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4-113)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용 오류 양상 및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토대로 이들 보조사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가 지닌 의미의 유사성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이 오류가 적지 않다 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연구 대상 과 방법을 밝혔다. 선행 연구는 크게 의미적, 통사적 특성에 중점을 둔 연구, 오류 양 상에 중점을 둔 연구, 보조사의 한․중 대조에 중점을 둔 연구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 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도’를 제외한 ‘까지, 조차, 마저’의 세 가지 보조사만을 중점적 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적, 통사적 특 성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빈약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제2장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들 보조사의 의미 특성에 대해서는 ‘도’는 ‘포함/더함’, ‘동 일/병렬’, ‘동류 제시’, ‘극단 예시’, ‘극단 부정 표시’, ‘양보/허용’, ‘부정/긍정’, ‘강조/감탄’

으로, ‘까지’는 ‘한계’, ‘포함/더함’, ‘극단 예시’, ‘강조’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조차’의 경우 ‘포함/더함’, ‘예상 밖/기대 밖’, ‘극단 예시’로, ‘마저’는 ‘포함/더함’, ‘극단 예시’, ‘하나 남은 마지막’으로 나누어 네 보조사의 의미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 다.

통사적 특징으로는 분포적 특징과 문법적 제약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분포 양 상에서는 ‘도, 까지, 조차, 마저’ 모두 체언, 명사형 전성 어미, 보조사, 부사격 조사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으나, 관형사형 전성 어미, 관형사와 결합할 때에는 부자연스 럽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법적 특성의 경우 네 보조사 모두 부정적 긍정문, ‘안’ 부정 문, ‘-지 않다’ 부정문, ‘못’ 부정문,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에서 제약을 받지 않고 쓰일 수 있으나 ‘조차’는 ‘도, 까지, 마저’와 달리 긍정적 긍정문, 말다 부정문, 명령문, 청유 문과 호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TOPIK 등급과 언

어권별로 한국어 학습자가 겪는 네 보조사의 오류 유형과 그 사례를 함께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 결과, 음운상의 오형태에서는 ‘도’는 ‘또’로, ‘까지’는 ‘가지’ 또는 ‘카지’로, ‘조 차’의 경우에는 ‘초자’, ‘초차’, ‘조사’ 등으로 실현되는 오류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 다. 통사적 오류에서 ‘도’는 ‘부사형 전성 어미 ‘-면’, 성분 부사 ‘서로’ 뒤에 나타나는 첨가 오류를 보였다. ‘까지’와 ‘마저’는 각각 ‘~부터 ~까지’의 용법에서 ‘까지’를 ‘부터’

로, ‘~커녕 ~조차’의 용법에서 ‘조차’를 ‘마저’로 바꾸어 사용하는 대치 오류를 보였다.

한편 ‘조차’는 긍정문과의 결합, 적절하지 못한 선행어 선택, 조사와의 결합 등의 오류 가 나타났다. 의미적 오류와 관련하여서는 각 보조사의 통사적 사용 오류 및 부적절한 선행어 선택에 따라 네 보조사의 의미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가 빈번하게 나 타났다.

그다음 한국 내 대학의 한국어교육 기관들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 는 한국어 교재에서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가 나타나는 순서를 제시하였고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재에서 ‘조차’나 ‘마저’의 교육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네 보조사 의 교육 내용을 제시한 교재는 없다.

둘째, 분석한 교재들 가운데 ‘도, 까지, 조차, 마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한 것은 없다.

셋째, 교재마다 ‘도,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각 보조사의 교육 내용을 외국어로 설명하고 있는 교재도 있는 한편, 네 보조사에 대 한 의미적, 통사적 특성에 대한 설명 없이 예문만으로 대체하여 제시하는 교재도 있다.

그중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재에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까지’의 의미 기능을 나누어 제시하고 있었다.

넷째, 분석한 교재에서는 모두 ‘도, 까지, 조차, 마저’가 지닌 기본적인 의미 기능만을 제시한 반면, 대부분의 교재에서는 통사적 특성에 대한 내용이 불충분하게 기술되어 있어 학습자가 해당 보조사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도 발견되었다.

제4장에서는 말뭉치 오류 양상과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 들을 위한 ‘도,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모델은 김재욱 외 (2010)에서 제시한 ‘도입→제시→연습→활용→마무리’의 다섯 단계를 지닌 의사소통식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각 절차에 따른 네 보조사의 교육 내용을 구상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도, 까지, 조차, 마저’는 의미적으로 ‘포함/더함’의 의미 자질 을 공유하고 있으며, 통사적으로는 관형사나 관형어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는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네 보조사 모두 의미적, 통사적 차이가 존 재한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는 사실은 네 보조사의 의미적, 통사적 특징을 이해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를 대상으로 의미 분석, 오류 분석 과정 및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네 보조사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교육 방안에서 ‘도, 까지, 조차, 마저’의 모든 의미 항목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포함/더함’의 의미만 중점을 두었으며, 교육 내용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한다.

<참고 문헌>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2005~2010), 《한국어 1~6》, 건국대학교 출판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2008~2011), 《재미있는 한국어 1~6》, 교보문고.

고석주(2002), 〈학습자 말뭉치에서 조사 오류의 특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7권 1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543~570.

곽진보(2018),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자료에 나타난 조사 오류 분석〉, 석사 학위논문(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권미림(201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대한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석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

김덕근 외(2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형1》, 박이정.

김미진(2013),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영주어문》 제26권, 영주 어문학회, pp.61~89.

김수진(2007), 〈조사 ‘-마저’의 의미〉, 《우리말글》 제40권, 우리말글학회, pp.53~76.

김염령(2015), 〈한국어 의미별 보조사 사용의 상관성 연구 -‘한정’, ‘추가’, ‘선택’의 보 조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연변대학교 대학원).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김옥희(201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조사 오류 실태와 지도방안〉, 석사학위논문(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원태(2018),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보조사 교육 내용 연구 -‘도, 까지, 조차, 마 저’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유정(2005),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분석이 기준 연구〉, 《한국어 교육》 제16 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5~75.

김재욱 외(2010), 《한국어 교수법》, 형실출판사.

김정란(1987), 〈국어 특수조사의 소고 -‘까지, 조차, 마저’에 대해서-〉, 《사림어문연 구》 제4권,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pp.203~214.

김정민(1991), 〈보조사 ‘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정숙 외(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국립국어원.

김지우(200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생략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연구〉, 석 사학위논문(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나은명(1997),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 《한국어학》 제6권, 한국어 학회, pp.211~226.

남미정(2011),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의 발달과 의미 관련성〉, 《국어 사연구》

제12호, 국어사학회, pp.169~192.

남아니(2017),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와 중국어 ‘连...也..., 连...都...’의 대응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건국대학교 대학원).

韓政翰(2005), 〈특수조사 ‘마저, 조차, 라도, 나’의 계량적 의미〉, 《국문학논집》 제20 권,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pp.5~43.

金映利(1988), 〈國語 特殊助詞의 意味〉, 《白鹿語文》 제5권,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 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 pp.121~140.

도은희(2010), 〈특수조사 ‘조차’, ‘까지’, ‘마저’의 담화 정보〉, 석사학위논문(단국대학교 대학원).

마소우(2016),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 교육 방안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자(200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 《국제학술대회》 제6호, 중한인문 과학연구회, pp.14~31.

민진영(200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대 학원).

민현식(2003), 〈국어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상관성〉, 《한국어 교육》 제14권 2호,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pp.107~141.

박명옥(2009), 〈보조사 ‘-도, -까지, -조차, -마저’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수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박 연(2012),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보조사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도, -조차, -마저, -까지’를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제33권, 동남어문학회, pp.253~

285.

박영희 외(201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형2》, 박이정.

박진호(2015),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국어학》 제73권, 국어학회, pp.375~435.

배해인(2018), 〈‘부터/까지’, ‘조차/마저’, ‘나마/라도’ 에 대한 통사․의미적 연구〉, 석 사학위논문(동아대학교 대학원).

범정일(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의 교육 방안 연구 -‘까지, 마저, 조차’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상규․유현경․남윤진(2002),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 육》 제13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27~156.

서상규․한영균(1999), 《국어정보학 입문》, 태학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3), 《한국어 1~6》, 문진미디어.

서정정(2014), 〈한국어 ‘명사 상당어+ 한정보조사’ 결합 제약 연구 -‘까지’, ‘조차’, ‘마 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경희대학교 대학원).

성기철(2007), 《한국어 문법 연구》, 글누림.

손효남(2013),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 에 대한 교 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인천대학교 대학원).

송기진(1995), 〈特殊助词 ‘~도/~까지/~마저/~조차’의 机能考察 -중학교 국어 교과 에서 나타난 용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송보경(2000), 〈국어 특수조사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보라(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특수조사 교육 방안 -‘도,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신윤희(2005), 〈보조사 ‘조차․까지․마저’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석사학위논문(서울 대학교 대학원).

양명희 외(201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초급 조사․표현)〉, 집문당.

양선혜(2009), 〈국어 보조사의 통사․의미론적 연구 –초점 기능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경북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편찬위원회(2007~2013), 《연세 한국어 1~6》, 연세대학 교 출판부.

오준결(2014), 〈한국어 보조사 교육 방안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전남대학교 대학원).

왕예평(2013), 〈한국어 ‘까지, 조차, 마저’와 중국어 ‘连...也/都’의 대비 연구〉, 석사학 위논문(충남대학교 대학원).

유로(2014),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건국대학 교 대학원).

유문명(2018), 〈학습자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격 조사

오류 연구〉, 《언어와 문화》 제15권 1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223~249.

유청화(2011), 〈한국어 보조사의 의미 상관성 연구 -‘선택’, ‘극단 예시’, ‘강조’의 보조 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아주대학교 대학원).

유해준(2016), 〈보조사를 포함한 한국어 교육 문법 유형 분석〉, 《어문론집》 제65권, 중앙어문학회, pp.267~282.

이남순(1996), 〈특수조사의 통사기능〉, 《진단학보》 제82호, 진단학회, pp.217~235.

이려홍(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의 교육 방안 연구 -‘-도, -까지, 마저, -조차’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건국대학교 대학교).

이서현(2009),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어미 사용에 나타난 오류 유형 분석 –구어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소정(2011), 〈특수조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

이숙혜(201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에 대한 연구 –강소성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세명대학교 대학원).

이윤진(2004), 〈한국어 문형 표현 100: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위한〉, 건국대 학교출판부

이은경(1999),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 석사학위논문(연세 대학교 대학원).

이익섭(2005), 《한국어문법》,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익섭․채완(1999),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이주행(2011),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론》, 역락.

이지영(1997), 〈한국어 조사 ‘-가/를’의 교수 모형〉, 《교육한글》 제10호, 한글학회, pp.349~380.

이춘숙(1993),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박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

이해영(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 교육》제12권 1호, 한 국어교육학회, pp.199~232.

이혜(2016), 〈한국어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중 앙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0~2012), 《이화 한국어 1~6》, Epress.

임삼미(2009),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사' 연구 -‘도’, ‘까지’, ‘조차’, ‘마저’를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4-11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