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술교육의 본질 및 교육과정

문서에서 Ⅰ . 서론 (페이지 25-42)

Ⅲ. 중학교 미술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

1. 미술교육의 본질 및 교육과정

1) 미술교육의 의미

미술교육에 대한 이념이나 본질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또는 논자에 따라 다양하 게 논의되고 있는데, 이들 다채로운 주장을 종합해 보면 결국은 조화 있는 예술 교

육이라고 묶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조화 있는 예술이란 교육을 수식하는 제2차원적 기능을 갖은것으로써 조화로운 인간 형성을 위한 수단의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33 )

교육이 전인으로서의 인간 형성의 과정으로 개개인의 지적, 정서적, 도덕적인 제 반 영역에서 조화로운 성장 발달을 가하기 위한 작용으로 볼 때, 미술교육의 의미 는 미술 활동을 통해 미적 인간을 육성함으로 궁극적으로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인 간을 형성하는데 그 의미가 있는 것이다.

미술이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시각적 표현을 통해 조형 문화의 세계로 창조 발전시키는 예술의 한 영역으로서, 그 본질에서 강조되는 것은 미술의 형식적인 조 형성과 미술의 창의성, 그리고 미술의 감상인 정서성이다.34 ) 이 중 조형성은 미술만 이 갖는 질서로서의 특성이며 창의성과 정서성은 예술에서 공통적으로 가지게 되는 특성이다.

조형성은 미술 행위의 기본으로 형태를 낳는 필연적 행위로, 조형요소를 구성하 여 형태를 만드는데 있어 재료나 용구를 다루는 기능과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이 함 께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술교육은 이러한 조형적인 활동을 통해 미의식 을 심화하고 미적 감동을 느끼게 하며 조형의 질서를 알게 해 준다.

창의성은 잠재적인 감성을 최대한 밖으로 표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창조적 인 활동은 사람마다의 독창성 및 풍부한 상상력을 형태화하는 표현과 결합되어 이 루어진다. 따라서 창조에는 개인의 감정과 사고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점에서 개 성의 신장과도 연결 지을 수 있다. 미술은 수동적인 수용활동이 아닌 자신을 표현 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표현 활동으로 미술활동 그 자체가 창조성을 지니고 있는 것 이다.

정서성은 미적인 체험 활동을 통해서 길러지는데 아름다운 대상을 자주 접하는 것으로 미적 감정을 예민하고 풍부하게 하며 정서를 순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해준 다. 시각적 경험에 의하여 미적 정서를 기르고 미적 가치관을 확립하며, 나아가 원 만한 인간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술의 형식, 표현 및 감상은 교육의 중 심 개념인 인간 행동의 변화와 계획 등과의 영합을 위해서 미술 활동에서는 미술의 형식과 표현과 감상에 관련된 인지적인 지식을 갖도록 해야 하고 이들 조형 지식을

33) 정순모, 기능의 교육 : 예술 교육편, 배영사, 1972, p117 34) 교육부, 1994, p55

바탕으로 하는 표현과 감상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해서 미술의 경험을 통합해야 한 다.

이러한 미술교육의 의미는 각 시대 교육 사조의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하 게 제기되어 왔다.

첫째, 18세기 후반 신인문주의의 대두로 자유로운 전인 교육으로 미적 교육의 이 념이 부활되면서 G.E .Les sing , J . W . Goethe, J .C.Schiller 등에 의해 미적 교육론 이 제기 되었다. 이는 미적 활동 또는 미적 능력의 함양을 통해서 인간의 이상 상으로 서의 원만하고 조화적인 인격성, 즉 안전한 미적 덕성을 갖추게 하는 것을 교육의 이상으로 삼는 것으로 20세기에는 전 유럽과 미국에 확산되었다.

둘째, J .Ru skin , B. Morris 등에 의해 형성된 정서 교육론 은 감상이나 창작을 위 한 예술 자체의 교육이 아니라 예술 활동을 통한 인간 감정의 순화를 통해 정서를 기르는 효과를 기대한다.

셋째, 20세기초 독일의 A .Dresdner 등에 의해서 제기된 창조 교육론 은 인간의 정신적, 문화적 영역 가운데에서도 기본적으로 주체적, 창조적 의의를 지닌 예술을 통해 창조성을 발휘하여 인류 진화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것으로 기계와 기술에 의해 점차 상실되어 가는 인간의 창조성을 예술 교육에 의해 회복하려는 또 하나의 적극적인 예술 교육 사상이다.

넷째, 근대 이후 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세기 중엽 H .Nohl, H . Read 등에 의해서 창조성의 육성을 전제로 한 개성 교육론 제기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개성에 따른 자기 정립의 가장 유효한 수단인 예술을 통해서 자아나 개성의 고양을 기초로 하여 이의 표현을 충분히 달성함으로써 인간의 진정한 자아적 형성을 이룩 하자는 주장이다.

다섯째, 20세기중엽 생활 그 자체를 미화 또는 예술화하려는 적극적 노력 가운데 인간 교육이나 문화에 최고의 목적을 둔 생활 교육론 은 R.Pfenning , A . Whitehead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주로 바우하우스(Bauhau s )의 예술 정신을 계승함으로써 과 학 기술과 융합하고 창조적 생활의 즐거움을 통해 생활의 혁신, 건강하고 효율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70년 이후에는 감성적 직관, 미적 체험을 중시하는 감성 교육론 과 시각적 감수성의 체계적 훈련, 시지각의 중요성이 미술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2) 미술교육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즉 Curriculum이란 말은 라틴어의 Currere에서 비롯된 말로 달리는 것 자체를 뜻하기도 하지만, 경마장에서 말이 달리는 경쟁의 cour se, 진행로를 뜻한 다. 이 말이 교육에 적용되어 학생이 일정한 목표를 향해서 학습하는 진로 또는 내 용을 의미하게 되었다.35 )

교육과정이란 교육의 과정에서 그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선정해 서 어떻게 조직하여 가르칠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묶은 교육의 전체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의미는 논자의 견해에 따라 또는 시대나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를 대별하여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36 )

첫째 교과중심 교육과정 으로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 유산 중에서 적당한 교재를 선택하여 교과로 조직, 배열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즉 각 교과별로 학생을 교육해 가는 학습의 계열이다.

둘째, 1930년을 전후하여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그것이 바로 경험중심 교육 과정 이다. 이는 학교의 지도하에 학생에 의해 학습되는 모든 지식, 기능 및 학습자 에 의해 시행되는 경험과 활동을 체계적으로 배열해 놓은 교육 내용의 계획을 의미 한다.

셋째, 학문중심 교육과정 으로서 1950년대 지식과 기술의 폭발적인 증가와 소련 의 인공 위성 Sputunik의 최초 발사에 의한 충격으로 제시된 것이다. 이것은 학문 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각 교과의 지식의 구조를 밝혀 그 학문의 기본적인 개념 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원리를 지도하고자 한 것이다. 이 교육과정은 학문 탐구 과정의 조직이라 정의한다.

넷째, 1970년대 들어서 산업 사회의 부작용으로 나타난 인간 소외 현상이 심화됨 에 따라 새롭게 강조되기 시작한 것은 인간중심 교육과정 이다. 이것은 교육이 본 질적으로 인간의 인격을 도야하여야 한다는 교육의 본질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계속적인 평가, 교육 이론의 발전, 사회 여건 의 변화 등으로 1990년대에는 표현활동 및 감상을 통한 미적 정서와 창조성을 기르

35) 김원희, 교육과정론, 학문사, 1982, p21

36) 유봉호, 현대 교육과정, 교학 연구사, 1990, p10

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상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우선 선정된 교육 목적에 적합한 내용이 선정되어야 하고 그 내용에 결부될 수 있는 교육 경험이 선정되며, 선정된 교육 내용과 경험을 합리적으로 조직해서 그것을 기본으로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고 더불어 이를 평가하는 단계를 가진다. 결국 미적 경험을 통해 심미적 인간을 형성 하고 나아가 조화로운 인간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미술 교육과정은 미적 인간, 창의적 인간을 기르자는 목적에 따라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개개인의 개성과 성장 과정의 단계를 유기적으로 고려하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려는 종합적인 전체 계획인 것이다. 이러한 미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 관점 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37 )

첫째, 미술교육은 예술 교육적 관심을 취해야 한다. 흔히 예능 교육과 예술 교육 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능과 예술의 관점은 교육의 의도에 있어 약간 다 른 개념이다. 전자는 특수 기능을 기르겠다는 기능, 기술 중심이고, 후자는 미술가 적 품성을 기르겠다는 인간 교육의 관점이다. 따라서 미술 교육은 미술가나 미술 장인이 되기 위한 기능을 기르겠다는 것이 아니고, 미적 경험을 통해서 미술가적 품성이라고 볼 수 있는 미적 감수성, 정서, 창의성 따위의 소지를 기르자는 것이다.

둘째, 미술교육은 보통 교육적 관점을 취해야 한다. 미술가를 기르기 위한 전문 교육과 달리, 누구에게나 일반적인 내용을 가르치는 보통 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모든 사람에게 잠재하고 있는 예술가적 품성과 창의성을 기르자는 것이다.

셋째, 미술 교육론은 곧 예술 교육론으로서, 이것은 일반론의 한 부분이라는 입장 이기도 하지만 자립적인 교육의 기능을 갖는다. 이는 특정 교과는 그 발생적 성격 으로 볼 때 원래부터 일반 교육론과 합동의 관계에 있지 않다는 생각에서이다. 일

셋째, 미술 교육론은 곧 예술 교육론으로서, 이것은 일반론의 한 부분이라는 입장 이기도 하지만 자립적인 교육의 기능을 갖는다. 이는 특정 교과는 그 발생적 성격 으로 볼 때 원래부터 일반 교육론과 합동의 관계에 있지 않다는 생각에서이다. 일

문서에서 Ⅰ . 서론 (페이지 25-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