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절 TDIB 모형 분석

1. 내생변수

TDIB 모형은 자녀에 대한 태도가 출산 의향, 출산 계획, 임신 관련 행 동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출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TDIB 모형은 관련 요인에 대한 평가나 태도를 중시하는 TPB 모형과는 달리 출산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강조한다(Miller, 1994). 이 연 구에서 TDIB 모형은 TPB 모형과 달리 내생변수가 세 개인데, 구체적으 로 출산 의향 정도, 출산 계획 정도, 그리고 임신 관련 행동 정도이다. 여 기에서 임신 관련 행동 정도가 최종 내생변수이다.12)

12) 출산 계획 정도는 TPB 모형에서 사용한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치는 <표 2-15>에 제시되어 있다.

계수 0명 1명 2명 이상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2.086** 2.025** .869**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1.867** -1.999** -.663**

관적 규범 .684** .449** .813**

인식된 통제 .620** .339** .118*

가. 출산 의향 정도

<표 2-22>는 출산 의향 정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하고 있다.

출산 의향 정도의 평균값은 4.57이고, 표준편차는 3.56이다. 출산 의향 정도는 출산 자녀가 없는 경우 자녀를 출산하는 것을 원하는 정도로 측정 되었고, 이미 출산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를 한 명 더 출산하는 것을 원하 는 정도로 측정되었다. 이 변수는 11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당히 원함에 10점, 보통에 5점, 전혀 원하지 않음에 0점을 지정하였다.

이러한 출산 의향 정도를 측정한 척도의 특성을 고려하면, 중간값보다 왼쪽에 다소 치우쳐 있지만, 보통을 의미하는 5점에 가까운 분포를 보인 다. 표준편차는 3.56으로 대체로 11점 척도상에 넓게 펼쳐져 있다.

<표 2-22> 출산 의향 정도

(단위: 점(11점 척도))

주: 전혀 원하지 않음: 0점; 보통: 5점; 상당히 원함 10점.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나. 임신 관련 행동 정도

TDIB 모형의 최종 내생변수인 임신 관련 행동 정도도 다른 내생변수 와 마찬가지로 11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임신하기 위한 행위를 매우 강하 게 하는 것을 10점으로,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을 5점으로 정하였 다. 그리고 임신을 하지 않기 위한 행위를 매우 강하게 하는 것을 0점으로 지정하였다.

문 항 평균 표준

편차 귀하께서는 자녀를 한 명 더 낳는 것을 어느 정도 원하고 계십니까? 4.57 3.56

<표 2-23>은 임신 관련 행동 정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하고 있 다. 임신 관련 행동 정도의 평균값은 4.82점이고 표준편차는 3.08점이 다. 이 내생변수도 다른 내생변수와 마찬가지로 평균값이 극단적으로 좌 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치기보다는 임신과 관련하여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중간 척도에 가깝다. 표준편차 역시 다른 내생변수와 마찬가 지로 3점 이상으로 비교적 분포가 넓게 퍼져있다.

<표 2-23> 임신 관련 행동 정도

(단위: 점(11점 척도))

주: 임신을 하지 않기 위한 매우 강한 행동: 0점;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 5점; 임신을 하기 위 한 매우 강한 행동: 10점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외생변수

가.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TDIB 모형에서 외생변수는 잠재변수로 구성된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 도와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이다.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표 2-24>와 <표 2-25>에 각각 제시되어 있다.

<표 2-24>는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응답자의 주요 배경별로 살펴 본 것이다. 먼저, 연령별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녀 에 대한 긍정적 태도 점수가 높다. 가장 높은 연령 집단은 35세 이상~39 세 이하(2.60)이다. 반면에 가장 점수가 낮은 연령 집단은 25세 이상~29 세 이하(2.50)이다.

문 항 평균 표준

편차 귀하께서는 현재 임신을 하지 않기 위한 행동 혹은 임신을 하기 위한 행

동을 하고 계십니까? 4.82 3.08

그리고 다른 배경을 살펴보면,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점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지역별로는 읍면동이, 소득은 하위층이거나 상층에서 높다. 이 밖에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집단과 출산 자녀 수가 많은 집단이 상대적으 로 높은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점수를 보인다.

<표 2-24> 개인 특성별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단위: 점)

주: 긍정적 태도 척도는 28개 항목에 대한 평균 점수를 의미함.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관한 질 문은 <표 2-16>에 제시.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문항 평균(1~4점) 표준편차

2.55 .54

령별

25~29 2.50 .57

30~34 2.53 .53

35~39세 2.60 .51

학력 졸 이하 2.54 .58

졸 이상 2.55 .52

지역

대도시 2.56 .54

중소도시 2.54 .53

읍면동 2.58 .48

소득

0~299만 원 2.59 .56

300~399만 원 2.51 .50

400~499만 원 2,51 .54

500~699만 원 2.51 .54

700만 원 이상 2.58 .56

경제활 하고 있음 2.53 .55

하지 않음 2.58 .51

출산 자녀 수

자녀 없음 2.42 .60

한 자녀 2.57 .51

두 자녀 이상 2.63 .49

나.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3. 구조 모형 가. 전체 모형

TDIB 모형은 Miller(1994)가 제시한 이론적 모형을 토대로 Mynarska 와 Rytel(2018)이 실증 분석을 위해 설계한 Structural Equation Model에 기초하여 설계하였다([그림 2-3], [그림 2-5] 참조). 전체 모형 에서 외생변수는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포함한다. 두 개 잠재변수는 이미 TPB 모형에서 구성한 측정모형을 사 용한다. 그리고 내생변수는 출산 의향 정도, 출산 계획 정도, 임신 관련 행동 정도를 포함한다. 각 내생변수는 외생변수와는 달리 하나의 관찰변 수로 측정되었다. 전체 모형과 관련 배경인 연령대별과 출산 자녀 수별로 나누어 비교해 보고자 한다.

[그림 2-11] TDIB 모형

주: 경로 위에서 표준화계수가 제시됨.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그림 2-11]은 TDIB 모형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경로 위에 제시 된 표준화계수를 살펴보면 임신 관련 행동에 직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출산 계획 정도이고 그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출산 의 향 정도이다. 반면에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는 임신 관련 행동에 직접적으로는 비교적 작은 영향을 미친다. 임신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표준화계수가 .065이고,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표준화계수가 -.052로 나타났다.

한편 TDIB 모형에서는 이러한 직접적 효과도 있지만, 여러 매개 변수 와 외생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로 인해 다양한 간접적 효과도 존재한다. 이 를 살펴보기 위하여, <표 2-26>, <표 2-27>, 그리고 <표 2-28>은 내생변 수에 대한 전체 효과, 직접 효과, 간접 효과를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내생변수 중에서 임신 관련 행동에 대한 효과만 살펴보면, 자녀 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전체 효과는 .179이고, 직접적 효과는 .065, 간접 적 효과는 .115로 나타난다.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전체 효과는 -.144, 직접적 효과는 -.052, 간접적 효과는 –.092로 나타난다. 즉 자녀 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는 직접적 효과보다는 간접적 효과가 더 강하다.

한편 출산 의향 정도와 출산 계획 정도의 임신 관련 행동에 대한 전체 효 과는 각각 .538과 .385이고, 직접 효과는 각각 .205와 .385이다. 임신 관 련 행동에 대한 간접 효과는 출산 의향 정도의 경우만 .333으로 나타났다.

<표 2-26> 내생변수에 대한 전체 효과(표준화계수)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계수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출산 의향

정도 출산 계획

정도

출산 의향 정도 .197 -.185 -

-출산 계획 정도 .193 -.140 .863

-임신 관련 행동 .179 -.144 .538 .385

<표 2-27> 내생변수에 대한 직접 효과(표준화계수)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표 2-28> 내생변수에 대한 간접 효과(표준화계수)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나. 연령별 차이

TPB 모형과 마찬가지로 TDIB 모형에서도 임신 관련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응답자의 배경인 연령과 출산 자녀 수를 집단 비교를 통해 살 펴보고자 한다. <표 2-29>는 출산 의향 정도에 대한 연령별 비표준화계 수를 제시한다.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출산 의향 정도에 미치는 영 향은 상대적으로 출산이 많이 이루어지는 연령대인 30세 이상~34세 이 하에서 가장 크다. 그다음으로 영향이 큰 집단은 25세 이상~29세 이하 집단이고, 상대적으로 영향이 작은 집단은 가임기 후반에 해당하는 35세 이상~39세 이하 집단이다.

반면에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출산 의향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연 령에 따라 달라진다.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영향은 25세 이상~29세 이하 집단에서 가장 강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영향이 줄어든다.

계수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출산 의향

정도 출산 계획

정도

출산 의향 정도 .197 -.185 -

-출산 계획 정도 .023 .020 .863

-임신 관련 행동 .065 -.052 .205 .385

계수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 출산 의향

정도 출산 계획

정도

출산 의향 정도 - - -

-출산 계획 정도 .170 -.159 -

-임신 관련 행동 .115 -.092 .333

-<표 2-29> 출산 의향 정도에 대한 연령별 비표준화계수

주: * p < .05, ** p < .01

자료: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설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표 2-30>에서 제시된 것처럼, 출산 계획 정도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은 출산 의향 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다르게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는 영향이 있지만,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영향이 없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출산 계획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 2-30>에서 제시된 것처럼, 출산 계획 정도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은 출산 의향 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다르게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는 영향이 있지만, 자녀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영향이 없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출산 계획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