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환위기 이전의 건설현장에서도 인력부족 문제는 상존하였고, 특히 청년층의 건설 현장 기피로 인한 고령화와 숙련된 기능공의 부족은 두드러진 현상이었다. 이후 경기 급랭으로 잠잠하였던 것이, 금년 들어 한국경제의 전반적인 회복세에 힘입어 건설경 기 또한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나아지면서, 기능인력의 양적, 질적 부족문제가 다시 제 기되고 있다. 하지만 그간 외환위기로 인한 불황으로 건설현장을 지켰던 숙련기능공 마저 떠난 실정이어서 사태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건설업 취업을 유도하고, 일단 유입된 기능인 이 건설업에 계속 남아 있을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 건설업 생산체계의 특성 상 기능인력 대부분이 일용 또는 임시직의 형태로 고용된다. 이들은 이 현장 저 공사 장을 옮겨다니면서 취업하고 있으므로 공식적인 고용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다 보니 사회안전망에서도 별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건설업에 종사하 는 것에 대해 자긍심과 소속감을 가질 수 없는 형편이다. 게다가 공사판 일이 임시적 이고 장래성이 없다는 데서 야기되는 일용직 근로자의 불안감마저 가중되고 있어 취 업유인은 기대하기 힘들다. 인력을 건설현장으로 불러들이기 위해서는 기능인력이 내 일 당장 일거리를 찾아 헤매야 한다는 불안감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인 장치 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설기능인력에 관한 제반정책은 인력부족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지만 임금상승과 같은 일시적인 처방만으로는 문제해결이 어렵 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기능인력의 양성 및 관리에 관한 정책이 되어야 하고, 이는 공급확대 및 인력유지를 바탕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염두에 두고 기능인력의 양성 및 관리체계가 이루어지는 제도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인력수요체제는 건설업 생산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다는 점 에서, 새로운 개선방안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인력구조 및 노동력 활용에 대 한 분석을 밑바탕으로 하였다. 하도급체계에 대한 분석과 십장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개선방안에서는 이를 대체하되 그간 중층하도급 구조에서 많은 손해 를 감수해온 기능인력의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되도록 하였다.

새로운 인력양성 및 관리모형은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삼았

건설기능인력 육성․관리체계 구축방안 55

다. 첫째, 임시적일 수밖에 없는 기능직의 불안정한 고용형태로 인하여 전직을 희망하 는 것에 대한 대응책 제시, 둘째, 공사현장과 기능공을 연결시킴으로써 기능인력에 대 한 원활한 수요와 공급기능, 셋째, 기능공 양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모형에 근접한 사례로서 포항지역 건설일용노동조합의 기능학교를 본보기로 하여, 건설기능 인력의 양성과 관리를 통합한 체계가 운영될 수 있도록 ‘건설기능인력 관리센터’를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센터의 정착은 직업훈련, 취업알선 및 복지사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센터가 빚어낼 가장 큰 변화는 독립십장의 역할을 센터 의 기능으로 흡수해 나감으로써 중층적 하청구조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된 다는 것이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취업정보의 통합에 따라 지역별 및 산업별로 인력 수급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건설기능인력의 양적 수 급안정과 질적 기능향상을 통하여 부실공사의 소지를 방지하고 건설업의 안정적인 발 전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규제연구 제11권 제2호 2002 56

참 고 문 헌

김정호․김석주, 「건설기능인력 확보 및 육성방안」, 국토개발연구원, 1995.

김정호․김성일, 「건설기능인력 고용안정화 방안」, 국토개발연구원, 1996.

노동부, 「직업훈련사업 현황」, 각년도.

대한건설협회, 건설기능공 의식구조, 이제는 바꿔져야-기능공 의식구조 실상 및 공 종별 부실사례- , 1995.

박명수, 「건설업 직업훈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5.

______, 「건설일용근로자 사회안전망 구축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9.

______․김태황, 「건설기능인력 양성 및 관리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8 전일노협편집위원회, 건설노동자 , 전국건설일용노동조합협의회, 1995.

통계청, 고용구조조사보고서 , 각년도.

______, 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 , 각년도.

______, 경제활동인구연보 , 각년도.

한국노동연구원,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구조 및 근로복지에 관한 연구」, 1998.

허재준․심규범, 「일용근로자 고용개선대책의 기본방향」, 실업대책기획평가단, 1999. 5.

______________, 「일용근로자 고용개선대책의 기본방향(Ⅱ)」, 실업대책기획평가단, 1999. 6.

황익주, 「한국건설업의 고용구조」, 한국사회연구 , 한길사, 1985.

건설기능인력 육성․관리체계 구축방안 57

Journal of Regulation Studies Vol.11 No.2 2002

Proposal for Training and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