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기본방향

ㅇ 상위 및 관련계획과 연계된 광역공간체계 및 기능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기 능체계 형성

ㅇ 광역적 연계속에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구조 ㅇ 주변 산업단지와 연계되어 지역특화를 제고할 수 있는 토지이용 구상 ㅇ 생산공간은 생산활동의 효율적 제고와 업종간 연계성, 집단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연구공간, 주거공간, 지원공간, 휴식공간 등을 기능별, 합리적으로 연 계 배치하여 복합형 단지로 조성

2.2. 공간구조 설정

2.2.1. 공간배분구상

가. 산업공간

ㅇ 장래 확장수요에 대비하며 인접 취락지에 영향을 최소화 할수 있는 지구 서 측에 산업용지 배치

ㅇ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협력업체를 배치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APT형 공장을 배치

ㅇ 단순생산이 아닌 판매 및 전시기능을 포함하는 생산지원 기능 강화

나. 연구공간

ㅇ 생산시설에 대응한 선도기능으로 산업용지와 녹지축에 배치

ㅇ 정적연구 및 산업시설의 지원이 가능한 동적기능으로 유도하여 익산의 혁 신센터로 유도

ㅇ 산·학·연 공동연구가 가능토록 공동연구센터계획

다. 주거공간

ㅇ 주거기능의 연속성, 쾌적한 주거환경개선 및 공간의 상충을 최소화하고 동 질성을 갖도록 지구 동측 무심천 변으로 배치

ㅇ 연구기능 종사자의 지역 정주성을 높이기 위해 코트하우스(주거) 및 국제학 교(초·중·고) 계획

라. 상업·업무공간

ㅇ 용지별 공간의 상충을 완화하면서 지구내 접근성 및 다양한 도시서비스 기 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구 중앙에 배치하여 Community 공간으로 활용함으 로서 사업지구내 상호교류를 유도

ㅇ 중앙의 Eco-Belt를 통하여 산업용지내 판매전시의 지원기능-호텔·컨벤션-중 심상업으로 연결되도록 중심축에 배치

그림 6-4. 상업·업무공간 조감도

2.2.2. 교통체계 구상

ㅇ 지구내 가로망은 자연순응형 및 순환형체계를 혼합한 형태로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적정 폭원을 확보토록 함 ㅇ 기능별 위계를 구분하고 교통의 방향성을 부여하며 일정규모 이상의 도로

의 경우 자전거 도로 등을 병행 설치함으로서 녹색교통순환체계 확립 ㅇ 지구내 진입도로는 주변도로와 연계하여 접근성 제고

2.2.3. 공원녹지 구상

ㅇ 동촌제와 부상천을 연결하는 Blue-Corridor를 계획하여 Eco-Network구축 ㅇ Eco-Network상에 테마공원을 적정배치하고 각 공원간 보행녹지대를 조성

하여 연계토록 함

ㅇ 산업공간-교육·문화·컨벤션공간-상업공간-주거공간이 선형의 Green-Network 와 연계되어 보행 및 자전거 중심의 친환경 단지조성

ㅇ 혐오시설과 주간선도로변에는 녹지대를 구축하여 환경의 악영향을 최소화

그림 6-5. 공간구조 구상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