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개념 및 정책 방향

2.1.1. 산업클러스터의 개념

ㅇ 산업클러스터의 개념은 19세기 말경 Alfred Marshall에 의해서 산업지구 (industrial district)라는 개념으로 소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안성의 유기, 담양의 죽제품 생산 등과 같이 전통적인 산업클러스터가 존재 하였음.

ㅇ 산업클러스터의 개념은 이와 같이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1990년대에 들어 서 미국 하버드 대학의 Michael Porter에 의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앞 다투어 적극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ㅇ 포터 교수는 클러스터를 ‘특정 업종에 종사하는 기업을 중심으로 부품 공급 업체, 서비스 공급업체, 연관산업 기업, 관련 기관(대학, 상공회의소 등)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동시에 협조하는 지리적 집적체’로 정의하였음.

ㅇ 그 후 1999년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서 발간한 보고서에는 대학, 공공 연구기관, 민간 연구소, 지식기반 서비스회사, 컨설팅회사 등 지식을 취급하 는 주체들을 클러스터의 혁신주체 속에 포함하여 이를 혁신 클러스터 (innovative cluster)로 명명하였음.

ㅇ 국내의 경우 산업자원부가 2003년에 산업클러스터 육성시책을 발표하면서 산업클러스터를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 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 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업 전개, 기술 개발, 부품 조달, 인력·정보교류 등 에서 시너지를 발휘하는 지역 단위’로 정의하였음.

2.1.2. 산업클러스터의 정책 방향

․산업생산체계는 전략산업과 전후방 연관산업이 중층적으로 기업간 네트

ㅇ 지역혁신체계의 핵심요소는 앞서 말한 산업클러스터, 산업육성기반, 그리고 지역산업추진체계 이외에도 지역산업 추진체계와 산업클러스터를 매개하 는 네트워크 기구와 이의 활성화 프로그램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함.

- 지역산업 추진체계에서 기획·조정 역할, 중개기능, On/Off line의 협력 프 로그램을 수행하는 지역 플랫폼이 필요함.

2.1.3. 국가식품클러스터

ㅇ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식품과 연관된 원료공급업체, 가공, 유통, 포장, 기계, 유통업체와 함께 대학, 연구소 및 지원기관들이 일정지역에 모여 서로의 기 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집적화된 상태를 말함.

ㅇ 식품산업은 원료를 이용, 가공하여 제품화하고 이를 유통조직을 통하여 판 매해야 하며 모든 과정에서 적절한 기술이 필요하므로 R&D기능을 갖춘 대 학이나 연구소가 근접하여 기술 개발 및 지원을 즉시 적용할 수 있어야 함.

ㅇ 또한, 지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 기관 등 지원기관이 상주 하여 다양한 필요사항을 제공함으로서 기업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 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함.

ㅇ 하지만, 일반 산업단지(공단)와 산업클러스터는 입주 기업 간의 연관성, 자 원의 확보 여건, 특화 사업의 육성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

- 산업클러스터가 조성되면 많은 정보와 선진 기술을 쉽고 용이하게 확보 할 수 있으며 유통 조직을 활용, 국내 판매 및 수출 경로도 손쉽게 확보 할 수 있음.

- 또한, 입주 기업 간 필요에 바탕을 둔 네트워킹으로 기업의 요구 사항을 국가 지원기관,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쉽게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 음.

표 2-13. 산업단지와 산업클러스터의 비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