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모양이 비슷한 한자

문서에서 교과서 물려주기 기록표 (페이지 40-43)

-

(오) 까마귀

烏合之卒

-

(조) 새

傷弓之鳥

일상 용어의 활용

上京: 서울에 올라감.

烏合之卒: 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 는 군중.

傷弓之鳥: 활에 다친 새. 즉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 는 말.

재미로

읽는

아하! 생활 속의 성어

右往左往

삼족오(三足烏)

쌍영총 벽화에 보이는 삼족오.

삼족오는 태양을 상징한다.

는 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머리 부분[] 가운 데의 ‘은 새의 눈을 나타낸다. 그러나 까마귀는 몸과 눈이 모두 까맣기 때문에 눈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눈을 표 시하지 않았다.

‘鳥 의 차이

웅~ 틱틱~

아이고, 더워.

선풍기, 부채!

민혁아, 에어컨 좀 켤까?

네, 엄마.

以心傳心이네요.

어? 에어컨이 고장 났나 봐요.

으악!

선풍기도……. 雪上加霜 이로군.

암탉이 품고 있던 달걀이 모두 사라 졌다는 신고를 받고 동물 경찰들이 출동했다. 암탉이 사는 헛간에 모여 대책 회의를 하고 있는데…….

이번 사건을 해결하는 데 보잘것없는 능력이지만 犬馬之勞

다하겠습니다.

아, 답답해. 내가 처음부터 늑대의 행동이 이상하다고 알려

주었는데도 馬耳東風이더니.

흑 흑 !

이번 사건은 鳥足之血 불과합니다. 분명 우리 동료 들의 피해는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학습 용어의 활용

서울의 사대문

사대문(四大門)은 조선 시대 도성(都 )인 서울 성곽의 4개의 큰 성문으로, 정동 (正東)의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 정서의 돈의문(敦義門, 서대문), 정남의 숭 례문(崇禮門, 남대문), 정북의 숙청문(肅淸門, 북대문)을 아울러 이르는 명칭이다.

숙청문은 중종 이후 ‘숙정문(肅靖門)’으로 바뀌었으며, 현재 새로 만든 문루에도

‘숙정문’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한문 속 문화 읽기

이야기 속에 나오는 성어

다음은 우화 형식으로 꾸민 이야기이다.

돈의문(서) 숙정문(북)

흥인지문(동) 숭례문(남)

犬馬之勞(견마지로): ‘개나 말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馬耳東風(마이동풍): ‘말의 귀에 동풍’이라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말.

鳥足之血(조족지혈):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른쪽에 제시된 한자 성어 중 한 가지를 신문이 나 잡지에서 찾아 <보기>와 같이 ‘나만의 학습 노 트’에 기록해 보자.

-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검색해도 좋다.

함께 해 보기

한자 성어 一石二鳥(일석이조)

음, 뜻 일 하나, 석 돌, 이 둘, 조 새

의미 한 개의 돌을 던져 두 마리의 새를 맞추어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익(利益)을 얻음을 이르는 말.

조사 내용

건강·나눔 一石二鳥‘희망 한걸음 축제’

건강시 행복구는 도심 속 길을 걸으며 나눔을 실천하는 ‘희망의 한걸음 축제’를 개최한다. 제10회 행복구민의 날을 기념하는 이번 행사는 오는 15일 오전 8시 30분 행복 공원에서 출발, 나눔 공원을 반환점으로 하여 다시 행복 공원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마치게 된다.

<행복구 소식지>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정 문으로 ‘빛이 사방을 덮고 교 화가 만방에 미친다’는 뜻이 다. ‘문(門)’ 자가 들어간 현판 을 찾아 그 의미를 알아보자.

사방팔방 한자

一石二鳥 九牛一毛

東問西答 右往左往

雪上加霜 以心傳心

제시된 한자로 만들 수 있는 한자 성어를 써 보자.

⑴ ⑵

→ ( ) → ( )

대화창에서 설명하는 한자 성어를 빈칸에 써 보자.

⑴ ⑵

성어의 활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하다니 그야말로 東問西答인데.

② 공부도 하고 이야기도 듣고 이것이야말로 一石二鳥로군.

③ 즐거운 수업 시간을 위해 노력하였으니 그래도 雪上加霜이야.

④ 내 말이 그 말이야. 우리 둘이 마음이 통하다니 以心傳心이네.

실력 다지기

1

2

3

鳥 烏 卒

문서에서 교과서 물려주기 기록표 (페이지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