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사성어의 유래와 속뜻

문서에서 교과서 물려주기 기록표 (페이지 45-48)

본문 깊이 보기

• 성어를 읽을 때는 의미에 유의 하여 끊어 읽어야 한다.

• 고사성어는 겉으로 드러난 문 자적인 뜻과 함께 유래와 속뜻 을 알아야 한다.

龍門: 황하(黃河) 상류의 지명.

: ~의.

五十步百步: 우리말 속담인 ‘도 토리 키 재기’와 뜻이 통한다.

朝三暮四

(조삼모사) |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중국 송나라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 는 좋아하였다. 여기서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한다’

는 뜻이 나왔다.

鷄卵有骨

(계란유골) | 달걀에 뼈가 있음.

즉 ‘달걀이 곯았다’는 뜻. 세종 대왕의 명령으로 하루 동안 남대문으로 들어오는 물품을 모두 황희의 집으로 보 내라고 했다. 그러나 종일 비가 와서 아무 것도 들어오지 않다가 저녁 때 달걀 한 꾸러미가 들어왔는데, 모두 곯아 서 먹을 수 없었다. 여기서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 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된다’는 뜻이 나왔다.

일상 용어의 활용

1. 여러 가지 뜻을 가진 한자

- 길다

長壽

(장) - 잘하다

長技

- 어른

訓長

2.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등) 오르다

登極

-

(발) 쏘다

誤發

재미로 읽는

어부지리( 漁父之利 )

으악!

長壽: 오래 삶.

長技: 가장 능한 재주.

訓長: 글방의 스승.

登極: 임금의 자리에 오름.

‘오발탄(誤發彈)’은 ‘잘못 쏜 탄환’이라는 뜻으로 이범 선이 지은 단편 소설이다. 월남한 한 가족의 비참한 처지 를 통하여 분단의 비극성을 증언하고 황폐화된 전후(戰後) 의 사회 현실을 비판한 소설이다.

오발탄

소설 “오발탄”

백수도(百壽圖)

이야, 이놈

맛있겠는데. 어차피 말라 죽을 테니 그만

포기하는 게 어때?

흥, 너나 포기하시지.

그래, 네가 이기나 내가 이기나 보자.

야호, 웬 떡이냐?

둘 다 잡았네.

학습 용어의 활용

• 東家 西家宿(동가식서가숙)

- 이중섭은 아내와 아이들이 떠난 후, 한 곳에 머물지 않고 대구와 부산, 통영, 진주, 서울, 대구, 칠곡을 오가면서 친구들의 집을 전전했다.<엄광용, “화가 이중섭” 중에서>

• 竹馬故友(죽마고우)

- 김 아무개와 박 아무개는 어려서 한동네에 살면서 공부도 함께 했다. 그래서 클수록 정이 두터워 지더니 마침내는 “우리는 죽을 때까지 우정(友情)을 버리지 말자. 훗날 누가 잘되든 반드시 복과 재앙을 함께 나누자.”라고 서로 굳게 맹세하며 형제의 의를 맺었다.“옛이야기-우정의 길”< 중에서>

• 易地思之(역지사지)

- 동생 탓만은 아니야. 내 탓도 있어. 내가 잠시 기분이 상해서, 동생에게 집에 들어오지 말라고 했 던 건 잘못이었어. 그런 나를 동생은 얼마나 원망했을까!<이강백, “들판에서” 중에서>

한·중·일의 한자 성어

한문 속 문화 읽기

한자 성어(漢字 語)는 한·중·일 세 나라에서 대부분 공통으로 사용되나, 간혹 그 의미가 달리 쓰이는 경우도 있고 한자가 조금 다르거나 순서가 다른 경우도 있다.

한국, 중국 | 居安思危(거안사위)

편안히 살 때 위태로움을 생각함.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

한국 | 語不 說(어불성설) 중국 | 語不 句(어불성구)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아니함.

한자를 조금 다르게 쓰는 경우

소설과 한자 성어

한자 성어는 다양한 사건이나 상황을 나타낼 때에도 쓸 수 있다. 다음은 소설 속 상황과 그에 어울 리는 한자 성어를 연결한 것이다.

八方美人(팔방미인)

한국 | 여러 방면의 일에 능통한 사람.(긍정적 의미) 일본 | 누구에게나 기분 좋게 대하는 사람.(부정적

의미)

주로 쓰는 의미가 다른 경우

東家食西家宿: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竹馬故友: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易地思之: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

함께 해 보기

고사성어의 유래를 연극으로 만들어 발표해 보자.

<방법>

① 5~6명으로 한 모둠을 만든다.

문서에서 교과서 물려주기 기록표 (페이지 4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