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데이터의 출력(서비스 제공)

문서에서 직업교육의 정보화 (페이지 120-123)

다. ASP 체제의 구도

2) 데이터의 출력(서비스 제공)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직업교육기관이 타 연구기관이나 보고기관에 보고하게 될 자료를 일상적으로 보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원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완 료된 시점에서 직업교육기관의 인적자원 풀이 완성되며 완성된 인적자원 풀, 즉 인적자원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인 에서 정책결정자에 이르기까지 인적자원 데이터베이스의 자유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정보를 사 용자의 요구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기업의 입장에서 는 재능 있는 인재들을 보다 쉽게 발굴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고, 연구자 나 정책입안자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인적자원의 수급동향을 분석하여 교과 과정이나 학제의 조정,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책수립, 학교평가기준의 조 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상호교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들은 더욱 크게 나타날 것 이다. 기존 기관들의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시점의 통계자료를 일방적으로 제 공해주는 단방향성을 가지는 반면에 새롭게 구축될 직업교육 정보체제의 데 이터들은 직업교육기관, 직업교육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그리고 학생, 교・강사,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 등을 포함한 개방형 시스템을 채택하고 관 련 주체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완성되어지므로 다양한 정보들이 생성되 고 빠르게 갱신되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다. 직업교육 정보체제의 인적자원 풀은 단순히 학생관련 정보의 나열과 통계적 수치의 제시에 그치지 않고 인 적자원 풀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참여를 보장해 줌으로써 자신의 개인정 보를 확인하고 변화하는 자신의 정보를 학생들 스스로 갱신시킬 수 있게 함 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목표관리의 효율적인 수단으로 작용하며, 이 러한 내용들은 다시 인적자원 데이터베이스에 피드백되어 한국직업능력개발 원 인적자원 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이는 직업교육기관포탈로 서의 직업교육 정보체제를 완성시키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학생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인적자원 풀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대상만을 국한시켜 학생들의 참여를 제한시키지 말고 학생 정보를 생성하는 원천이자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데이 터 생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자기정보를 확인,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 기개발과 능력향상을 촉진시켜야 하겠다. 변화하는 학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그 자체로 훌륭한 인적자원 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인적 자원 풀을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활용도와 이용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KRIV ET 인적자원 풀 (학생정보 데이터베이스 ) 학 생

자기정보확인・수정 목표관리

일반사용자

기업사용자

정책입안・연구자 D S S

H RM ID/ P W

[그림 Ⅳ- 3] 학생 영역 정보의 활용

나) 교・강사 영역

교・강사 영역에 적재될 정보의 내용 역시 기본적으로 통계데이터베이스 에 적재된 후 추출, 정제 등의 과정을 거쳐 각각의 목적데이터베이스에 적재 될 것이다. 이렇게 적재된 목적 데이터들은 학생 영역의 정보들과 마찬가지 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형태로 가공되어 제공되는데, 교・강사 영역 의 정보들 역시 인적자원 풀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직업교육기 관의 입장에서 볼 때, 훌륭한 교・강사의 확보를 위해 등록된 교・강사들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교・

강사 정보가 폭넓고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강사 영역의 정보들은 직업교육기관의 지식자원 확보를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교・강사들의 주요 활동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됨으로써 해당 활동들이 직업교육기관의 교육기관 운영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들로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들의 활동과 교육성과 등이 직업교육기관간에 공유된다

면 정보의 공유를 통한 효율적인고 합리적인 학사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 대된다. 또한 교・강사 영역의 정보들이 컨텐츠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직업교 육기관간 P2P 서비스와 연계된다면 이러한 정보 공유 효과는 더욱 증가하게 될 것이다.

학생 및 학부모와 같이 진로결정을 해야하는 경우나 진로지도를 담당하는 교・강사집단의 경우에 교・강사 영역의 정보는 의사결정과정에 주요한 준 거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우수한 교수진 또는 자신의 여건과 요구에 부합하 는 교수진이 확보된 교육기관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만족스런 의사결정을 내 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다) 교육기관/ 교육과정 영역

교육기관/ 교육과정 영역의 정보는 교・강사 영역의 정보들과 함께 사용자 들에게 해당 직업교육기관의 정보를 외형적으로 파악하고 직관적인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설 및 기타 물리적 인 교육환경을 파악하는 수단이 되며 교육과정의 정보를 통해 해당 직업교 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의 내용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영역의 정보는 주로 수치적인 내용과 직업교육기관에서 작성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전송한 정보에 크게 의존 하게 되는데 교육과정 영역의 정보는 학생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해당 교육 과정을 수행한 학생의 정보를 보장해 주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특정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평균적인 성취도 또는 객관적 기준 에 의한 성취도와 결합시켜 해당 교육과정을 수행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나 타나게 해줌으로써 학생 정보와 교육과정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해당 교육기관의 실질적 운영 내용을 파악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문서에서 직업교육의 정보화 (페이지 12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