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절 대전시 밀도관리 방안

3. 밀도관리방안

1) 밀도적용 공간(지역) 유형

대전시 밀도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5개 밀도관리 요 소를 적절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표 5-2>에 제시된 것과 같 이, 5개 밀도관리 요소를 1차 공간구분요소, 2차 공간구분요소 그리고 3차 공간구 분요소로 구분한 뒤 적용토록 하였다.

1차 공간구분 요소보다 3차 공간구분 요소가 공간을 보다 구체화하고 있으며, 공 간구분 요소별 적용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간구분은 공간권역으로 내권과 외권으로 구분한다. 두 번째 공간구분은 쇠퇴권과 거점권으로 구분한다.

세 번째 공간구분은 기반권과 역세권으로 구분한다.

<표 5-2> 밀도적용을 위한 공간구분

요 소 공 간 구 분 비 고

1차

공간구분 ➊ 공간권 o 내권 § 고속도로 이내 권역 고밀도 적용 o 외권 § 외곽지역 저밀도 적용

2차 공간구분

➋ -1 쇠퇴권 o 쇠퇴권 § 쇠퇴지표에 근거한 쇠퇴지역 고밀도 적용 o 비쇠퇴권 § 기타지역 비쇠퇴지역은 저밀도 적용

➋ -2 거점권 o 거점권 § 도시공간구조상 2핵 10거점(상업지역 400m) 고 밀도 적용

o 비거점권 § 기타 지역 저밀도 적용

3차 공간구분

➌ -1 기반권 o 설치권 § 도시계획도로 광로 인접 150m 이내 고밀도 적용 o 비설치권 § 기타 지역 저밀도 적용

➌ -2 역세권 o 역세권 § 지하철역 반경 400m 이내 고밀도 적용

§ 고속철도역 800m 이내 고밀도 적용 o 비역세권 § 이외의 지역 비역세권으로 저밀도 적용

68

-2) 밀도적용 공간 구분

□ 1차 밀도권역 구분

1차 공간구분 요소로 설정한 공간권의 내권과 외권을 공간적으로 도식화하면 (그 림 5-9)와 같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공간권으로서 내권은 대전시 시가화지역을 위요하고 있는 경 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등 고속도로 내부권역을 의미한다.

(그림 5-9) 1차 권역구분

69

-□ 2차 밀도권역 구분 Ⅰ : 내권+쇠퇴권

1차 공간구분 요소로 설정한 공간권에, 2차 공간구분 요소인 쇠퇴권을 오버랩하 면 (그림 5-10)과 같다.

특히 대전시 도시재생전략계획(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쇠퇴지역(쇠퇴권)과 공간권 의 내권이 오버랩된 지역의 경우 고밀화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중구와 동구의 많은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 5-10) 2차 권역구분 1 : 내권 + 쇠퇴권

70

-□ 2차 밀도권역 구분 Ⅱ : 내권+거점권

1차 공간구분 요소로 설정한 공간권에, 2차 공간구분 요소인 거점권을 오버랩하 면 (그림 5-11)과 같다.

도시기본계획에서 거점으로 설정한 12개 지역에 위치한 상업지역 외곽 400m 이 내 지역은 대전시 공간구조상 고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이다. (그림 5-11) 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3개의 거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거점이 내권에 포함되 어 있다.

(그림 5-11) 2차 권역구분 1 : 내권 + 거점권

71

-□ 2차 밀도권역 구분 종합 : 내권+쇠퇴권+거점권

1차 공간구분 요소로 설정한 공간권에, 2차 공간구분 요소인 쇠퇴권과 거점권을 종합하여 오버랩하면 (그림 5-12)와 같다.

2차 밀도 권역에서 고밀도지역, 즉 권역이 중첩되는 지역은 내권 중에서 시가화 가 많이 진행된, 즉 기성시가지역으로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고밀화하는 방안을 모 색할 필요가 있다.

(그림 5-12) 2차 권역구분 종합

72

-□ 3차 밀도권역 구분 Ⅰ : 2차 밀도권역 + 기반시설 설치권

2차 밀도권역으로 도출한 (그림 5-12) 권역에, 3차 공간구분 요소인 기반시설 설 치권을 중첩하여 도식화하면 (그림 5-13)과 같다.

2차 밀도권역에 도시계획도로 중 광로를 기준으로 150m 버퍼링한 공간 즉 기반 시설 설치권은 기반시설이 어느 정도 설치 또는 계획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다른 지역에 비해 고밀화가 가능하다. (그림 5-1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기반시 설 설치권 역시 내권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그림 5-13) 2차 밀도권역 + 기반시설 설치권

73

-□ 3차 밀도 권역구분 : 2차 밀도권역 + 역세권

2차 밀도권역으로 도출한 (그림 5-12) 권역에, 3차 공간구분 요소인 역세권을 중 첩하여 도식화하면 (그림 5-14)와 같다.

2차 밀도권역에 지하철역의 경우 400m, 고속철도역인 대전역과 서대전역의 경우 800m를 기준으로 버퍼링한 공간은 기반시설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으로, 이들 지역 은 다른 지역(비역세권지역)에 비해 고밀적 개발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공간이다.

(그림 5-14) 2차 밀도권역 + 역세권

74

-□ 3차 밀도권역 구분 종합 : 2차 밀도권역 + 기반시설 설치권 + 역세권

2차 밀도권역에 3차 공간구분 요소인 기반권과 역세권을 종합하여 공간적으로 도식화하면 (그림 5-15)와 같다.

3차 밀도권역인 (그림 5-15)를 살펴보면, 공간적으로 시가화지역인 둔산 및 원도 심권역 중 기반시설이 설치 및 계획되어 있는 지역으로, 대전시 밀도관리방안을 미 련할 경우, 이들 지역에 대한 고밀화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5-15) 3차 권역구분 종합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