적이 필요하나 현재 제도도입을 위한 여건이 미흡 한 실정임.

따라서 보장방식은 수확량과 가격을 곱한 조수입을 보장하는 형태로 운영하되 도입 초기의 상품방식은 지 역단위 수입보험 방식으로 운영하고, 시간이 지나 개별 농가의 수확량 자료가 축적될 경우 농가단위 수입 보험으로 전환하는 것이 적절한 방향으로 판단됨.

▶두 번째, 농가 간 형평성 완화의 방안으로 소농직불제 도입이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 해당 직불제 를 시행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 그 목적이 형평성 완화보다는 모니터링 비용절감의 목적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됨.

현재 직불금 지급의 형평성 완화가능성에 대해 일괄지급방식의 소농직불은 도움이 되지만 나머지 방식의 소농직불(면적에 비례, 의무이행사항 없음)은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모니터링 비용 측면에서는 소농직불 도입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함.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교육효과 분석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지 및 그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직불제 개편 의 매우 중요한 과제임.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도는 높지 않고 그에 대한 추가 납세 반대비율도 상당히 높

은 수준임. 이에 농지관리직불의 시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와 그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방안이 필요함. 따라서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교육 활동이 다원적 기능에 대한 지불의사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

이를 위해 소비자들의 쌀 구매 상황을 상정하여 선택실험법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파 라미터로짓모델(Random Parameter Logit Model)을 이용하여 지불의사 금액을 추정함.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보전하기 위한 추가세금부담 의향>

다원적 기능의 확보를 위한 추가 세금 납부 의향에 대한 분석 결과,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교육을 받은 집단 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추가 세금 부담의향을 보임.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농업·농촌이 수행하고 있는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교육은 해당 기능에 대 한 대국민 홍보 역할뿐만 아니라 현행 직불제예산 집행에 대한 국민들의 거부감까지 완화시킬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됨.

김태훈 연구위원 TEL_061-820-2174 Email_taehun@krei.re.kr 김선웅 부연구위원 TEL_061-820-2386 Email_think2829@krei.re.kr 김종인 부연구위원 TEL_061-820-2360 Email_jongin@krei.re.kr 박지연 연구원 TEL_061-820-2136 Email_jiyeonparkgj@krei.re.kr

연구 관련 문의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49-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