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가유형별 경영구조 변화

02 농가경제 변화

2.2. 농가유형별 경영구조 변화

2.2.1. 농가유형별 특성

∙ 개별 농가특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 3-9>에 기초하여, 경영주 연령 70세와 표준영농규모 2ha를 유형화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가유 형을 청장년-소농(70세 미만-2ha 미만), 청장년-중대농(70세 미만-2ha 이상), 고령

-소농(70세 이상-2ha 미만), 고령-중대농(70세 이상-2ha 이상)의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경영주연령 평균(세) 63.9 64.7 65.4 66.2 67.1 65.7 66.7 67.4 68.3 표준영농규모 평균(ha) 2.1 2.0 2.0 2.1 2.0 2.1 2.0 1.9 1.8

자료: 통계청(MDIS), 농가경제조사 원자료, 각 연도.

표 3-9. 경영주 평균 연령 및 표준영농규모 추이

∙ 농가유형의 기본성격을 보면, 고령-소농과 청장년-소농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26.5%로 청장년-소농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으나, 2016년에는 고령화의 급격한 진전으로 인해 고령-소농의 비중이 37.2%로 급증한 반면 청장년-소농의 비중은 35.8%로 소폭 감소하였다. <그림 3-6>에서 보듯이 고령화 영향으로 고령농가의 비 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청장년 농가의 비중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 2016년의 농가유형별 경영주 평균 연령은 청장년의 경우 61세인 반면, 고령-중대농은 75세, 고령-소농은 77세이다.

- 2008년과 2016년의 표준영농규모를 비교하면, 소농의 경우 모두 감소하는 반면 중대농은 모두 증가한다. 이를 통해 농가규모의 양극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6. 연도별 농가 비중 추이

단위: %

주: 농가경제조사 표본이 2013년에 교체되었기에 2008~2012년과 2013~2016년 기간을 구분함.

자료: 통계청(MDIS), 농가경제조사 원자료, 각 연도.

단위: %, 세, ha 농가 유형

비중 평균 연령 표준영농규모

2008 2016 증감

(%p) 2008 2016 연평균

증감률 2008 2016 연평균 증감률 청장년-소농 40.0 35.8 -4.2 59 61 0.4 1.05 0.95 -1.2 청장년-중대농 26.4 16.8 -9.6 58 61 0.6 4.29 4.63 1.0

고령-소농 26.5 37.2 10.7 74 77 0.5 0.94 0.93 -0.1

고령-중대농 7.2 10.1 2.9 73 75 0.3 3.49 3.55 0.2

자료: 통계청(MDIS), 농가경제조사 원자료, 각 연도.

표 3-10. 농가유형별 변화 추이

2.2.2. 농가유형별 영농형태 변화

∙ 위의 <표 3-11>에서 청장년-소농과 고령-소농이 농가소득 확보를 위해 겸업농가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고 그 비중도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가유형별로 전업과 겸업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 3-12>와 같다.

- 모든 농가유형에서 전업농가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나, 특히 고령-소농과 청장년-소농의 감소폭이 가장 크다.

- 소농을 제외한 모든 농가유형에서 1종겸업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청장년-소농은 2종겸업의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하여, 농업외소득에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 을 알 수 있다.

농가유형 전업농가

증감 1종겸업

증감 2종겸업

2008 2016 2008 2016 2008 2016 증감

청장년-소농 36.9 29.5 -7.4 10.3 7.9 -2.4 52.8 62.6 9.8 청장년-중대농 53.7 50.6 -3.1 26.9 30.3 3.4 19.4 19.2 -0.2 고령-소농 72.8 64.5 -8.3 7.9 10.7 2.8 19.4 24.8 5.4 고령-중대농 80.4 75.4 -5.0 12.1 15.3 3.2 7.6 9.3 1.7

표 3-12. 농가유형별 전ㆍ겸업 형태 변화

단위: %, %p

주 1) 전업농가는 영리를 목적으로 연간 30일 이상 농사이외의 일에 종사한 가구원이 없는 농가임.

2) 겸업농가는 영리를 목적으로 연간 30일 이상 농사이외의 일에 종사한 가구원이 있는 농가이며, 만약 농업총수입이 농업외수입보다 더 많으면 1종겸업, 농업총수입이 농업외수입보다 적으면 2종겸업임.

자료: 통계청(MDIS), 농가경제조사 원자료, 각 연도.

2.2.3. 농가유형별 소득 변화

∙ 농가유형별로 농업소득과 농외소득, 이전소득의 변화를 살펴보면 농가유형별 특성이 잘 나타난다. 청장년-소농은 농외소득에의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고령-소농은 이전 소득에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고령-소농의 경우 농가소득 중 이전소득이 차지 하는 비중은 2008년 30.9%, 2016년 38.0%로 가장 높다. 반면 청장년-중대농과 고령-중대농은 농업소득에의 의존도가 높다.

단위: 천 원, %

농가유형 농업소득 연평균

증감률

농외소득 연평균

증감률

이전소득 연평균

2008 2016 2008 2016 2008 2016 증감률 청장년-소농 5,245 6,080 1.9 16,146 26,012 6.1 4,637 8,243 7.5 청장년-중대농 20,826 29,347 4.4 11,663 16,163 4.2 5,399 10,096 8.1 고령-소농 4,489 4,229 -0.7 5,575 6,925 2.7 5,975 8,594 4.7 고령-중대농 12,229 13,545 1.3 4,836 6,242 3.2 5,988 9,201 5.5

자료: 통계청(MDIS), 농가경제조사 원자료, 각 연도.

표 3-13. 농가 유형별 소득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