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 농업기계화는 수도작과 관련된 농기계를 중심으로 1955년 이후 발전 해 왔다. 1955년경에는 보행형 트랙터, 동력방제기 등 소형기계의 보급이 시작 되었고 1965년경에는 바인더, 이앙기, 자탈형 콤바인 등이 개발, 도입되어졌다.

그리고 승용 트랙터 보급이 이루어져 현재는 수도작 기계화 일관체계가 확립 되었다. 이 때문에 수도작에서의 기계 이앙 및 수확의 비율은 매우 높다. 이로 인해 2002년산 쌀의 10a당 노동시간도 32.4시간(1970년 117.8시간, 농림수산성,

‘쌀생산비조사’)로 대폭 단축되었다. 아울러 농업기계화는 과중한 노동의 경 감, 노동생산성의 향상, 작업의 적기화에 크게 공헌하여 오고 있다.

그리고 수도작에 있어서 직파재배기술이라는 한 층 발전된 생력화, 효율화 등을 목표로 무인 헬리콥터, 대형 범용콤바인 등의 고능률 기계가 도입되고 있다. 한 차원 높은 대형 농업기계화체계의 확립이 진전되고 있는 것이다. 또 한 이제까지의 기계화가 늦던 분야인 채소, 과수 등에 대해서도 고성능 농업 기계의 개발․보급이 추진되고 있다.

1.1. 일본 농업기계화 정책의 시대 구분

일본의 농업기계화 정책은 명치유신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행정적 인 정책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45(소화20년)년 이후부터이다. 1945년을 기준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일본 농업기계화의 발전 단계를 구분하는 데 에는 학자에 따라 다른 기준이 있다. 일본의 前田耕一37)는 일본 농업기계화의 발전 단계를 행정시책의 발전을 기준으로 제5기까지만 구분하였다. 따라서 여 기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발전단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① 1945년 이전기(명치∼1944) ② 제1기(1945∼1952)

③ 제2기(1953∼1960) ④ 제3기(1961∼1969) ⑤ 제4기(1970∼1979) ⑥ 제5기(1980∼1990) ⑦ 제6기(1991∼현재)

1.2. 일본 농업기계화 정책의 발전단계별 특성 1.2.1. 1945년 이전기(명치∼1944)

오늘날과 같은 일본 농업기계화의 발전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 실현된 동력경운기의 발달과 그 급속한 보급이 기여한 바 크다. 농업의 변화, 농업정 책의 발전 등에 대응해 가면서 농기구업계의 시험․연구 부문의 꾸준한 노력 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 후 40여년 사이에 세계에서 그 유례가 없는 속도로 농업기계화가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이 종전 후 무(無)상태에서 출발한 것은 아니다. 그 기초는 명치시대에서 대정시대, 소화 년대에 들어서 제2차 세계대전에 이르기까지의 80년에 걸치는 긴 기간에 착실히 구축해 온 것이다. 이러한 농업기계화의 발전은 명치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를 염원한

37)) 前田耕一, 農業機械化 展史 , 農業機械化發展史刊行 , 平成6年.

정부와 민간 등 여러 농업 관계자가 농업기계화를 중시하고, 많은 관심과 노력을 경주해온 결과이다.

1945년 이전 기는 일본 농업기계화의 맹아기로 볼 수 있다. 명치이후 2차 대전 종전까지인 1944년까지 서양식 농기구 도입론,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농업기계화에 의한 자본주의 적응론, 중일전쟁 이후 농업기계화에 의한 전 시 농업생산력 확충론 등의 대두 등 일본의 농업기계화가 태동하기 시작하 였다.

이 시기에 이루어 진 주요 농기구 행정은 ① 농기계연구와 교육에 대한 행 정 시작, ② 개량 농기구의 구입 대여, ③ 우량 농기구의 보급 장려사업, ④ 농기구의 현상 모집, ⑤ 농기구의 비교 심사, ⑥ 전국 농기구 공진회 개최와 심사, ⑦ 전쟁 중 농기구 행정기구의 개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중일전쟁을 겪었다. 일본은 중일전쟁 발발이후 일반 물 가가 상승하고 철광자재가 급격하게 부족하자 농기구에 대한 전시물자 통제 를 하였다. 농기구 가격통제와 제조용 생산자재의 배급, 그리고 제품의 생산 및 배급에 대해서도 통제하였다. 제품의 생산 및 배급의 통제방법은 농기구 배급통제규칙을 제정하여 통제하였다.

1.2.2. 제1기(1945∼1952)

제1기는 1945년부터 1952년까지로 종전 후의 농기구 혼란기와 혼란기로부 터의 탈출을 통해 전후 농업기계화 발전의 첫발을 딛게 되기까지의 시기이다.

제2차 세계대전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전으로 종결되었다. 전후 기 간 40년간에 걸쳐 일본은 여러 분야에서 자체의 힘으로 놀라운 부흥을 성취 했지만, 농업 기술 면의 비약도 주목할 만하였다. 무엇보다 농업기계화는 농 업과 농업인의 요구, 그리고 농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해 가면서 일본 독자의 특기할 만한 발전을 보였다.

일본 농업기계화 제1기의 특징은 첫째, 제2차 세계대전 후 당면한 농기구 수급의 악화와 조악품의 범람에 의한 혼란시대에서 벗어나 농기계와 관련된 여러 가지 통제가 철폐되었고, 둘째, 품질의 개선을 위한 의뢰검사 제도를 도

입․발족시켜, 농기구가 질, 양 모두의 안정화를 지향하는 가운데 축력이용 이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셋째, 농기구의 새로운 이용 움직임이 나타났다 는 점이다.

제1기의 주요 농업기계화 정책으로는 ① 통제 철폐 후 농기구 행정조직 개 편, ② 농업기계화 보급 및 장려시책 추진, ③ 농기구 의뢰검사 제도 발족 등 을 들 수 있다.

먼저 통제 철폐 후 농기구 행정조직 개편은 과거 중일전쟁 당시 철광자재 가 크게 부족하자 전시물자인 농기구의 제조 및 배급 등에 대해 통제를 하였 는데, 이를 철폐하고 농기구 관리를 위한 행정조직을 개편하였다. 전시 하에 서 농기구 관련 통제업무를 농정국 자재과에서 담당하던 것을 농기구의뢰검 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기구 관련 업무를 농정국 농정과로 이관 하였다가 후 에 다시 농업개량국 경영과로 이관한 것이었다.

농업기계화 보급 및 장려시책으로는 농업기계화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 는 것과 농업기계화 추진사업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이었다. 농업기계화위원 회는 농업기계화에 관련된 여러 관계기관이 참여한 4개부(기획부, 기초기술부, 시험연구부, 이용연구부)로 조직되었다. 이 위원회의 임무는 첫째, 농기구 이 용 증진에 관련된 노동, 재배기술, 경영개선에 관한 사항, 둘째, 축력 및 동력 농기구의 개량 및 수리기구에 관한 사항, 셋째, 기타 농업기계화에 관한 사항 등과 관련된 대책을 수립하여 농림대신에게 보고하고 발표하는 것이었다.

1949년에 발족된 농기구 의뢰검사 제도는 전쟁이 끝난 후 조악한 농기계를 보다 우수한 농기계로 유인하기 위한 제도이다. 농민들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농기구에 대한 ‘국영검사’를 목적으로 설립된 제도인데, 이 제도는 농 업기계화가 급속하게 고도화되자 1962년 농업기계화연구소의 설립과 더불어 국영검사제도의 기구와 설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였다.

1.2.3. 제2기(1953∼1960)

제2기는 1953년부터 1960년까지로 1953년 ‘농업기계화촉진법’38)을 제정하

38) 소화28년 8월 27일 법률 제252호로 제정됨.

여 소형기계화를 진전시킨 시기이다.

이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1953년에 ‘농업기계화촉진법’을 제정, 시 행한 것이다. 이는 일본의 농업기계화 정책 추진에 있어서 행정의 궤도가 부 설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계기로 1955년 이후, 일본 경제가 부흥기를 맞이한 것과 때를 맞추어, 동력경운기를 비롯한 소형농기계가 급속히 보급되었다. 농촌 청장년을 주축 으로 한 농업인들의 소형농기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수도작을 중심으 로 한 소형 농업기계화가 가장 빠르게 진전된 시기로 기록될 것이다.

일본은 1953년 ‘농업기계화촉진법’을 제정한 이후 1961년에 ‘농업기본법’을 제정하여 농업구조의 선택적 확대로 농정을 전환하기까지 총 7년간을 일본 의 독자적인 소형 농업기계화 발전이라고 특징지울 수 있다.

제2기의 주요 농업기계화 정책으로는 ① 신기계화 지식의 계몽, ② 농기구 구입에 대한 융자제도 도입, ③ 농기구 공제보험제도 도입 등이 있다.

1.2.4. 제3기(1961∼1969)

제3기는 1961년부터 1969년까지로 기본법 농정 하에서 농업기계연구소를 설립하여 고도기계화를 발달시킨 시기이다. 제3기는 1961년에 ‘농업기본법’이 제정되고, 1962년에 ‘농업구조개선사업’이 실시된 이후부터 1969년과 1970년 까지는 약 10년간이다.

이 제3기에는 ‘농업기계화촉진법’의 개정과 농업기계화연구소가 설립되었 다고 하는 농업기계화 행정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이한 그런 시기이 다. 이제까지의 개별 소형 농업기계화를 주축으로 하는 농업기계화에서 승용 형 트렉터를 비롯한 각종 고성능 농업기계와 농업시설의 도입이 정책적으로 추진된 시기이다. 아울러 일본 농업의 오랜 현안이었던 이앙기와 수확기의 개발, 사용이 구현되었다.

종합적으로 수도작에서도 각종 기계화 일관체계가 성립되었고, 그것이 전 국적으로 보급되는 것을 앞 둔 그러한 시기이기도 하다. 바로 이 시기의 약 10년은 일본 농업기계화의 중대한 전환기(제1기)와 비약기(제2기)에 이은 제3

기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제3기에 추진된 주요 농업기계화 정책은 ① 농기계 행정의 강화와 고도기 계화 추진, ② 농기계 보조도입사업 추진, ③ 농업근대화 자금제도의 창설과 농업개량자금에 의한 기술도입자금의 확충 등이다.

방제 농업기계 행정의 강화와 고도기계화 추진의 내용은 농업기계화의 필 수 요건인 토지기반정비, 도․도․부․현 농업기계화 연수기관 설치, 고성능 농기계 수리정비체제의 강화, 농기계의 안전대책 강구, 기타 농업기계화 지 도대책 강구 등이다. 농업기계 보조도입사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수입

방제 농업기계 행정의 강화와 고도기계화 추진의 내용은 농업기계화의 필 수 요건인 토지기반정비, 도․도․부․현 농업기계화 연수기관 설치, 고성능 농기계 수리정비체제의 강화, 농기계의 안전대책 강구, 기타 농업기계화 지 도대책 강구 등이다. 농업기계 보조도입사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