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2절 계획적 측면 :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고찰

1. 도시공간구조

□ 도시공간구조 대안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에서는 (그림 3-2)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2030년 대전시 도시공간구조를 도시철도 역세권 및 버스정류장 중심으로 설정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공간구조의 장점은 TOD를 중심으로 한 거점과 생활권 중심을 구분 하여, 도시공간구조 이원화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림 3-2)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 공간구조 개념도

출처 : 대전시(2013), p.62

30

-□ 도시공간구조 설정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대안에 기초하여,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에서는 (그림 3-3)과 같은 2핵 10지역 거점 13생활권 중심 체계를 구상하고 있다.

§ 2핵 : 둔산, 원도심

§ 10지역 거점 : 유성, 진잠, 신탄진, 노은, 도안, 용문, 중리, 오류, 관평, 가오

§ 13생활권 중심 : 관저, 낭월, 내(변), 도룡, 송촌, 신동, 연축, 오정, 용전, 유 천, 판암, 학하, 도마

(그림 3-3) 2030년 대전시 공간구조 구상

출처 : 대전시(2013), p.63

31

-2. 토지이용계획

□ 현황 및 문제점

대전도시기본계획에서는 대전시 토지이용의 현황 및 문제점을 (그림 3-4)와 같이, 토지이용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지역간 격차 발생, 기성시가지 공동화 현상, 원도 심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고려 미흡, 비효율적 토지이용 발생, 도시주변 환경 및 녹지공간의 훼손, 철도 및 하천으로 인한 토지이용의 단절 발생, 토지이용계획이 도시정책으로서 기능 미흡 등 7가지로 진단하고 있다.

(그림 3-4) 토지이용계획 현황 및 문제점

출처 : 대전시(2013), p.63

32

-□ 여건 변화 전망 및 토지이용구상

대전도시기본계획에서는 향후 대전시에 토지이용 패러다임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도래 및 1∼2인 가구의 증가, 주변도시 여건변화에 따른 대전시의 기능 및 역할의 변화, 기성시가지의 생활환경에 대한 질적 개선 요구 증대, 도시 내 역사적 가치의 재조명, 도시철도 노선 확장으로 인한 복합역세권 지역의 등장 등과 같은 여건변화 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토지이용구상은 (그림 3-5)와 같다.

(그림 3-5) 토지이용구상도

출처 : 대전시(2013), p.114

33

-3. 역세권 중심의 토지이용 복합화

□ 역세권의 다양한 기능부여 및 복합적 이용

-역세권 주변지역의 고밀복합개발을 통해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제고 -역세권과 연계한 복합·문화커뮤니티시설 계획

-역세권 주변의 커뮤니티센터가 낙후 및 쇠퇴한 기성시가지에 활력을 부여하고 재활성화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계획

□ 대중교통체계와 연계한 밀도관리계획 수립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하고, 기반시설이 갖추어진 역세권은 고밀개발로 지역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주변지역은 기반시설 여건에 따라 밀도 조정

-역세권을 중심으로 문화, 상업, 공공시설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지역중심 생활권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계획 수립

§ 지역중심 역세권 : 일반상업 및 준주거용지로 다양한 용도의 복합화 계획

§ 근린중심 역세권 : 근린상업 및 주거용지의 용도복합계획(지역중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저밀의 개발 용적률 적용)

[역세권 개발개념] [고밀복합개발개념]

(그림 3-6) 역세권 개발개념

출처 : 대전시(2013), pp.130-131

34 총 계 556.72 557.30 555.69 494.95 494.95 495.25

주거 지역

소계 51.93 56.27 63.55 69.40 70.30 70.15 전용주거(소계) - - 0.03 0.24 0.29 0.30

소계 7.70 13.33 14.87 14.34 14.07 14.44

전용 - - - - -

-일반 - 11.46 12.95 11.60 10.72 11.07 준공업 - 1.87 1.92 2.74 3.35 3.36 녹지

지역

소계 489.37 471.85 469.68 402.89 401.76 401.80

보전 - - 0.09 0.08 0.08 0.08

자연 478.53 471.85 461.32 396.72 395.67 395.72 생산 10.84 9.68 8.27 6.08 5.99 5.99 출처 : 1990년∼2000년은 대전통계연보, 2005년∼2014년은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건설·주택·토지-도시계획현황, 「지역·지구·구역현황-용도구역」 자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