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타 가공품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112-115)

2017년

4. 기타 가공품

4.1. 건조과실, 견과류

미국은 건조 과실류와 견과류의 주요 공급국으로 특히 아몬드 생산량과 수출량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2016년 미국의 호두 수출은 약 67만 톤으로 전년대비 11%증가할 것 예측된다. 2016 년 미국의 땅콩 생산량은 약 315만 톤으로 강우량 증가와 허리케인 피해에도 불구하 고 전년대비 5% 증가하였다. 피칸의 경우 전년대비 수확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 었으나 2016년 10월에 조지아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메튜(Hurricane Matthew)의 영향으 로 2016년 피칸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피스타치오는 주로 미국과 이란에서 생산되어 세계 시장으로 수출된다. 이란의 경우 2016 년 생산량은 9억 1만 5,900파운드로 이는 미국의 2016/2017 수출량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터키는 헤이즐넛의 세계적인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세계 헤이즐넛 생산량의 약 75%를 차지하며 생산량 중 약 75%을 세계로 수출한다. USDA보고서에 따르면 터키 의 2015년 헤이즐넛 생산량은 약 65만 톤이며 2016년 헤이즐넛 생산량은 약 46만 톤

8) Ex Works(EXW).

세계농업 제 200호 | 107 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세계적은 호두 생산국이다. 주요 생산지역의 유리한 기후조건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중국의 2016/2017년 (9월/8월) 생산량은 전년대비 6%증가한 100 만 6,000톤으로 예상된다.

동아프리카, 서 아프리카는 캐슈넛의 주요 생산지로 코트디부아르, 페닌, 모잠비크, 탄 자니아, 기니비사우, 가나가 대표적인 생산국이다. 2016년 서 아프리카의 캐슈넛 수확량 은 기후 변화와 과잉 공급이 겹치면서 수확량에 타격을 입었다. 동유럽의 경우 캐슈넛 재배는 10월에 시작되어 11월까지 이어지는데, 동아프리카지역의 캐슈넛 생산이 전년도 보다 증가하여 세계 캐슈넛 가격 또한 안정세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동지역은 건조과실류와 견과류의 최대 소비지역이다. 특히 라마단기간을 포함한 종교적인 축제기간에 가장 많은 소비를 한다.

표 1. 유럽국가 통조림 식품 수출 현황(2015년)

국가 통조림 상품 수출량 (톤) 수출가격 (백만 달러)

프랑스 버섯 13,835 27

네덜란드 버섯 81,218 204

헝가리 단옥수수 163,530 179

프랑스 단옥수수 102,324 149

폴란드 버섯 22,416 87

스페인 아티초크 27,391 58

스페인 만다린 귤 56,334 62

스페인 복숭아 83,359 82

그리스 복숭아 257,541 268

자료: 필립스 맥두걸 (Philips Mcdougall) 인용, 자료: Informa Agribusiness Intelligence, Global Agribusiness Annual 2017, p. 92.

4.2. 파인애플, 단옥수수 통조림

태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파인애플 통조림 생산국이다. 2015년 기준 178만 톤의 파 인애플을 생산되었으며 그 중의 약 42%가 수출되었는데 수출량은 약 49만 톤이며 수 출 가격은 약 564달러이다. 뒤이어 두 번째로 큰 파인애플 통조림 생산국은 필리핀이 다. 필리핀은 세계 수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며 수출량은 32만 3,810톤이다. 필리핀 에 이어 인도네시아(12만 2,286톤), 케냐 (6만 2,449톤)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태국, 필

2017년 세계농업전망

108 | 2017. 4.

리핀, 인도네시아는 기후변화로 인해 상품 품질 하락, 수확량 감소 등의 피해를 입었 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가격이 크게 인상되었다.

태국은 또한 스위트콘 통조림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파인애플과 마찬가지로 스위트콘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피해로 태국의 제조업자들은 시장 공급을 줄이고 옥수수 수확량이 충분해질 때까지 계약된 수출거래들을 연기하 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프랑스나 네덜란드의 경우 생산비용 절감을 위해 제조지를 동유럽으로 이전하고 있다. 헝가리의 스위트콘 통조림의 경우 프랑스의 제조기업에 의해 운영하고 있으며, 폴란드의 버섯 통조림은 네덜란드 제조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현재 헝가리는 태 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스위트콘 통조림 수출국이다. 헝가리의 스위트콘 통조림 제조기업 6곳 중 2곳이 프랑스 제조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약 16만 3,530톤을 수출하였으며 수출가격은 약 1억 7,900만 달러 수준이다. 네덜란드 또한 버섯재배를 폴란드에서 시작하면서 세계 버섯 통조림 공급자시장에서 헝가리 다음으로 큰 수출국이다. 2015년 수출량은 약 8만 1,218톤이며 수출가격은 2억 400만 달러이다. 중국의 경우 유럽보다 많은 양의 버섯을 생산하고 있으나 카벤다짐 (carbendazim) 사용의 문제로 미국은 중국산 통조림 버섯 수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EU 는 수입을 전면 금지시켰다. 이에 중국은 비교적 수요가 낮은 러시아나 말레이시아 등에 버섯을 수출을 하고 있다.

표 2. 극동 지역 통조림 상품 수출 현황(2015년)

국가 통조림 상품 수출량 (톤) 수출가격 (백만 달러)

태국 파인애플 490,851 564

인도네시아 파인애플 172,286 192

필리핀 파인애플 323,810 337

태국 참치 561,319 1,970

태국 단옥수수 186,060 180

자료: 필립스 맥두걸 (Philips Mcdougall) 인용, Informa Agribusiness Intelligence, Global Agribusiness Annual 2017, p. 94.

참고문헌

INFORMA. 2016. Global Agribusiness annual 2017: Towards a Sustainable Future. INFORMA.

2017년 세계농업전망

세계농업 제 200호 | 109

Global Agribusiness Annual 2017:

농업투입재산업 *

이 정 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문서에서 세 계 농 업 (페이지 11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