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Ⅰ . 서론 (페이지 71-74)

1. 결론

7차 교육과정에서 보여지듯 정보화 사회 적응력 함양 정보화 시대이다. 이러한 정보화 시대의 중심적 가치로 창조성을 강조한다.

디지털과 정보화 시대를 대비한 교육은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는 가치를 인식하고 미래 사회의 가변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건강하고, 자주적이며, 창조적이고 도 덕적인 인간을 기대하고 있다. 미술교육도 마찬가지로 조형 활동을 통해서 정서와 감성을 지닌 심미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전인 교육적인 측면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창의성 개발교육이나 정서교육이라는 미술교육의 본질과 너무 동떨어진 점이 많았다. 미적 가치를 지닌 작품 제작이라는 전통적 고정 관념에 사로 잡혀 모

두가 미술가로서의 재능을 키우는데 만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는 결국 변해 가는 현대사회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인간을 키우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좀더 새로움을 위해 기존의 틀을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 미술적 기교나 결과물의 우수함보다는 표현하는 과정을 중시하고, 창의성을 키우기 위하여 미술적 소재 선택이나 표현하는 재료와 방법 등에 변화와 자율성을 강조해야 한다. 좀 더 적극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해 새로운 미술 수업지도안을 개발해서 현장수업에 적용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오브제를 이용한 조소 학습을 통해서 미 술에 대한 열등감에서 벗어나게 하고, 융통성 있고 개방적인 수업의 운영을 유도하 고자 하였다. 수업에서 개별활동 및 조별 활동을 유도하고 오브제를 이용한 다양한 기법과 재료의 사용으로 창조적인 표현 활동과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하였다.

또한 오브제를 이용한 수업은 감상, 작품제작을 통하여 현대미술의 이해, 조형의 원리 사물에 대한 새로운 형상의 발견, 물성 체험, 환경교육 등의 교육적 효과를 얻 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오브제의 등 장과 개념 및 특성, 역사성과 조형성을 비교하였고 오브제 수업의 교육적 가치, 오 브제 수업의 학습지도 방법론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수업 과정에서는 토론 중심으로 보다 자유로운 제작을 통하여 수업 방법 을 개선해 보려고 노력하였다.

오브제의 활용은 교육적 측면에서 재료의 다양한 체험으로 기존의 미술 교과에서 느끼게 되는 재료의 한계성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재료에서의 해방은 미술에 있어 서 창의성 계발과 미적 감각을 신장시키며, 환경 보호 및 소비절약이라는 경제성도 추구하게 한다.

그러므로 오브제를 이용한 조소 학습지도는 오브제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알게 하고 다양한 표현기법과 소재의 활용으로 확산적 조형 의식을 갖게 할 수 있다. 재 료의 물성 체험과 감각은 미술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게 하고, 자유로운 발상 및 토 론을 통해 논리적 사고와 창의력을 고취하여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한다. 또한 일상 에서 얻은 오브제를 활용함으로써 환경 보호에도 커다란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 다.

그리고 현 중학교에서 조소 교육의 문제점은 설문조사를 통해 검토하고 바람직한

조소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교과서의 분석을 새로운 조소 교육의 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

2. 제언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기대하고자 한 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작품의 이해와 함께 작품 제작을 할 수 있으며 작품 제 작을 하여 성취감을 맛볼 수 있고,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물성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현대 미술의 개념의 이해와 다양한 재료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 져온다.

셋째, 조형 학습을 통해 새로운 조형성을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사물에 대한 고정된 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게 한다.

다섯째, 환경 교육과 자연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교육적 효과가 있었으나 미흡한 점도 있어 그 문제에 대해 좀 더 보 완하여 보다 더 좋은 수업이 되도록 지도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미술에 대한 수업을 한다고 해서 우리의 정서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 다.

둘째, 미술교육이라는 것은 궁극적으로 미적 체험의 결과인 작품 못지 않게 수업 과정에서 교육적인 효과를 얻는 수업이므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작품은 기대에 미 치지 못할 수도 있다.

셋째, 수업 진행에 있어서 시간적인 어려움과 여러 가지 준비과정에 교사의 성의 와 노력이 있어야함을 인식하고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넷째, 작품제작 후에는 전시가 필요한데 장소가 협소한 점은 아쉽게 생각된다. 작 품전시를 통해서 학생들이 감상하여 얻어지는 간접적인 교육적 효과도 크다.

본 연구는 기본적인 수업이며 바람직한 미술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개혁과 교육과정의 개선도 필요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끊임없는 연구, 즉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재료의 개발과 표현 제작 방법을 통해 보다 새롭고 창의 적인 수업만이 학생들의 욕구와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고 본다.

문서에서 Ⅰ . 서론 (페이지 71-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