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임업진흥원의 설립목적인 “산림소득 증대와 산업화 촉진”을 위해 임업 진흥원의 목표와 전략과제를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 임업진흥원이 공공 기관 경영평가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우리나라 임업 ·임산업 경제 동향

한국임업진흥원의 경영목표를 수립하기 위해 우리나라 임업과 임산업의 현황, 임가 소득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1절에서는 임업생산액의 변화를 정리 하면서 품목별로 생산액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제2절에서는 임산업의 성장을 정리하였다. 임산업은 목재·목제품 공업과 펄프·종이제품 공업으로 구분하는데 목재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지금까지 성장해 온 과정을 개관하였다. 제3 절에서는 임가의 특성과 임가 소득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4절에서는 임가의 대부 분을 차지하는 임산물 재배업의 성장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기임산물 재배의 경제 성을 분석하였다.

1995 2000 2005 2010 2011 2012 국민총소득(GNI) 408,013.6 600,158.8 864,427.3 1,174,753.0 1,238,405.3 1,279,546.4

농림어업 22,828.8(5.6) 24,939.1(4.2) 25,853.0(3.0) 27,832.1(2.4) 29,787.6(2.4) 30,247.8(2.4)

농 업 19,923.7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CAGR 순임목생장액 12,339 13,454 17,273 19,980 25,118 25,118 25,118 12.6

용 재 1,375 1,358 1,465 1,846 2,506 2,801 3,579 17.3

조경재 8,343 7,775 8,504 8,208 7,509 7,749 6,783 -3.4

수실류 4,330 4,790 5,110 6,440 7,164 6,934 7,619 9.9

버섯류 2,482 2,763 2,675 2,760 2,983 2,606 2,871 2.5

산나물 1,929 1,978 2,135 3,024 3,329 3,874 3,886 12.4

약용식물 377 478 632 3,426 3,806 5,410 3,845 47.3

농용자재 1,180 866 826 450 419 464 613 -10.3

토석류 n.a. n.a n.a n.a n.a n.a 10,393

기 타 2,193 2,119 2,188 2,180 2,538 2,311 2,801 4.2

총생산액 34,549 35,581 40,808 48,314 55,373 57,267 67,508 11.8

표 2-2. 임업 생산액 추이, 2000-2012

단위: 억 원, %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순임목생장액 9,994 10,164 10,313 12,339 13,454 17,273 19,980 25,118 -순입목생장량 22,807 23,510 24,481 25,525 26,804 34,712 37,708 37,017 -임목가(원/㎥) 43,820 43,234 42,125 48,342 50,194 49,747 52,985 67,864

자료: 임업통계연보

자료: 임업통계연보

그림 2-1. 단기임산물의 생산액 추이

단위: 억 원

순임목생장은 평가액이므로 실질적으로 우리나라 임업의 성장은 단기임산물 부문이 이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단기임산물 생산액을 대분류 품목으로 구분해 보면 수실류 7,619억 원, 조경재 6,783억 원, 산나물류 3,886억 원, 약용식물 3,845억 원, 버섯류 2,871 억 원 순이다. 단기임산물 가운데 대표적인 품목의 생산액 변화를 살펴보면 연도별 증감 량이 크게 변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임업이 농업과 달리 조방적 경영을 특징으 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상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다. 태풍이나 가뭄 등 자연재해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달라진다. 단기 임산물의 생산은 지난 몇 년간 크게 성 장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정체상태에 있다. 현재 수준에서는 생산액 증가의 한계에 직면 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수실류 생산은 2012년 18만 9,422톤으로 전년에 비하여 2.8% 감소하였고 생산액은 7,619억 원으로 9.9% 증가하였다. 태풍의 영향으로 낙과가 많아 2012년 밤 생산량은 전 년보다 3.5% 감소한 6만 2,344톤이지만 가격이 상승하여 생산액은 24.9% 증가한 1,782 억 원이다. 대추 생산량은 2011년에 비해 12.0% 증가한 9,509톤이고, 생산액은 11.0%

증가한 764억 원이다. 떫은감 생산량은 9만 8,978톤으로 전년보다 6.4% 증가하였고, 생 산액은 1,838억 원으로 2.6% 증가하였다. 이 가운데 대추와 떫은감은 가격이 비교적 높 게 형성되어 있어서 재배면적이 늘고 있는데, 특히 비주산지에서 신규로 식재되는 면적 이 늘고 있다.

조경재(조경수, 분재, 야생화)의 2012년 생산액은 6,783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12.5%

감소하였고 생산량은 1억 1,152만 본으로 전년도 1억 1,522만 본에서 3.2% 감소하였다.

이 가운데 조경수 생산량은 8,045만 본으로 전년보다 1.7% 감소하였고, 생산액은 6,121 억 원으로 13.9% 감소하였다. 조경재 생산은 건설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최근에 건설 경기가 부진하면서 조경재 생산도 위축되고 있다.

임산버섯에는 송이, 표고버섯 등이 포함된다. 송이 생산량은 기상에 따라 크게 변동되 는데, 2012년 생산량은 전년보다 2배 증가한 420톤(523억 원)이었다. 건표고 생산량은 1,551톤(495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31.7% 감소하였으며, 생표고 생산량은 2만 114톤 (1,588억 원)으로 전년보다 3.0% 감소하였다. 표고버섯 생산은 원목재배 방식에서 톱밥 배지를 이용한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데, 아직 톱밥배지 재배기술이 충분히 정착 되지 않은 상태이다. 원목재배 방식은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톱밥배지 재배기술이 확산 되면 버섯류 생산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2년도 산나물 생산액은 3,886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0.3% 증가하였지만 생산량은 45,945톤으로 2011년에 비해 0.8% 감소하였다. 청정 자연식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 서 산나물 생산도 증가하여 왔지만 현재는 정체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산나물 생산은 생산시기가 한정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워 산업화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정부에서 산채클러스터, 산약초타운, 산채·산약초 산업화 단지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산채류 생산의 비약적 성장이 기대된다.

한편, 농용자재는 녹비, 퇴비, 사료 등을 말하는데 2010년까지 생산량이 감소하다가 이후 소폭 증가하였다. 화학비료 사용이 확산되면서 농용자재 생산량은 감소하는 추세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