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민관협력은 성장하고 있는

문서에서 517691103 2017년 10월호 (페이지 68-72)

호주 전역의 교외지역

학교 설립이나

신규 커뮤니티 시설을

공급하는 데 널리

적용됩니다.

means they may have little funding for local swimming pools and recreational halls. They are unlikely to be able to respond to new challenges such as provision of public wifi networks and digital infrastructure that are increasingly important to encourage economic activities and to enable their citizens and residents to be digitally included. In a place like the City of Melbourne, the challenges are around densifi cation - how you provide amenity and social infrastructure for a rapidly growing population. Population is increasingly housed in high-rise buildings. Those buildings are approved at a state government level. Buildings higher than ten storeys are state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planning approval. However, local governments identify and respond to problems created by poor planning decisions at other levels of governments. In addition to physical infrastructure, decisions around withdrawals and support for newly arrived communities in Australia are social challenges that the local governments are very aware of.

Local government jurisdictions have the greatest proportion of their assets in physical form, which means a lot of buildings, but they do not have much money due to lack of a sound tax base. They are dependent on higher-level governments to provide funding that they need in addition to rates from their residents. Most Australian local authorities are fi scally very poor.

Kim When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demand for community infrastructure is likely very high with lack of fi nance and funds.

McShane It is a big constraint and there have been responses to that. One response was to move forward to a different procurement model such as Public Private Partnerships. A PPP is a model widely used across Australia for the provision of new schools and new community facilities in newly growing suburban areas. There has been a development charge or development offset associated with new building development – particularly high-rise development. Governments are now reluctant to approve new development projects unless developers provide or fund community facilities. However, one of the policy problems is the tendency of Australian governments to sell urban land when they think it is no longer required. School sites are classic examples. In some suburban areas, local schools are being closed as school enrolments dropped. The government says we don’t need the schools anymore. However, in rapidly growing areas, there is no land to be able to acquire land cheaply to provide infrastructure and amenity for new residents.

Kim That is very relevant to the Korean context as well because Korean society is aging with very lower fertility rates. In particular, regional areas no longer need schools requiring new

을 높일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시설 건물을 공유함으로써 환경적인 장점도 찾을 수 있습니다. 호 주에서 여전히 부족한 것은 통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교육은 사회적인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의무교육 이후에 많은 사람들 이 교육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자리는 우리가 사는 동안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술은 변화하고 있고 호주는 이민자 국가입니다. 호주로 오기 이전에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 은 사람들도 많습니다. 평생교육에 대한 신규 수요가 존재하는 것이지요. 학교부지를 단순한 학 교건물이 있는 땅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학교부지는 평생교육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 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학교부지에는 커뮤니티센터 및 커뮤니티시설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교 내 공공 도서관이 일반적인 모델이지요. 하지만 종종 갈등이 있긴 합니다. 호주에서 학교 는 지방정부가 아닌 주정부에 의해 공급됩니다. 일반적으로 주정부와 학교 교장이 학교부지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습니다. 학교와 교육부지, 그리고 나머지 주변 지역이 긴밀하고 유기적인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주 흥미로운 접근입니다. 학교는 필수시설인데 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는 지역 공동체의 결 정에 달려 있겠네요. 이는 호주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좋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 다. 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하고 싶은데요. 학교는 단순한 학교 교육을 위한 장소 이상의 의미 를 갖고 있는 듯합니다. 의무교육을 넘어서서 학교가 도시 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요?

맥셰인 런던계획을 제안했던 영국의 계획가 패트릭 아버크롬비가 1940년에 호주를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지역계획의 세 가지 주요 요소 중 하나로 학교에 대한 확고한 생각을 가지고 있 었습니다. 그는 학교를 단순히 교육하는 곳만이 아닌 중요한 사회적 공간으로 생각했습니다. 어 느 정도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보통 초등학교 하나는 5천여 명의 주민들 을 상대합니다. 학부모 사이에, 학부모와 교사 사이에 작은 규모의 유기적이면서도 비공식적인 사회적 교류활동이 형성됩니다. 학교부지에서 방과 후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서비스 공급을 확 대하려고 합니다. 특히 여가시설을 위한 것이지요. 하지만 주말에 학교는 보통 비어 있습니다.

이게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책 및 계획, 그리고 조직화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저는 물리 적 · 환경적 ·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학교를 생각해 봅니다. 이 시설들을 훨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교는 친환경적이어야 한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학교부지는 우리가 훨씬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입니다. 학교 운동장은 환경적인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밀도시 지역 내 에서는 중요한 녹색공간입니다. 당연히 서식지 및 지역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줄 수 있습 니다. 호주 내의 학교들 특히 빅토리아주 내에는 디지털 기반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습니다. 하 지만 주변 지역은 그렇지 않습니다. 스마트시티 내에서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어디에서나 인터

strategies on how to make use of old school sites. Do you have any implications from Australian experience?

McShane Canada is a good example of providing shared facilities and co-located facilities which are often anchored around school sites. Australia has developed early childhood facilities and health facilities located in the school sites.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related services such as childcare centres, child health service centres, pre-schools, and primary schools. There are some efficiencies around this co-location, making more efficient use of land. Possibly environmental benefi ts can be found around shared building services. What we have not been able to do well in Australia is integration. In broad education terms, learning should be seen as a social goal. After the years of compulsory education, many still think that learning does not happen anymore. Our careers are changing rapidly throughout our lives. Technologies are changing, and Australia is a high migration country. There are new communities moving in who might not have much schooling prior to their arrival. There is new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in education. We need to think about these sites not simply as school sites. We need to be able to adapt the sites to meet life-long education needs. There are community centres and community facilities on school sites. The shared school-public library is a common model. However, there is also tension at times. In Australia, schools are provided at a state government level, not a local government level. Generally, state government and school principals have power of decision making over the sites. We need to get much better about more organic, integrated connections between schools, educational sites, the rest of neighbourhood and the town.

Kim That is a very interesting approach because a school is necessary and how to make use of school can be a collective decision in the community which will be good implications to Australia and beyond. I would like to continue the topic about schools. Probably, this is more than just sites for schooling. Beyond compulsory education, what does school mean in the cities?

McShane An English planner, Patrick Abercrombie, who produced the famous London plan, came to Australia in the 1940s. He was very fi rm on the idea of schools as one of the three pillars of local planning. He thought schools were very important social sites, not simply education sites. To a certain degree, that happens. Australian primary schools generally service about 5000 residents. So, it is quite small scale with organic, informal social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re has been tendency to expand services and infrastructure provision in school sites using schools out of class hours, particularly for recreational facilities.

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학교가 공공 인터넷을 공급하고 인터넷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공공 도서관이 호주 내 주요한 무료 인터넷 공급자이지만 호주의 디지털 · 인터넷 정책은 민간시장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 인터넷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교나 공공 도서관이 이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도 교육과정 내에서 도시문제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는 교육 을 위한 장소이지만 도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교과서입니다. 미국 버클리 대학의 도시 및 학교 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아주 좋은 모델이 있습니다. 교육과정 전체가 학생들이 도시문제를 이 해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의사결정구조, 자연자원 문제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 등과 같 은 것들이지요. 그 아이들의 도시이기 때문입니다.

박사님의 최근 연구에서 비제도권 교육(informal education) 을 언급하셨는데요. 비제도권 교육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맥셰인 비제도권 교육은 통상 학교 또는 대학과 같은 의무교육 또는 공식기관 이외의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지요. 지역 내 도서관에서 북클 럽이 될 수도 있고요(호주에서는 흔한 일입니다). 또는 비공식 적인 환경에서 구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인 교육과정도 이 에 해당합니다. 좀 더 일상적인 환경에서 주변이웃이나 지방 정부 프로그램에서 얻을 수 있는 배움일 수도 있습니다. 일반 적으로 이것은 스스로 구성하고 스스로 지도하는 배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미래 사회에서 사회적 배움 의 중요성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박사님의 최근 연구에서는 무선인터넷과 같은 기술개발과 도시개발 문제를 다루셨는데요.

신기술이 우리의 미래 도시를 어떻게 만들어갈까요?

맥셰인 지금 우리는 몇몇 평론가들이 말하듯 컴퓨팅 3세대에 진입을 하고 있습니다. 1세대는 1995년 정도부터 시작된 유선 커넥션과 인터넷 접속, 컴퓨터 터미널의 개발과 관련된 것입니다.

2세대는 무선인터넷, 무선 통화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사물인터넷(IoT)과 센서 네트워크 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와 컴퓨팅의 개발은 도시서비스와 도시관리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어떻게 도시와 소통할지 또는 어떻게 우리가 관리되는지에 관한 것이 지요. 지금은 사람의 간섭 없이 인터넷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고 자료를 모으는 장치와 센서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예측 가능한 의사결정, 빅데이터, 도시분석, 교통, 이동성, 안전

학생들도

문서에서 517691103 2017년 10월호 (페이지 6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