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상품의 형성과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

2장 이론적 고찰

2.2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문화상품

2.2.2 문화상품의 형성과정

진 것을 의미한다.21) 현재 수 많은 국가들은 작게는 박물관 문화 창의 상품에서부 터 문화유적 관광지, 더 나아가 도시 아이덴티티를 기반한 도시문화 상품 등을 개 발함으로써 문화예술 아이덴티티를 전 세계에 홍보함과 동시에 상업적 가치를 창 출하고 있다. 선행연구 이준화(2008)는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기념품에 대해 다음 과 같이 주장했다.

“문화관광 대상에는 문화유산과 예술뿐만 아니라 도시의 문화환경 자체, 생활문화, 지역 의 역사와 민속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나 크게 역사나 문화 등에 기반을 둔 관광과 한 지역이나 도시의 특성에 기반을 둔 관광으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생략… 그 지역 이나 나라의 독특한 문화가 내제되어 있으므로 이는 관광지역에서 판매하는 제품에 그 지역이나 나라의 전통적 특성이나 도시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뜻한다. …생략… 문 화관광상품은 넓게 보면 모두 관광지의 문화와 전통을 상징하고 관광지에서의 추억을 상기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생략…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현 시대를 반영하므로 전통성과 현대성이 공존한다고 볼 수 있다.”22)

위와 같이 선행연구 이준화(2008)의 주장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문화상품을 ‘문 화유적 관광지의 고유성과 상징성, 문화·역사·지역적 요소를 함축한 상품으로 문화 유적 관광지를 대표하고 상징하여 그 상품들을 통해 다른 관광지와 차별성을 보여 주는 것으로 고객의 구매를 이끌 수 있고 이를 통해 홍보 및 기념할 수 있는 것’으 로 이해했다. 다음 <표-3>는 각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문화상품의 특성이다.

비안 지야(BIAN ZIYA, 2019)는 문화관광상품은 어느 지역이나 관광지의 문화 적 특징을 대표해야한다고 정의하였고 일반상품이 갖출 수 없는 문화성, 기념성, 독특성, 예술성 등의 특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민영(2006)과 고종원(2001)은 관광기념품의 특성을 실용성, 심미성, 상징성, 고 유성, 기념성으로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문화상품으로서 용도가 분명하고, 디자인

21) 박용순,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전통 매듭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p.27.

22) 이준화,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기념품 디자인콘텐츠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8.

pp.6-7.

을 통해 관광객에게 흥미를 줄 수 있고, 상징성 즉 상품에 관광지에 대한 정체성, 개념(Concept)이 반영되어 상품을 통해 그 관광지를 회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이다.

채영문(2003), 윤상헌(1998), 유지윤(1996)은 “관광기념품의 특성을 고유성으로 주장하며 고유성이란 특정 지역의 디자인과 모티브를 소재로 그 지역의 역사, 문화 적 배경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성을 담고 있고, 디자인과 색상 등 심미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고”23) 설명했다.

김세리(2002)는 관광기념상품의 특성에 대해 상징성과 고유성으로 주장하였고, 이는 “한 나라의 문화, 예술, 역사의 구체적인 소산으로서 고도의 상징성과 고유성 을 지닌”24) 관광지 문화 요소의 총체라고 간주했다.

셸리(Shelly, 1993), 보이턴&고던(Boyton&Gordon, 1986)에 의하면 관광기념상 품은 관광경험과 관련한 상징적 가치가 강하며, 관광지 더 나아가 지역, 국가의 문 화를 조망하는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23) 김민영, 「관광지이미지와 여행의 의미, 장소애착이 기념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제주도를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 p.43.

24) 김민영, Ibid.

연구자 특성

BIAN ZIYA

(2019) 문화성, 기념성, 독특성, 예술성 김민영(2006),

고종원(2001) 실용성, 심미성, 기념성, 고유성, 상징성 채영문(2003),

윤상헌(1998),

유지윤(1996) 고유성 김세리

(2002) 상징성, 고유성 Shelly(1993),

Boyton&Gordon(1986) 상징성 Littrell

(1993) 고유성, 독특성, 창조성, 장인정신, 역사 및 문화성, 심미성, 기능 성, 실용성

<표-3> 문화상품 특성

리트렐(Littrell, 1993)은 관광기념품의 고유성을 독특성과 창조성, 장인정신, 역사 성 및 문화성, 심미성, 기능성, 실용성 등으로 재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자들은 문화상품에 대해 각자 다른 명칭을 붙였지만 그 의미 는 동일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문화상품 특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감이 되었던 부분은 비안 지야가 주장하는 문화상품 특성이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유적 관광지의 문화상품의 문화성, 기념성, 독특성, 예술성을 갖추기 위해선 강력한 호소력을 갖는 문화유적 관광지의 정체성, 문화유적 관광지 이미지 형성 및 진화시키는 과정이 필 요하다.

그리고 문화유적 관광지의 문화상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행연구 이호선(2011) 은 다음과 같이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표-4>와 같이 이호선(2011)은 위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제작된 문화상품은 다른 문화유적 관광지의 문화상품과 차별성을 가짐으로써 대중들에게 그 이미지가 각인이 되고 더 나아가 이익을 창출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따라서 문화유적을 바탕으로 한 관광지의 문화상품은 문화적 가치가 포함된 유·

무형의 상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연·사회·역사적 환경을 통해 형성된 다양한 문화유적의 아이덴티티는 세계화 개념의 상대가치로서 중대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

선정기준 고려할 사항

차별성 타 국가나 지역을 비교했을 때 우위가 있고 인지도가 강해야 함 국가나 지역의 정체성과 정서가 반영되어야 함

잠재력 -국가 혹은 지역의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함

-다른 분야와 연계가 가능하고 경제적 이익 및 시너지 효과를 창 출할 수 있어야 함

경쟁력요소

-국가나 지역의 전통미와 조화롭게 융합할 수 있는 현대적인 감각 의 디자인

-주제, 소재개발의 독창성

*선행연구 이호선(2011)을 토대로 재정리함.

<표-4> 문화상품 제작에 고려할 사항

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생성된 문화상품 역시 세계에서 유일하기 때문 에 가치가 있고 중요하다. 따라서 문화유적 관광과 문화상품 산업은 그 나라의 문 화유적을 바탕으로 발전한 특수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화유적의 이미지를 창출해 다른 나라와 문화교류 및 국가홍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국가전체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며 더 나아가 많은 고용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다방면으로 파급효과와 연관효과가 큰 분야라고 여겨진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