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서비스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51-154)

분야별 기상정책

4.2. 기후변화 시나리오 서비스

기후과학국 / 기후변화감시과 / 기상사무관 / 이진아

4.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제공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2013년)를 위해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 RCP14)) 기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으며, RCP 4종 (2.6/4.5/6.0/8.5)의 전지구(해상도 135㎞) 및 한반도(해상도 12.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생 산을 완료하였다(2012년).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상세한 전망자료가 필요하여,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해 우리나라의 상세 지형효과와 기후특성 을 고려한 남한상세(해상도 1㎞)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였으며(2012년), 지자체, 공공기 관 등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구역별로 가공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부문별 기후변 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에 활용 할 수 있도록 농업(유효적산온도, 생육도일 등 12종), 보건 (열지수, 불쾌지수 등 8종), 방재(표준강우지수 등 2종), 수자원(잠재증발산량, 유역별 강수 량 등 4종), 산림(최한월 최저기온지수 등 3종), 생태(기후변화 심각도 지수 등 3종)분야 의 기후변화 응용지수 32종을 기후정보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2019년에는 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 발간을 위한 사회경제 요소까지 포함한 새로운 국제기준(SSP15))-RCP을 기반으로 전지구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사회발전과 온실가스 감축 노력 정도에 따라 4가지의 대표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3-7.0, SSP5-8.5)를 적용하였다. 1차 생산된 정보(SSP1-2.6, SSP5-8.5)는 기후정보포털을 통 해 분석보고서와 함께 제공하였다.

[그림 3-62]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모식도

14)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IPCC에서 제5차 평가보고서를 위해 발표한 미래 온실가스 대표농도 경로 15)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IPCC에서 제6차 평가보고서를 위해 발표한 공통사회 경제경로

134

제3부 분야별 기상정책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전망 정보 및 과거 기후변화 추세에 대한 분석기능을 개선하였다. 관측자료(1905년~)와 격자 형기후자료(2001~2010년)의 과거 자료에 대해 히트맵, 심볼지도, 기준값 분석 등 다양 한 분석 시각화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개선하였다. 또한 극한기후지수도 기존에는 절 대기준의 지수 12종을 제공하였는데, 상대기준의 지수 8종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4.2.2.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을 위한 소통 강화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확대를 위한 소통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11개 부 처 대상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를 개최(2019.6.)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는 2011년 2월에 구성되었으며 환경부 등 11개 부처와 17개 광역시도 담 당공무원 및 관련전문가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에 대한 다양한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2019년에는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기반의 전지구 시나리오 생산에 따라 그 일 정을 공유하고, 기관별 시나리오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새로운 국제기준을 적용한 전지구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전망 생산에 따라,

‘IPCC 6차 평가보고서 전망! 기후위기와 사회적 대응방안을 논하다’ 라는 주제로 국회 기후변화포럼(2019.11.)을 개최하였다.

[그림 3-63]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19.6.21.), 국회 기후변화 포럼(’19.11.15.)

4.2.3.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

기상청은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 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 성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제도’를 운영하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35

제3장 기후 및 기후변화

고 있다(기상법 개정, 2013.7.).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란 국제기구(IPCC) 기준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미래 기후변화 정보 생산방법에 대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 하여 결정된 객관적인 인증기준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말한다. 인증대상은 국가 정책 등의 활용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대학,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이다. 2019년에는 지역기후 시나리오 1종을 인증하여 2015년 첫 인증 이래 전지구 시나리오 5종, 지역 시나리오 20종으로 총 25종을 인증하였다.

[표 3-31]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종류

종류 의미

SSP1-2.6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SSP2-4.5 기후변화 완화 및 사회경제 발전 정도가 중간 단계를 가정하는 경우

SSP3-7.0 기후변화 완화 정책에 소극적이며 기술개발이 늦어 기후변화에 취약한 사회구조를 가정하는 경우 SSP5-8.5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

될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과거(1970~2014) 및 미래(2015~2100)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 IPCC 6차평가보고서의 표준 경로는 오른쪽에 표기된 SSP1-2.6(녹색 실선), SSP2-4.5(청색 실선), SSP3-7.0 (적색 실선), SSP5-8.5(보라색 실선)의 4종임. 그 외에 표기되지 않은 선들은 표준 외에 가능한 배출 경로들을 나 타내며 가능한 배출 경로들의 전체 범위를 회색 음영으로 표기. 과거 IPCC 5차평가보고서는 회색 파선의 4개 RCP 시나리오(RCP2.6/4.5/6.0/8.5)를 사용함

[그림 3-64] 과거(1970~2014) 및 미래(2015~2100)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136

제3부 분야별 기상정책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5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