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법적 제약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

1. 서론

2.2. 통사적 특성

2.2.2. 문법적 제약

여기에서는 ‘도, 까지, 조차, 마저’의 통사적 특성을 긍정문과 부정문에서의 실현 양 상과 서법에 따른 실현 양상으로 나누어 살피기로 한다. 먼저 ‘도, 까지, 조차, 마저’가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실현되는 양상은 다음 예문을 통하여 고찰하겠다.

(36) ㄱ. 그 유명한 연예인은 봉사활동{도/까지/조차/마저}했다.

ㄴ. 반장{도/까지/조차/마저}화를 냈다.

ㄷ. 더운데 바람{도/까지/조차/마저}안 불어요.

ㄹ. 이번 모임이 영희{도/까지/조차/마저}가고 싶지 않다.

ㅁ. 영희{도/까지/조차/마저}가지 못했다.

ㅂ. 최악의 경우 그 비싼 그물이 몽땅 수장되는 사태{도/까지/조차/마저}벌어 지게 하지는 말아라. (장효우, 2017:42)

(36ㄱ)은 긍정적 긍정문이며, (36ㄴ)은 형식상 긍정문인 데 반해 부정적인 의미를 담 고 있는 부정적 긍정문이다. 두 예문에서는 보조사 ‘도, 까지, 마저’는 긍정적 긍정문에 서 쓰일 수 있으나 ‘조차’는 부정성을 띠고 있다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잘 어울리지 않

보조사

문법적 제약 도 까지 조차 마저

긍정문 긍정적 긍정문 ○ ○ × ○

부정적 긍정문 ○ ○ ○ ○

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는 (36ㄷ, ㄹ)과 같은 의지 부정문, (36ㅁ)과 같은 능력 부정문에서도 단형과 장형을 가리지 않고 고루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36ㅂ)의 청유 문이나 명령문을 부정하는 ‘말다 부정문’에서, ‘조차’는 ‘도, 까지, 마저’와 달리 연결되 지 않는다(홍사만, 2002:346).

다음은 문장의 서법에 따라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실현에 제약이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각 서법에 따른 예문은 다음에 제시하였다.

(37) ㄱ. 송이{도/까지/조차/마저} 이 집을 떠나지 않았다. (평서문) ㄴ. 송이{도/까지/조차/마저} 이 집을 떠났어요? (의문문) ㄷ. 송이{도/까지/조차/마저} 이 집을 떠나거라. (명령문) ㄹ. 송이{도/까지/조차/마저} 이 집을 같이 떠나자. (청유문) ㅁ. 송이{도/까지/조차/마저} 이 집을 떠났구나. (감탄문)

(3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차’를 제외한 세 보조사는 모든 서법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현될 수 있다. ‘조차’의 경우 (37ㄷ, ㄹ)과 같이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실현될 때 어색한 문장이 될 수 있다. 청유문과 명령문은 각각 어떤 것을 함께 하자고 제안하거 나 하라고 지시하는 것으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만을 나타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조차’는 어떤 상황에 대해 화자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화자의 판단이 전제 되어 있는 보조사이기 때문에 청유형이나 명령형에 나타나는 데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장효우, 2017:43).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조차’는 ‘도, 까지, 마저’와 달리 긍 정적 긍정문, 말다 부정문과 호응하지 못한다. 또한 서법에 따라서 ‘조차’는 명령문, 청 유문에서 실현에 제약을 받는다. 다음은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문법적 제약에 대한 논의를 표로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표 3>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문법적 제약

부정문

‘안’ 부정문 ○ ○ ○ ○

‘-지 않다’ 부정문 ○ ○ ○ ○

‘못’ 부정문 ○ ○ ○ ○

‘말다’ 부정문 ○ ○ × ○

문장 종류

평서문 ○ ○ ○ ○

의문문 ○ ○ ○ ○

명령문 ○ ○ × ○

청유문 ○ ○ × ○

감탄문 ○ ○ ○ ○

3.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사용 오류 양상 과 한국어 교재 분석

이 장에서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 사용 오류 양상을 유형화하고, 각 오류 유형에 대하여 설 명하고자 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도, 까지, 조차, 마저’ 사용 오류는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는 교육 내용의 제약으로 그 의미적․통사적 특징을 잘 이해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는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각 교재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더욱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