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1/2차년도)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33-136)

우리나라 농촌은 다문화가족 및 귀농·귀촌인의 증가, 인구의 초고령화, 양극화 심화, 가족 및 지역공동체의 기능 약화, 도농 간의 사회경제적 격차 확대 등으로 인해서 사회적 갈등과 배제(박탈)를 겪는 계층이 계속 증가하고 있 음. 현재 우리 농촌사회가 겪고 있는 이러한 문제는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 는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를 심층 조사하고, 관련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농촌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정책 기본 방향은 포용적 복지정책 확대,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강화, 농촌주민 의 사회경제적 특성별로 차별화된 사회통합 정책 추진으로 설정하고 이에 관련된 주요 정책 개선방안을 경제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정치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음.

연구 배경

▶농촌 지역은 다문화가족 및 귀농·귀촌인의 증가 등으로 주민 구성원들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가 치관·생활양식 차이, 이해관계 등으로 인한 분쟁과 갈등이 증가하고 있음.

▶사회통합 약화 징표인 자살률 또한 도시에 비해 약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 고용, 건강, 주거, 사회참여 등의 부문에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

▶최근 사회통합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나 조사, 의제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를 직접 조사·연구한 선행연구는 없음.

▶따라서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농 촌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연구의 세부목적은 ① 농촌 사회통합 실태를 주요 영역별로 파악하고, ② 농촌주민의 사회통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③ 농촌 사회통합 관련 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외의 모범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④ 우리나라 농촌의 사회통합 증 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연구 방법

▶연구 문제를 다음 다섯 가지로 설정함.

① ‘우리나라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는 주요 영역별(경제, 사회·문화, 정치)로 차별성을 나타내는가?’

② ‘농촌주민의 사회통합 인식 수준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③ ‘농촌주민의 사회통합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④ ‘우리나라의 농촌 사회통합 관련 정책들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농촌 사회통합 관련 국내외의 모범사례 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⑤ ‘농촌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FGI), 해외 출장조사, 협동연구, 전문가 의견수렴 등임.

▶농촌 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정책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자료와 통계자료를 수집·분석 함. 또한 보다 상세히 농촌 사회통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응답자 810명), 조사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농촌주민의 사회통합 인식 영향요인을 분석함.

설문조사 내용은 경제활동 및 소득, 사회적 소통, 사회갈등, 사회적 자본과 사회 참여, 사회포용,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경험 및 향후 이용 의사, 문화·여가, 정치 참여, 복지 및 삶의 질 만족도, 사회통합 인식 및 정 부 건의사항, 응답자의 기본적 특성 등으로 구성됨.

SPSS 20.0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결과의 빈도 및 평균 분석, 교차표 분석, 평균차 검증(t-test, F검증), 다 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함.

▶3개 지역(전남 해남군 현산면, 경남 창녕군 창녕읍, 전북 진안군 마령면)에서 초점집단면접(FGI) 을 실시함. 사회통합의 정의와 구성요소, 핵심 이슈와 지표, 우선 통합이 필요한 집단이나 계층, 사회통합 저해요인, 지역 내 사회통합 성공·실패사례, 사회통합 촉진을 위한 중앙정부·지방자치 단체·농촌주민·농촌주민조직·마을·기타 민간단체의 역할 등에 관하여 논의함.

▶일본 고치현을 방문하여 사회통합 관련 정책 및 지역 모범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 구원과의 협동연구로 “사회통합 실태의 도·농간 비교분석”을 추진함.

▶농촌 사회통합의 구성요인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분석틀은 다음과 같음.

<농촌의 사회통합 구성요인>

농촌의 사회통합

사회포용

경제적 포용 사회문화적 포용 정치적 포용

사회적 자본

신뢰 네트워크 규범

<농촌 사회통합의 실태조사 분석틀(1/2차년도)>

사회통합의 구성요인 사회통합의 영역 사회통합의 세부영역

사회포용

경제

·소득계층 인식 및 빈곤

·소득 양극화, 가구 경제상태 만족도

·경제적 박탈

·공적 연금 가입

사회문화

·포용 수준

·사회갈등

·문화·여가활동

·사회복지

정치 ·정치참여

·정부의 여건·노력

사회적 자본 사회문화

·신뢰

·네트워크

·규범

·사회적 자본 종합 종합적 측면의 사회통합

문서에서 2017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33-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