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상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98-104)

분야별 기상정책

1.1. 지상

1.1.1. 지상기상관측업무의 동향

2011년 1월부터 시행된 지방기상청 기능 효율화에 따라 지상기상관측망이 변경되면 서 일부 기상관서의 목측요소에 대한 관측자동화 요구가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2013년 7월에 ‘기상관측 자동화 계획’을 수립하여 기상관측의 자동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 써, 기상예측능력 향상과 위험기상 감시 강화, 미래 기상관측 수요에 대비한 첨단 기상 관측센서 도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2016년 8월에는 국가 수요에 부합하 는 목적 지향적 기상관측 시스템 구축 운영을 위해 2017~2021년(5개년)에 추진할 관측 업무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2016년에는 기상청에서 관리・운용하는 기상관 측장비의 장애관리 및 이력관리를 위하여 기상관측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고, 2017 년 3월부터 시스템 현업운영으로 장애관리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1.2. 지상기상관측장비 운영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장비는 기상관서에서 운영하는 종관기상관측장비(ASOS)와 위 험기상 예측을 위해 무인으로 운영하는 방재용 자동기상관측장비(AWS)로 구분된다.

AWS는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 강수유무를 기본 관측요소로 하며, AWS 중 동네예보 지점은 기압, 습도, 시정・현천을 추가로 관측하고 있다. ASOS는 AWS 관측요소에 일조,

제2장 기상관측 및 기상정보화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1

제2장 기상관측 및 기상정보화

일사, 초상온도, 지면온도, 지중온도 등의 관측이 추가되며, 향후 관측 자동화의 확대를 위해 시정・현천계, 운고・운량계, 무게식강수량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9년 현 재 ASOS는 유인 기상관서 23개소, 자동기상관측소 73개소로 총 96대를 운영하고 있으 며 AWS는 504대를 운영하고 있다.

[표 3-14] 2019년 지상기상관측장비 신설 현황

지점번호 지점명 관측개시일 신설 사유

687 석곡 2019.4.19.

지역 기상관측 공백 해소

892 성산수산 2019.6.19.

964 마량 2019.7.8.

427 김포장기 2019.11.22.

[표 3-15] 2019년 지상기상관측장비 이전 현황

순번 기존 변경

이전 날짜 변경내용

지점번호 지점명 지점번호 지점명

1 942 대연 942 부산남구 4.27.

관측장소 이전(옥상→지상)

2 400 강남 400 강남 5.29.

3 119 수원 119 수원 7.24.

관측장소 이전(지상→지상)

4 891 색달 893 애월 8.9.

5 300 말도 300 말도 8.24.

6 165 목포 165 목포 10.31.

7 422 북악산 428 하남덕풍 12.12.

우리나라의 지상기상관측장비는 한반도 지형적 특성에 맞게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위 험기상을 감시하고자 미국, 유럽, 일본 등 기상선진국 수준의 관측 조밀도를 확보하였으 며, 운영환경 개선 및 관측 자료의 품질향상을 위해 측정방식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 고 있다. 이에 2010년 3월, 고품질 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지상기상관측장비 측정방식 첨단화와 목측요소 자동화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에 따라, 2010년에는 2대의 ASOS를 포함해 총 100대의 지상기상 관측장비를 교체하였고, 2011년 49대, 2012년 57대, 2013년 58대, 2015년 2대, 2016년

82

제3부 분야별 기상정책

1대, 2017년 25대, 2018년 53대, 2019년에는 ASOS를 포함해 총 59대의 노후화된 지 상기상관측장비를 교체하여 관측자료의 품질향상을 이루었다.

기상청은 1964년부터 농업기상관측을 시작하여 2019년 현재 11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이고자 동일한 위치의 농업기상관측장비와 종관 및 방재용 자동기상관측장비들을 필요한 관측요소 중심으로 11개 지점 중 6개 지점의 관측장비를 통합, 3개 지점의 기능을 개선하여 운영 중이다.

[표 3-16] 2019년 지상기상관측장비 교체 현황

장비명 지점수 지점명 도입년도

종관기상 관측장비 (ASOS)

12개소

강릉, 서울, 울릉도, 부산, 순창군, 북창원, 양산시, 진도군 2008년

독도, 순천, 보성군, 강진군 2009년

방재용 자동기상관측

장비(AWS)

47개소

말도, 덕유봉, 세종고운, 가평조종, 화촌, 일동, 신림, 치악산, 부론, 오색, 송도, 유구, 부평, 김포장기, 양지, 선유도, 거문도, 운남, 도양, 함평, 진안주천, 동향, 복흥, 태인, 강진면, 신덕, 다도, 도화, 풍암, 마성, 예안, 군위, 가산, 은척, 동로, 길안, 화북, 영덕읍, 신암, 완산, 도천, 상무대, 사상, 백천, 삼가, 사천, 함안

2007년

1.1.3. 국내 황사관측망 운영 현황

2002년 황사특보제 도입 이전 기상청은 정성적인 황사예보 업무만 수행하였으나, 이 후 황사 예・특보 업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 정량적 황사관측자료가 필요하게 되었 다. 이에, 기상청은 황사관측망 구축을 위해 2003년부터 부유분진측정기(PM10) 27대를 도입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연구용 광학입자계수기(OPC) 7대도 황사 관측 지원을 위해 현업운영을 시작해 2019년 제주 고산에 추가로 OPC 1대를 도 입하여 총 8대를 현업운영하고 있다. 이 중 부유분진측정기 관측자료는 기상청 홈페이지 에 1시간 평균값과 관측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국내 황사관측장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관측장비를 점검하고, 소모품 등을 교체하고 있으며, 관측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 매년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부 유분진측정기에 대한 정도검사와 등가성평가를 실시하여, 정확한 황사 관측자료를 제공 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3

제2장 기상관측 및 기상정보화

[그림 3-28] 국내 황사관측망

1.1.4. 황사발원지 관측망 운영

(1)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기상청은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6년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재정지원과 중국 기상국(CMA)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2차례에 걸쳐 각 5개소씩 중국 내에 황사 관측장비를 설치함으로써 「한・중 황사공동관측망」을 구축하였다. 1차 사업(2003~ 2005 년)에서는 쥬리허, 통랴오, 유스, 후이민, 다렌 등 5개소(PM10, 부유분진측정기)에, 2차 사업(2006~2008년)에서는 얼렌하오터, 스핑, 츠펑, 단둥, 칭다오 등 5개소(OPC, 광산란 측정법)에 황사관측장비를 설치하였다. 2018년도에 「한・중 황사공동관측망(10개소)」의 황사관측장비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예산이 투입되어 ‘베타선 흡수법’이 적용된 부 유분진측정기(PM10)로 교체되었다. 2019년에는 「한-중 황사협력회의」에서 양국이 합의 한 내용에 따라 「한-중 황사협력세미나」 및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운영자워크숍」에 참 석하여(12.3.~12.5., 중국),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활동 내용과 황사 관측 기술을 교류 하였다.

84

제3부 분야별 기상정책

한-중 기상협력을 위한 양국간 합의에 따라 중국 기상국이 운영하는 5개소(하미, 둔 황, 우라터중치, 둥성, 옌안)와 한국 기상청이 운영하는 5개소(백령도, 관악산, 광주, 구 덕산, 울릉도)의 황사 농도 관측자료를 상호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 기상청은 중국 내 총 15개소에서 관측되는 PM10 농도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황사 예보현업 및 정량적 황사예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활용 중이다.

(2) 황사감시 기상탑

기상청에서는 몽골의 에르덴(Erdene)과 놈곤(Nomgon)에 연구용 황사감시기상탑을 설치하여 위성통신 시스템을 통해 황사 발원을 준실시간으로 감시할 뿐만 아니라, 황사 가 발생하는 기상조건을 연구하여 황사예측 모델 개선에 적용하고 있다. 몽골의 에르덴 관측소는 고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7년 11월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놈곤 관측소는 몽골 남부 고비에 위치하며 2010년 10월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관측자료 의 품질 유지를 위해 자료의 실시간 점검 뿐만 아니라 매년 두 차례에 현지 점검을 실시 하고 있다.

[그림 3-29] 황사발원지 관측망 현황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5

제2장 기상관측 및 기상정보화

1.1.5. 적설관측업무 현황

기상청은 전국 23개 기상관서(6개 지방기상청, 3개 기상지청, 전국 14개 기상대 및 관측소)에서 사람이 직접 적설척으로 적설판에 쌓인 눈의 깊이를 측정하는 목측을 수행 하고 있다. 또한, 적설관측공백 해소 및 관측 자동화를 위해 2005년부터 자동적설관측장 비인 초음파식적설계를 도입하여 운영하였다가 현재는 내용연수가 도래하여 관측을 중 단하였고, 2014년부터는 우리나라 적설환경에 적합한 레이저식적설계 도입하여 현재 231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자동적설관측장비가 보급화 되기 전 적설감시CCTV를 설치하여 현재 168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기상전문을 통해 WMO 회원국과 자료를 교환하는 목측과 자동기상관측장비인 레이저 식적설계는 0.1cm 단위로 적설을 관측한다. 적설감시CCTV는 적설판에 쌓인 눈을 0.5cm 단위로 관측하여 방재기상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표 3-17] 2019년 자동적설관측장비 도입 현황

장비명 도입연도 설치장소 수량

레이저식

적설계 2019

양평, 이천, 서초, 강서 ,노원, 은평 ,대연평, 가평조종, 의정부, 신서, 청평, 금 곡, 화성, 부천, 안양, 광명, 군포, 의왕, 북상, 양산상북, 정자, 부산진, 영광 군, 장흥, 해남, 해제, 담양, 나주, 태백, 정선군, 마현, 춘천, 양구, 천안, 보 령, 부여, 금산, 대산, 공주, 당진, 청양, 태안, 문화, 서부, 대흥, 강정, 서광, 한림, 표선, 성산수산, 영주, 문경, 천부, 하회, 봉화, 전주, 고창, 임실, 정읍, 장수, 순창군, 무주, 진안, 덕유산, 태인, 제천, 보은, 영동, 음성, 청천

70

1.1.6. 시정관측업무 현황

시정관측은 대기를 통해 어느 정도의 전망이 가능한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기분석 외 에 교통, 항만, 항공 등의 기관에서 시정장애 또는 대기오염관리 등의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기상청은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1972년 1월부터 거리를 km 또는 m 단위로, 안개 등 시정 장애 현상을 관측・기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2009년부터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안개, 해무 등의 저시정 감시와 시정관측 공 백지역 해소, 관측업무의 효율화를 위하여 시정과 현천을 자동으로 관측하는 시정・현천 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정・현천계는 적외선을 발사하여 대기 중에 포함된 입자 및 에어로졸에 의해 방사되 는 빛의 산란 혹은 흡수되는 광원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을 산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센서

86

제3부 분야별 기상정책

에서 측정된 광원의 양과 센서 내부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현재의 기상상태를 WMO 기상 전문 양식으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시정・현천계에서 생산된 매분 시정・현천 관측자료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안개, 해무 등의 위험기상 감시 및 예측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시정・현천계는 2009년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운영지점부터 우선적으로 설치하였 으며 안개 및 저시정 현상 감시를 위하여 방재용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고속도로 등 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9년 현재 총 290대의 시정・현천계가 설치되어 매분 실 시간 시정・현천 관측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98-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