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홍보관련 데이터베이스 항목

문서에서 직업교육의 정보화 (페이지 81-89)

실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에 대 한 조사결과, 학교와 학생, 그리고 기업체 중에서 학교가 홍보의 목적으로 관련 항목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Ⅲ-19>

에서 보듯이 학교를 대상으로 홍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 한지에 대한 조사결과, 항목별로는 학생주소(73.5%)에 대한 기재의 필요성 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계열(55.3%), 진학률/ 취업률(52.9%), 개설학과

(51.8%), 학과별 학급수(50.6%) 등이 반수가 넘는 응답비율을 보였다. 반면 에 졸업생의 초임액 평균, 경력연수별 교사수, 연령별 교사수, 행정 및 기 타 지원요원수, 학생의 가정환경, 학생의 건강상태, 표준화검사 결과, 직업 적성검사 및 지능검사 결과, 교육내용 및 교재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 만 족도, 교사와의 관계 만족도, 희망업종, 학교예산 총액, 수업 및 교육활동 지원예산, 인건비 규모, 시설 및 설비유지 상황 등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응 답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 교육의 질적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자 료와 학생의 건강 및 가정환경, 그리고 교육을 둘러싼 주변여건, 그리고 학 생들이 향후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출하게 될 경우 진로의 특성들의 자 료에 대해서는 학교기관이 홍보와 큰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홍보를 위해 데이터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 중 학교와 마찬가지 로 학교주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53.5%로서 가장 높은 응답비율 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학교설립 유형(32.5%), 개설학과(31.0%) 등이 상 대적으로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으나,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학교보다 는 상대적으로 낮아 홍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에 이유가 학 생의 인식과는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학교기관이나 학생들에 비해서 홍보의 필요성으로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대 부분 10%미만으로 현저하게 떨어져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기관과 학생 들보다는 그 관심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9> 실업계 고등학교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

(단위 : 개소, 명, %)

데이터베이스 구축 항목

대상집단별 필요성 인지 빈도

실업고 (N =170)

학생 (N =200)

기업체 (N =90)

학교주소 n 125 107 7

% (73.5) (53.5) (7.8)

전체학생수 n 83 41 3

% (48.8) (20.5) (3.3)

전체학급수 n 82 50 5

% (48.2) (25.0) (5.6)

전체교직원수 n 73 35 6

% (42.9) (17.5) (6.7)

학교설립유형(국립/ 공립/ 사립) n 82 65 5

% (48.2) (32.5) (5.6) 계열(농업/ 공업/ 상업/ 수산및해양/ 실업/ 종합) n 94 43 8

% (55.3) (21.5) (8.9)

개설학과 n 88 62 5

% (51.8) (31.0) (5.6)

학과별 학급수 n 86 29 4

% (50.6) (14.5) (4.4)

전공에 있어서의 특기사항 n 83 35 2

% (48.8) (17.5) (2.2)

지역의 산업과 관련된 학과개설 여부 n 73 35 5

% (42.9) (17.5) (5.6)

학과에 대한 학생만족도 n 47 51 4

% (27.6) (25.5) (4.4)

졸업률 n 43 43 5

% (25.3) (21.5) (5.6)

<표 Ⅲ-19> 실업계 고등학교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표계속)

(단위 : 개소, 명, %)

데이터베이스 구축 항목

대상집단별 필요성 인지 빈도 실업고

(N =170)

학생 (N =200)

기업체 (N =90)

진학률/ 취업률 n 90 52 8

% (52.9) (26.0) (8.9)

시장의 요구수용정도 n 49 29 6

% (28.8) (14.5) (6.7)

취업경로 n 39 42 7

% (22.9) (21.0) (7.8)

진로지도 n 48 31 5

% (28.2) (15.5) (5.6)

교사1인당 학생수 n 53 28 8

% (31.2) (14.0) (8.9)

직위별 교사수 n 38 23 4

% (22.4) (11.5) (4.4)

국가기술자격 소유교사수 n 50 36 6

% (29.4) (18.0) (6.7)

담당과목별 교사수 n 51 38 4

% (30.0) (19.0) (4.4)

주당 수업시간별 교사수 n 35 14 8

% (20.6) (7.0) (8.9)

학생선발 기준 n 68 46 5

% (40.0) (23.0) (5.6)

학년별 학생수 n 71 37 3

% (41.8) (18.5) (3.3)

전공별 학생수 n 63 36 3

% (37.1) (18.0) (3.3)

학생들의 학교선택 이유 n 48 37 7

% (28.2) (18.5) (7.8)

학생들의 입학성적 평균 n 36 30 3

% (21.2) (15.0) (3.3)

전공을 나누는 기준 n 40 30 4

% (23.5) (15.0) (4.4)

<표 Ⅲ-19> 실업계 고등학교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표계속)

(단위 : 개소, 명, %)

데이터베이스 구축 항목

대상집단별 필요성 인지 빈도 실업고

(N =170) 학생 (N =200)

기업체 (N =90)

학생의 나이 n 37 17 8

% (21.8) (8.5) (8.9)

학생의 성별 n 47 16 7

% (27.6) (8.0) (7.8)

학교시설 만족도 n 47 61 2

% (27.6) (30.5) (2.2)

학교주변환경 만족도 n 40 59 4

% (23.5) (29.5) (4.4)

희망직업 n 41 33 12

% (24.1) (16.5) (13.3)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동기 및 진로탐색 n 37 22 4

% (21.8) (11.0) (4.4)

장학금ㆍ학비감면 상황 n 67 37 2

% (39.4) (18.5) (2.2)

학교전용면적 n 44 25 7

% (25.9) (12.5) (7.8)

강의실면적 n 36 26 3

% (21.2) (13.0) (3.3)

특별실면적 n 42 23 4

% (24.7) (11.5) (4.4)

실습실이용 상황 n 53 46 4

% (31.2) (23.0) (4.4)

기자재보유 현황 n 54 44 4

% (31.8) (22.0) (4.4)

실습형태(학교실습,기업체파견실습등) n 49 43 5

% (28.8) (21.5) (5.6)

도서관 자료보유 현황 n 54 38 3

% (31.8) (19.0) (3.3)

도서관 이용률 n 41 30 3

% (24.1) (15.0) (3.3)

한편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홍보를 위한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조사결과,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 율은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보의 필요성 때문에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교기관의 비중은 학생이나 기업체보다도 높은 가운데, 항목별로 대학 주소(93.3%)나 대학명(83.3%) 등이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으며, 학과 (70.0%), 전체학생수(63.3%), 대학설립유형(63.3%), 전공(63.3%), 전공학과명 (56.7%), 도서 및 장서의 수(53.3%), 전체교직원수(50.0%), 장학금 종류 및 지급규모(50.0%), 시설 및 설비규모(50.0%) 등이 절반이 넘는 응답비율을 보 였다. 반면에 전일제 교수요원 수, 시간제 교수요원 수, 교수요원 근무부담, 주민등록변호, 연령, 성별, 병역관계, 건강, 가족사항, 부모의 인적사항, 거주 지 및 통학거리, 주거형태, 학비충당방법, 입학 전 학위취득 여부, 중등교육 기관에서의 자격증 취득 여부, 학교입학동기 및 이유, 어학능력, PC사용능 력, 산업체 현장실습 분야 및 기간, 취득희망 자격증, 정부지원 교육프로그 램 수혜여부, 졸업 후 희망 진로, 진학희망 여부 및 전공, 희망산업 및 직 종, 기업형태 등에 대해서는 홍보목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교의 경우는 매우 적어 학생의 질적인 수준 및 교육시장과 노동 시장간의 연계방안, 그리고 자격증이 노동시장에서 갖는 의미 및 역할과 관련한 학교 홍보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자 는 전문대기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응답비율을 보인 가운데 전문대학 기 관과 마찬가지로 대학명(51.0%)이 가장 높은 찬성비율을 보였다.

기업체를 대상으로 홍보의 이유로 직업교육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 하다고 응답한 경우도 실업계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 은 찬성비율을 보였다.

<표 Ⅲ-20> 전문대학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

(단위 : 개소, 명, %)

데이터베이스 구축 항목

대상집단별 필요성 인지 빈도 전문대학

(N =30) 학생 (N =200)

기업체 (N =90)

대학명 n 25 102 12

% (83.3) (51.0) (13.3)

대학주소 n 28 68 8

% (93.3) (34.0) (8.9)

전체학생수 n 19 48 7

% (63.3) (24.0) (7.8)

전체학급수 n 14 47 5

% (46.7) (23.5) (5.6)

전체교직원수 n 15 39 9

% (50.0) (19.5) (10.0)

대학설립유형(국립/ 공립/ 사립) n 19 59 6

% (63.3) (29.5) (6.7)

학과 n 21 62 7

% (70.0) (31.0) (7.8)

전공 n 19 48 6

% (63.3) (24.0) (6.7)

심화학습과정 n 11 28 4

% (36.7) (14.0) (4.4)

지역사회봉사 n 13 27 2

% (43.3) (13.5) (2.2)

교수요원총수 n 11 26 3

% (36.7) (13.0) (3.3)

행정지원요원총수 n 9 16 3

% (30.0) (8.0) (3.3)

학생 등록현황 n 10 36 7

% (33.3) (18.0) (7.8)

시간제학생 등록현황 n 7 26 3

% (23.3) (13.0) (3.3)

전공학과명 n 17 60 6

% (56.7) (30.0) (6.7)

<표 Ⅲ-20> 전문대학의 홍보 필요성에 대한 반응(표계속)

(단위 : 개소, 명, %)

데이터베이스 구축 항목

대상집단별 필요성 인지 빈도 전문대학

(N =30) 학생 (N =200)

기업체 (N =90)

입학년도 n 10 23 10

% (33.3) (11.5) (11.1)

출신고등학교 n 7 20 4

% (23.3) (10.0) (4.4)

고등학교 졸업연도 n 6 18 5

% (20.0) (9.0) (5.6)

수업, 학습, 교육활동지원 예산규모 n 7 17 6

% (23.3) (8.5) (6.7)

연구활동지원 예산규모 n 6 22 2

% (20.0) (11.0) (2.2)

학생활동지원 예산규모 n 9 31 2

% (30.0) (15.5) (2.2)

장학금 종류 및 지급규모 n 15 52 5

% (50.0) (26.0) (5.6)

시설 및 설비 규모 n 15 41 1

% (50.0) (20.5) (1.1)

학교전용면적 n 12 36 1

% (40.0) (18.0) (1.1)

강의실면적 n 10 31 8

% (33.3) (15.5) (8.9)

특별실 면적 n 7 22 3

% (23.3) (11.0) (3.3)

가동률 n 7 23 5

% (23.3) (11.5) (5.6)

학생당 단위면적 n 9 26 3

% (30.0) (13.0) (3.3)

도서 및 장서의 수 n 16 57 1

% (53.3) (28.5) (1.1)

기자재보유현황 n 12 42 3

% (40.0) (21.0) (3.3)

문서에서 직업교육의 정보화 (페이지 8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