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총량 전망 1. 농업생산액 전망 4)

∙ (동향) 2017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2.1% 상승한 48조 5,880억 원으로 추정된 다. 재배업 부문 생산액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28조 3,310억 원, 축잠업은 전년 대비 5.0% 증가한 20조 2,57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문재인 정부의 시장격리 물량 확대 방침 발표에 따른 수확기 쌀 가격 상승(전 년 대비 18.1%)으로 곡물류 생산액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8조 5,990억 원으로 추 정된다. 채소류는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년보다 5.9% 감소한 10조 6,17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과실류의 경우, 기상이변에 따른 단감, 사과, 감귤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 고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전년보다 1.9% 증가한 5조 1,02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잠업) 한육우의 경우, 2016년 추석 이후 시행된 청탁금지법에 의한 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생산액은 전년 대비 6.2% 감소한 4조 7,450억 원으로 추정된다.

돼지는 지속적인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2017년 초 가금육류 AI 발생에 따른 대 체수요 증가로 생산액은 전년 대비 8.9% 증가한 7조 3,580억 원으로 추정된다.

2017년 계란 생산액은 2016년 말 발생한 AI여파에 의한 2017년 초 계란 가격의 상 승폭이 2017년 8월 살충제 파동에 의한 계란 가격 하락폭보다 커 전년 대비 36.4%

증가한 2조 3,2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오리와 닭은 AI 발생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폭 보다 가격 상승폭이 커 전년 대비 각각 15.5%, 2.1% 증가한 1조 530억 원, 2조 420 억 원으로 추정된다. 젖소는 지속적인 원유 감산 대책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2017년 생산액은 전년 대비 5.5% 감소한 2조 540억 원으로 추정된다.

∙ (2018년) 기상이변 및 가축질병 등 특이사항이 없으면 2018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48조 9,680억 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2018년부터 시행되는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영향으로 쌀 생 산량 감소 및 두류ㆍ서류 가격 하락으로 곡물류 생산액은 전년 대비 4.0% 감소할 전 망이다. 반면 채소류, 과실류, 특용ㆍ약용 작물은 각각 전년보다 10.4%, 5.6%, 1.9%

4) 뺷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2017뺸에서 2008~16년 생산액을 재추정하여 발표하였으며, 본 장에 이를 반영함.

증가하여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29조 4,560억 원으로 전망된다.

2018 2022 2027 16/97 17/16 18/17 27/평년1) 농업 총생산액 29,375 47,596 48,588 48,968 50,064 52,556 2.6 2.1 0.8 0.7

재배업 22,472 28,298 28,331 29,456 29,355 29,448 1.2 0.1 4.0 -0.2 곡물류 10,271 8,062 8,599 8,256 7,675 6,648 -1.3 6.7 -4.0 -3.4 채소류 6,317 11,288 10,617 11,724 12,114 12,710 3.1 -5.9 10.4 2.5 과실류 3,137 5,008 5,102 5,389 5,154 5,315 2.5 1.9 5.6 0.5 특용ㆍ약용 651 1,845 1,922 1,958 2,224 2,544 5.6 4.2 1.9 4.0 축잠업1) 6,903 19,299 20,257 19,513 20,709 23,108 5.6 5.0 -3.7 2.1 한육우 2,107 5,057 4,745 4,901 5,530 6,170 4.7 -6.2 3.3 3.2 돼지 1,960 6,757 7,358 6,874 7,084 7,780 6.7 8.9 -6.6 1.7 닭 773 1,999 2,042 1,901 2,086 2,384 5.1 2.1 -6.9 1.6 계란 634 1,707 2,329 2,063 2,021 2,303 5.3 36.4 -11.4 2.1 젖소 962 2,175 2,054 2,062 2,019 2,035 4.4 -5.5 0.4 -0.7

∙ (상위 품목 변화 전망) 생산액 1순위였던 미곡(쌀)이 2016년부터 돼지보다 낮았으며 이는 중장기적으로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곡(쌀)은 지속적인 생산액 감 소가 예상되어 2024년부터 한육우 생산액보다도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2-13. 농업생산액(명목) 상위 10개 품목 변화

단위: 억 원, %

순위 2015 2016 2017(추정) 2018(전망)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총생

산액 489,791 475,962 485,876 489,684

1 미곡 76,972 15.7 돼지 67,565 14.2 돼지 73,582 15.1 돼지 68,737 14.0 2 돼지 69,671 14.2 미곡 63,919 13.4 미곡 69,529 14.3 미곡 67,086 13.7 3 한육우 47,077 9.6 한육우 50,570 10.6 한육우 47,453 9.8 한육우 49,009 10.0 4 우유 22,851 4.7 우유 21,751 4.6 계란 23,294 4.8 계란 20,631 4.2 5 닭 19,095 3.9 닭 19,986 4.2 우유 20,545 4.2 우유 20,623 4.2 누계 235,666 48.1 223,791 47.0 234,402 48.2 226,087 46.2

6 계란 18,369 3.8 계란 17,072 3.6 닭 20,415 4.2 닭 19,007 3.9 7 사과 16,066 3.3 마늘 14,772 3.1 마늘 15,322 3.2 마늘 15,597 3.2 8 딸기 12,958 2.6 딸기 13,057 2.7 사과 12,445 2.6 사과 13,036 2.7 9 고추 11,344 2.3 사과 12,382 2.6 약용 12,039 2.5 감귤 12,922 2.6 10 마늘 10,654 2.2 약용 11,055 2.3 딸기 11,955 2.5 약용 12,568 2.6 누계 305,057 62.3 292,129 61.4 306,579 63.1 299,217 61.1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 (2018년) 투입재비 증가폭이 농업생산액 증가폭을 상회하여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2018 2022 2027 16/97 17/16 18/17 27/평년2) 농업 20,202 26,213 27,120 27,068 26,769 27,740 1.4 3.5 -0.2 0.6

(68.8)3) (55.1) (55.8) (55.3) (53.5) (52.8) -0.7%p 0.7%p -0.5%p -0.1%p 재배업 18,006 16,970 17,027 17,874 17,281 16,854 -0.3 0.3 5.0 -0.6

(80.1) (60.0) (60.1) (60.7) (58.9) (57.2) -1.1%p 0.1%p 0.6%p -0.2%p 축산업 2,196 9,243 10,092 9,194 9,488 10,887 7.9 9.2 -8.9 2.8

(31.8) (47.9) (49.8) (47.1) (45.8) (47.1) 0.8%p 1.9%p -2.7%p 0.4%p

주 1) 부가가치는 명목 기준이며, 부대서비스는 제외됨.

2) 평년은 2013~17년 평균값임.

3) ( )는 부가가치율을 의미함.

자료: 한국은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