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공유네트워크 공모사업

❚ 도시재생과 결합한 지역기반 공유경제 모델 실험: ‘BeePark Project’

청년인구가 많은 대전의 특성을 반영하여 청년창업 및 코워킹 공간인 ‘벌집’을 중심으로 셰어하우징, 주방공유, 카셰어링 등 다양한 자원을 공유화하여 의식주를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모델을 구상 중이다. 공유경제를 통한 지역의 유휴공간 활용 및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도시재생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공유거버넌스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팀은 도시재생과 공유경제를 융합해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관점을 공유하고 있다. 앞으로 도시재생, 공유경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교집합을 어떻게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 청년들과 시민들, 지자체가 어떻게 공유 거버넌스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집중하고 있다(대전 사회적자본지원센터 ○○○팀장).”

도시재생과의 관계 공유거버넌스

<그림 4-4> 대전 사회적자본지원센터 공유경제 지역모델

출처: 천영환(2015:7,8)

BeePark Project 대상지는 충남대와 카이스트 사이의 유성구청 인근 지역으로 주변지역에 비해 상대적 쇠퇴를 겪고 있어 빈 주택, 빈 상가, 빈 사무실 등의 유휴 건축물들이 상당히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다. 청년 공동체 중심으로 한 코워킹 스페이 스, 셰어하우징, 주방공유 등 7개 공유자원을 구축하고 장기적으로는 이들을 연계한 사회적 협동조합을 조직할 계획히다.

“대상지는 충남대와 카이스트 그리고 한빛아파트로 둘러싸여 있어 청년층과 시민층을 융합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BeePark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다. 청년들이 제도권에 편입되지 않더라도 사회적 만족감을 느끼며 살 수 있는 지역 협의체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대전 사회적자본지원 센터 ○○○팀장).”

대상지 개념도

공동체기반 공유자원 공동체기반 공유생태계 조성

1. 코워킹 스페이스: 벌집 2. 청년 셰어하우스 3. 공유주방:

레시피, 퀴진 생산. 주부 및 커플수요가 높음 4. 공유도서관(공유책장)

5. 공유무대 : 공연을 하고 싶은 버스커들의 수요충족. 무대를 통한 청년문화 생산 6. 생활공동체: 옥상에서 피크닉, 텃밭가꾸기,

청년 생활공동체 활동

7. 카셰어링: 피플카(대전의 카셰어링 업체)⇒

7개 공유네트워크로 사회적 협동조합 준비

A 자치협의체 프로Police

B 공유지역화페 꿀포인트: 대안화폐에 포인트 결합

C 로컬SNS(슬랙)

D 공유장터 마르쉐(준비 중): 대상지 외부의 일 반시민과 교류할 수 있는 장

<표 4-18> BeePark Project: 공유공동체(Share Commune) 조성

출처: 천영환(2015:9,11)

출처: 직접 촬영

<그림 4-5> 대전 커뮤니티 코워킹 스페이스 ‘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