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4.1. 농가구입가격 동향 및 전망

∙ (동향) 2016년 미국 셰일 오일 증산정책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세가 주요 산유국의 감산 시행에 따라 반등되면서 2017년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2% 상승한 109.0 으로 추정된다.

- (경상재) 2017년 국제유가 반등으로 영농광열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2.1% 상승하 나, 이를 제외한 종자, 비료, 농약, 영농자재가격지수는 전년보다 각각 8.4%, 5.2%, 2.4%, 1.9% 하락하여 경상재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1%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 (투입재) 영농광열 및 농기구가격지수가 전년보다 각각 12.1%, 6.5% 상승하여 2017년 투입재가격지수는 전년보다 0.9%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투입재 이외 노임, 임차료, 가축구입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7%, 4.1%, 2.4% 상승 한 반면, 2017년 사료가격지수는 2016/17년산 국제곡물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0.8%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18년) 2017년 산유국 감산 지속으로 국제유가가 완만하게 상승하고, 국내 최저 임금 인상 정책에 따른 노임 상승으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5% 상승한 111.8로 전망된다.

- (투입재) 국제유가 상승으로 투입재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1% 상승할 전망이다.

- (노임ㆍ임차) 노임지수는 물가상승 및 신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정책 영향으로 전년 대비 13.0%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임차료지수는 3.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사료가격) 2017/18년산 국제곡물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1.3% 하락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국제유가의 지속적 상승으로 2027년에는 2014년 수준(배럴당 93.2달 러)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2027년 투입재가격지수는 연평균 1.8% 상승할 것 으로 전망된다. 노임지수와 임차료지수, 가축구입가격지수는 각각 연평균 4.1%, 0.7%, 3.3% 상승할 전망이다. 2027년 사료가격지수는 국제곡물가격이 완만하게 상 승할 것으로 기대되어 연평균 0.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17. 농가구입가격지수 추이 및 전망 (2010=100)1)

구 분 1997 2016 2017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18 2022 2027 16/97 17/16 18/17 27/평년2)

농가구입가격지수 54.8 109.3 111.1 - - - 3.7 1.6 -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2.4.2. 농가 판매가격 동향 및 전망

- 2016년 추석 이후 시행된 청탁금지법 시행령으로 국내 한우 수요가 감소하여 2017

2018 2022 2027 16/97 17/16 18/17 27/평년1) 전체 농산물 77.2 113.4 118.8 119.3 120.9 125.3 2.0 4.8 0.4 0.9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2.4.3. 농가교역조건 추이 및 전망

∙ (동향) 2017년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투입재가격 상승 및 노임, 임차료, 가축비 상 승으로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2% 상승하나, 농가판매 가격지수 상승폭(4.8%)이 더 커 농가교역조건은 전년보다 3.6% 개선된 것으로 추정 된다.

∙ (2018년) 사료비, 가축비를 제외한 농업투입요소 비용이 모두 상승하여 농업구입 가격지수 상승폭(2.5%)이 농가판매가격지수 상승폭(전년 대비 0.4%)보다 커 2018년 농가교역조건은 전년 대비 2.1%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저임금 상승에 따 른 노임 상승이 농가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중장기 전망)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0.9% 상승하나 국제유가 및 국제곡물(옥 수수, 대두)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구입가격지수의 연평균 상승폭(1.7%)이 이를 상회 하여 농가교역조건은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0.8%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19. 농가교역조건(패리티지수) 추이 및 전망 (2010=100)

구 분 1997 2016 2017(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18 2022 2027 16/97 17/16 18/17 27/평년1) 농가판매가격지수(A) 77.2 113.4 118.8 119.3 120.9 125.3 2.0 4.8 0.4 0.9 농업구입가격지수2)(B) 50.9 107.7 109.0 111.8 121.1 130.7 4.0 1.2 2.5 1.7

농가교역조건3)

(A/B×100) 151.7 105.3 109.0 106.7 99.8 95.9 -1.9 3.6 -2.1 -0.8

주 1) 평년은 2013~17년 평균값임.

2) 농업구입가격지수는 가계용품을 제외한 실제 농업관련 비용으로 투입재, 노임, 임차료, 가축구입가격, 사료가격지수를 가중평균한 지수임.

3) 농가교역조건은 농업구입가격지수 대비 농가판매가격지수로 산출되는 농업부문 패리티지수임.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