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부문 가치사슬 구조

농산물은 일반 공산품과 달리 생산에서 판매까지 품목별 특성, 속성 등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매우 많다. 농산물의 가치사슬이 효과적으로 운영되 기 위해서는 종자․육묘단계, 생산단계, 선별․가공․포장단계, 유통단계, 소비단계, 수출단계 등 단계별 활동들이 시장 확대를 목표로 유기적으로 연계 될 수 있는 시스템이 조성되어야 한다. 특히, 최종 농산물의 부가가치 를 높이는데 각 단계마다 기여한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가치사슬에서 단계 별로 상호 조정(coordination)과 상호조정(cooperation)이 무엇보다 중요하 다.

그림 2-2. 농산물의 가치사슬 구조

가치사슬은 생산자 입장과 소비자 입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생산자 입장에서는 활동 단계가 상위로 올라가 농산물을 생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부가가치를 생성하는 후방산업(upstream)과 관련이 깊고, 반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활동단계가 아래로 내려가 생산물과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에 초점을 맞춘 전방산업(downstream)으로 구분할 수 있다10. 만일, 가치사슬간 수직적 통합의 정도가 높을 경우에는 후방산업과 전방산 업 간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수직적 통합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관련 주체간 계 약에 의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농산물 품목 특성 에 따라 가치사슬의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의 정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통합 정도에 따라 가치창출 방안도 개별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그림 2-3. 가치사슬의 수직적 통합관계도

또한 단계별 생산자의 부가가치 증대와 함께 수요자의 소비트렌드를 반 영한 가치창출에 포커스를 맞춰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웰빙 트 렌드 등 식생활 문화의 변화로 생산에서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안전성이 입증된 식품의 판매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장의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고품질 안전농산물의 생산이라는 공통 된 목표하에 모든 관련 활동들이 체계적으로 관리․통제 할 수 있는 일괄

10 일반적으로 후방산업은 사이클이 빠르며, 전방산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사 이클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개별 품목마다 가치창출 활동이 효율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 부문 에 대해서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먼저 가치사슬의 수직적 통합11을 유도하 여 경영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 품목별 산지 생산자조직이나 계 열화․수출전문 조직이 육성되어야 하며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 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켜 역량강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12.

따라서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단계별 조직들의 역할과 기능을 조정하고 상호협력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다음 4가지 역량 향상(upgrading)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표 2-3)13.

표 2-3. 경쟁역량 향상(upgrading)을 위한 유형별 전략 경영부문의 경쟁력 향상 유형 농업부문의 경쟁력 향상 유형 공정향상(process upgrading) 생산, 선별, 저장, 유통의 효율화

제품(product upgrading)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기능(functional upgrading) 가공, 포장, 마케팅의 가치 창출

사슬(chain upgrading) 조직화, 계열화를 통한 일괄시스템 자료: 이준호, 김종일(2007), 표 보완.

첫째, 경영학에서는 공정향상이란 제품의 제조시스템을 재정비하거나 보다 선진화된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투입물을 산출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농업에서도 생산 인프라 구축, 생산한 농산물을 첨단기술․시설로 선별․저장하고 유통채널을 규모 화․시스템화 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11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치사슬 간 조정과 상호조정(coordination and cooper-ation) 관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가 핵심 이슈이다. 가치사슬은 의도적인 단계 별 통합이 아니라 단계별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최종 목표이기 때문에 수직적 통합이 반드시 가치창출로 연계되는 것은 아니다.

12 궁극적으로 전국 단위 유통, 가공, 수출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대규 모 생산자조직(품목 대표조직)의 육성을 말한다.

13 보다 자세한 내용은 Kaplinsky, R. and Morris, M. “A Handbook for Value Chain Research”, IDRC, 2001의 “Value chain, innovation and upgrading” 참조.

둘째, 제품향상은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함으로 써 이룰 수 있는데 농업에서는 친환경, 기능성을 함유한 고품질 농산물 생 산이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능향상 부문에서는 디자인, 마케팅 등 고부가가치 창출을 수행 하기 위해서 새로운 기술이나 기능을 도입하는 것으로 농산물의 소포장, 선진가공기술의 도입 등을 통해 차별화된 농산물을 공급하고 다양한 정보 제공 등 마케팅 활동을 통해 소비자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끝으로 가치사슬 향상은 가치사슬상의 어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 정에서 습득한 경쟁요소를 새로운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이는 농 업부문에서 생산자 조직화, 수출전문 조직 등을 통해 가치사슬을 동일한 목표하에 일괄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