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2)

2장 이론적 고찰

2.2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2.2.3 문화유적 관광지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생성된 문화상품 역시 세계에서 유일하기 때문 에 가치가 있고 중요하다. 따라서 문화유적 관광과 문화상품 산업은 그 나라의 문 화유적을 바탕으로 발전한 특수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화유적의 이미지를 창출해 다른 나라와 문화교류 및 국가홍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국가전체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며 더 나아가 많은 고용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다방면으로 파급효과와 연관효과가 큰 분야라고 여겨진다.

연물의 일부이다. 상징 기념품은 특정 지역의 상징적 기념물 또는 경관과 관련된 것으로 석가탑, 돌하르방, 프랑스 에펠탑 등의 미니어처를 예를 들 수 있다. 표상 기념품은 특정 시간과 장소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는 제조품으로 관광지 지명 또 는 로고가 새겨진 상품들을 예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 특산 기념품에는 지 방 고유의 전통이 담긴 상품으로 민속음식, 민속주, 전통의상 등을 예로 들 수 있 다.

이준화(2008)는 문화상품에 대해 문화유적 관광지의 문화와 전통을 상징하고 관 광지에서의 추억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역사와 전통 위에 현 시대를 반영 하는 상품으로 전통성과 현대성이 공존한다고25) 주장했다. 그리고 문화상품을 전통 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 문화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 도시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으로 구분하였다. 전통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은 역사적 상징물들이 오늘날 관광자원으로 이용된 것으로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전통적, 역사적 의미가 담긴 문 화상품으로 안동 하회탈, 베니스 가면, 제주도의 돌하르방을 축소하거나 변형한 제 품으로 예를 들었다. 문화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은 역사적 예술가, 인물 등 어떤 특정한 인물 자체를 상품화한 것으로 인물의 작품, 생활 등이 깃든 상품들이다. 마 지막으로 도시적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은 지역이나 국가를 상징하는 주제나 이미 지, 축제, 태마공원 등을 이용한 상품으로 지역이나 국가를 상징한다. 예를 들면 뉴 욕을 상징하는 ‘I♥NY’로고를 이용한 티셔츠, 열쇠고리 등 다양한 문화상품이다.

비안 지야(2019)는 국가나 지역의 고유한 역사, 문화 자원, 자연 환경 등을 활용 한 문화상품을 아트 복제품, 문구용품, 생활용품, 인테리어소품, 주방용품, 패션잡 화, 장신구, 도서, 악기, 특별전, 특화식품 등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처럼 선행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한 문화상품의 유형은 모두 관광지의 고 유한 문화와 역사의 이미지, 문화재나 문물의 문양, 전통을 활용한 디자인을 구분 하여 유형을 분류하거나 상품 품목별로 나눈 것이었다.

그리고 역사와 전통 위에 현 시대를 반영하는 상품으로 전통성과 현대성이 공존 한다26)는 이준화(2008)의 주장에 공감한다. 그러나 연구자는 문화유적 관광지에서

25) 이준화, Op.cit., p.12.

26) 이준화, Ibid.

문화유적의 이미지만 활용한 문화상품의 발전은 한정적이며 더 다양한 유형의 디 자인 문화상품이 출현되기 위해서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문화상품에 접목해야 한 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미지는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상 품을 매개로 전달되어지며, 상품은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와 기업의 아이덴 티티를 전달하게 된다.27)

이와 같이 로고, 폰트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즉,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문화유적 관광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예술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실체화 하는 시각기 호로 문화상품을 좀 더 현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표현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파악했다. 문화상품 아이덴티티의 ‘가시성’은 로고, 폰트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효과적으로 구현된다. 로고, 폰트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은 의미전달의 기능을 가진 시각기호이다. 구체적이건 추상적이건 로고, 폰트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을 매 개로 아이덴티티가 소비자에게 전달되어 인지되도록 하는 의미작용을 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문화상품 아이덴티티 정착을 위한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문화자산을 지속가능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아이덴티티 디자 인, 즉 로고, 폰트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은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다음 절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문화유적을 활용한 문화상품 사례를 살펴 보도록 한다.

27) BIAN ZIYA,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문화관광상품 패키지 디자인 연구-전통 문화의 현대화 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9, p.4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