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

문서에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제 (페이지 192-195)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경력몰입과 개인 특성 변 인(직업가치, 성장욕구, 직무효능감, 경력계획, 직무적합성, 직무만족) 및 조직 특성 변

인(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경력개발지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부록 5] 경 력몰입과 개인 및 조직 특성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가 경력몰입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세부적으로 직무만족((r=0.675), 직무적합성(r=0.452) 등 개인 특성 변인 중 직무 변인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r=0.454), 경력개발지원(0.430) 등 조직 변인과의 상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차한계와 변량팽창계수를 산출한 결과 공차한계는 0.334~0.732, 변량팽창 계수는 1.584~2.997로,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인들은 상호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 를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변인 공차한계 변량팽창계수

직업가치 0.695 1.440

성장욕구 0.560 1.784

직무효능감 0.466 2.148

경력계획 0.732 1.366

직무적합성 0.618 1.618

직무만족 0.627 1.594

분배공정성 0.386 2.589

절차공정성 0.334 2.997

경력개발지원 0.353 2.836

<표 6> 경력몰입 관련 변인의 다중공선성 진단

중소기업 특성화고졸 초기경력자의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를 구명하 기 위해 설정한 무선효과 회귀계수모형(Ran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인 중간모형의 분석 결과는 <표 7>과 같다.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 구명을 위해 집단 내 모 형에 임금, 정규직 유무, 직업가치, 성장욕구, 직무효능감, 경력계획, 직무적합성, 직무 만족 등을 투입하였다.

고정효과 분석 결과, 직업가치, 직무효능감 등은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 으나, 근무요건 변인 중 임금(t=2.411, p<0.05), 정규직 유무(t=2.179, p<0.05), 심리변인 중 성장욕구(t=2.060, p<0.05), 경력계획(t=1.656, p<0.05), 직무 변인 중 직무적합성(t=2.736, p<0.01), 직무만족(t=6.668, p<0.01) 등은 경력몰입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무여건에서는 임금을 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경력몰입이 높으며, 심리 변인 차원에서 성장욕구가 높을수록, 경력계획 수립이 잘 되어 있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직무 변인 차원에 서는 본인의 직무가 자신의 전공이나 성격에 부합할수록, 직무에 만족할수록 경력몰입이 높음을 의미한다.

무선효과 분석 결과 집단 간 변량은 0.011로 무선효과 모수인 τ00의 추정치가 유의미 하게 나타나(χ²=38.857, p<0.01) 개인 특성 변인에 따른 경력몰입의 효과는 조직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 특성 변인에 따른 경력몰입의 효과는 해당 중소 기업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정효과 계수 표준오차 t

절편(ϒ00) 3.346 0.742 1.465**

근무여건 변인

- 임금 0.106 0.044 2.411*

- 정규직 유무 0.168 0.077 2.179*

심리 변인

- 직업가치 0.013 0.096 0.134

- 성장욕구 0.164 0.080 2.060*

- 직무효능감 -0.079 -0.850 -0.850

- 경력계획 0.175 0.046 1.656*

직무 변인

- 직무적합성 0.187 0.068 2.736**

- 직무만족 0.441 0.066 6.668**

무선효과 표준편차 변량 χ²

집단 간 변량(τ00) 0.106 0.011 38.857**

집단 내 변량(σ2) 0.352 0.124

*p<0.05, **p<0.01

<표 7>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

한편 개인 특성 변인 투입 후 고정효과와 무선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인 특성 변인 의 설명량을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경력몰입의 집단 내 변량은 개인 특성 변인 투입 전 0.226에서 투입 후 0.124로 감소하였으며,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설명량은 45.1%로 나타났다.

구분 경력몰입

개인 특성 변인 투입 전 집단 내 변량 0.226

개인 특성 변인 투입 후 집단 내 변량 0.124

개인 특성 변인의 설명량 45.1%

주) 설명량(R2)=(투입 전 변량-투입 후 변량)/투입 전 변량 ×100

<표 8> 경력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설명량(R

2

)

문서에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제 (페이지 192-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