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 약】

Ⅷ. 결어

한ㆍ미 관계는 전통적 안보동맹을 뛰어 태평양을 가로질러 세계최초의 세 계 제1의 경제와 10위권 경제가 FTA를 통한 「경제동맹」으로 격상을 목전 에 두고 있다. 미국 오바마 신정부의 외교노선이 「하드파워」와 「소프트파 워」를 결합한 「스마트파워」로 전환될 예정이다. 한국과 미국은 최근 한ㆍ 미 통화스왑 협정이 보여준 것처럼, 경제적 신뢰관계를 심화시켜 경제동맹을 과학기술 및 R&D까지 확장하면 동북아경제 통합운동에서도 한국과 미국은 함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ㆍ미 FTA 가 발효되고 그에 따른 후속구조개혁을 단행하면 한국은 세계적 표준수준으로 경제ㆍ시스템이 정비 되고 있음을 국제적으로 공인 받는 계기가 되어 개방형 선진통상국가로서 우리나라의 대외적 입지를 넓혀갈 수 있다. 한ㆍ미 경제동맹은 세계에서도 21세기 다이나믹 경제지역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아ㆍ태 지역에서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을 개방적 지역무역협력체제로 적극 유도하는데 있어서도 우리나라가 선구자적 역할을 하는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한ㆍ미 FTA를 기반으로 하는 한∙미 경제 동맹 관계는 한국으로 하여금

92

-대 중국 과다 의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차이나 리스크를 줄이고, 한 국경제의 선진화의 돌파구를 열며, 韓ㆍ中ㆍ日 FTA등 동아시아 경제통합 운 동을 추진하는데 한국이 강력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정치경제학적 의 미를 지니고 있다. 국제관계에서 新自由主義나 新現實主義의 관점에서 보더 라도 한국은 “遠交近均衡”의 통상정책 기조를 유지할 때 동북아 통합운동에 서 한국은 적극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아시아 경제통 합 운동에서 한국은 APEC에서처럼 미국이 포함된 동아시아의 개방적 지역 주의를 유도하여야 한다.

한국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주변 열강으로부터 빈번한 외침을 당하였으며, 해방 이후 지난 60년 동안 갈등과 혼란의 민족사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변방 에서 중심무대로 진입하였다. 한국은 세계에서도 IT시대에 앞서가는 기초기 반을 다졌고 다종교 화합사회의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인구와 국토 면에 있어 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일본에 비교하여 훨씬 작지만 평화애호국가 로서, 문화적 가치와 인권신장을 적극 추구하며, 압축성장의 발전경험을 저 개발국과 공유할 수 있는 중규모 연성 강국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과 같은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으면서 軟性强國으로서 일 등국가가 된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 등의 국가발전 전략을 한국은 참고할 필요가 있다. 세계화 속에서 통일한국인들은 네덜란드 사람처럼 다국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고, 국제적 모범시민으로 세계인의 존경 속에서 코리아 브랜 드를 창출하고 지식서비스의 국제통상에도 적극적 주체로 태어나야 한다.

미국 대통령 당선자 오바마는 대통령 후보시절 부시행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하드파워 일변도의 극단주의로 전개한 것에 대하여 근본적 반대를 하였으며 미국의 추락한 대외이미지는 세계를 향한 미국의 소프트 파워를 신장할 때 가능하다고 주장하여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72) 미국은 지금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유발한 세계적 금융위기와 그에 따른 미 증유의 실물경제 위기로 그 동안 향유한 세계경제 리더쉽에 커다란 상처를 받고 있다. 월가의 탐욕스러운 금융자본주의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규제를 받 을 전망이다. 새로운 국제금융질서 구축이 전개되고 위기 이후의 새로운 세 계질서의 창조도 예고되고 있다.

미국의 오바마 정부의 등장과 더불어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세계 시스템 구축에서 미국의 Soft Power의 역량강화는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미국 의 Soft Power를 활용하는 「Smart Power」의 대외정책 추진에서 한국은 전략적 동반자가 될 수 있다. 한국은 미국과 함께 기존의 「안보동맹」으로

72) Obama (2006년) Chapter Eight 참조.

부터 진일보하여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 「경제동맹」을 더욱 격상시켜, 민주 주의와 시장경제의 체제공유를 넘어서 인권신장, 저개발국 질병퇴치, 발전경 험의 대개도국확산, 기후변화에 대처 등 지구적 공공재 생산에 어깨를 함께 하는 「가치동맹」으로 까지 발전시키면 한국의 國格은 국제적으로 크게 신 장되고 민족의 자존을 세계화 할 수 있을 것이다.

94

-<참고문헌>

김양희, 정여천, 방호경 외 (2006), “동북아 경제협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金原培·權英燮·李英我 (1998), “동북아경제와 한반도 구조개편 전략,” 國土開 發硏究院.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04‐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오늘의 세계경제 제07‐32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한∙미 FTA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 KEP 오늘의 세계경제. 1월 18일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한ㆍ미, 한ㆍEU FTA 동시추진의 경제적 효과』

孫炳海 (1992), 「東北亞 經濟協力圈 形成을 위한 線型自由貿易地帶 구상과 그 期待效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자료.

박순찬ㆍ강문성 (2004),『한ㆍ미 FTA의 무역 및 투자 창출효과와 교역구조에 대한 연구』

安忠榮 (2000a), 「現代 東アジア 經濟論」,日本 岩波書店.

______ (2000b), “自由貿易協定∙東北亞經濟共同體 구상의 시작과 韓國의 戰 略,” 國際通商硏究, 제5권 제 2호

______ (2001), 「現代 韓國·東아시아 經濟論」, 博英社.

______ (2007a), “한국의 대외통상정책에서 한ㆍ중ㆍ일 FTA가 가지는 함의,”

한국국제경제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논문집

______ (2007b), “제6부 21세기 선진개방 경제의 확립과 외국인직접투자유치 의 과제,” 『외환위기 이후 10년간의 외국인직접투자: 외국인 직 접투자 유치 백서 2007』, 산업자원부, KOTRA

안충영·이창재 (2003), “동북아 경제 공동체 구축방안,” 「동북아 경제협력:

통합의 첫걸음」 박영사.

이재열 (1999),「세계무역의 구조변화와 우리의 대응과제」, 한국은행 연구자 료 99‐14.

이창재 (2003), “동북아지역내 직접투자의 현황 및 특성” 안충영·이창재 엮음

「동북아 경제협력: 통합의 첫걸음」

이창재·방호경 (2003), “동북아 역내교역 추이 및 특성,” 안충영·이창재 엮음

「동북아 경제협력: 통합의 첫걸음」

이혜영 (2006), “한ㆍ미 FTA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진보연대 월례토론회 발표자료. 국회도서관 회의실.

정인교 (2005), “한ㆍ미 FTA의 경제효과,” 무역협회 주최 한․미 FTA 세미

나 발표자료. 무역협회 국제회의실.

정인교 (2006), “한∙미 FTA 협상평가,” Inkyo@inha.ac.kr mimeo 인하대학 교,  www.fta.pe.kr.

정인교 편저 (2006), 『한ㆍ미 FTA 논쟁, 그 진실은?』, 서울: 해남출판사.

鄭仁敎 외 (1999),『동북아 경제협력: 관세 통상 등 지역경제협력』, 對外經濟 政策硏究院, 東北亞經濟協力硏究시리즈, 2.

정인교, 노재봉 편저 (2005), 『글로벌 시대의 FTA 전략』, 서울: 해남출판사.

배긍찬 (2006), “동아시아 공동체 논쟁과 향후 전망: ASEAN+3와 EAS와의 관계설정 문제를 중심으로,”『주요국제문제분석』, 외교안보연구 원, 12. 29.

외교통상부,『2005년도 경제, 통상외교 활동성과』, 2005.

森嶋通夫 (1999),「なぜ 日本は 沒落 するか」, 岩波書店.

한국경제연구원 (2006), “한국영화는 스크린쿼터로 생존해 왔는가?,” 전문가 칼럼(www.keri.org) 2월 7일자.

黃遵憲 (1880), 「私擬朝鮮策略」, Naver.

Aggarwal, V.K. and Koo, Min‐Gyo (2006), “Shifting Ground: Is it finally time?,” Global Asia, Vol. 1, No. 1, September.

Ahn, Choong‐Yong (1993),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easibility or Illusion,”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18, No. 1, June.

____________________ (1998), “Korea‐Japan Partnership in a Dynamic but Turbulent East Asian Economy,” Japan Society for International Economies, Kokusaigeizai, Vol. 47, No. 2.

____________________ (2001), “A Robust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after the Financial Crisis: Mutual Learning from East Asian Experiences,” Journal of Asian Economics, Vol. 12, 419‐443.

____________________ (2001),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 Restructuring in South Korea: Accomplishments and Unfinished Agenda“, The Japanese Economic Review, Vol.52. No.4

____________________ (2003), “A Vision for Korea As a Business Hub,”

Korea Economic Institute, Joint U.S.‐Korea Academic Studies, Vol.13

____________________ (2006), “Prospect and Challenge of East Asian

96

-Economic Integration: A South Korean Perspective,”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31 No.2, December.

____________________ (2007), “Satisfaction in your Toil: The Long Road to the Korea‐U.S. Free Trade Deal,” Global Asia, Vol.2 No.1, Spring

Ahn, Choong‐Yong, Baldwin, R.E. and Cheong, In‐Kyo, Edited (2005),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Springer.

Ahn, Choong‐Yong and Cheong, In‐Kyo (2007), “A Search for Closer Economic Relations in East Asia,” Japanese Economic Review.

Vol.58, No.2, June, 2007.

Balassa, B. (1969),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Ltd.

Baldwin, Richard E. (2005), “Asian Regionalism: Promises and Pitfalls,”

Ahn, Choong‐Yong, Baldwin, R.E. and Cheong, In‐Kyo, Edited (2005),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Springer.

Berger, S. (2006), “The US Stake in Greater Asian Integration,” Global Asia, Vol. 1, No. 1, September.

Bergsten, F. (2000 b), “Towards a Tripartite World,” East Asian Regionalism, The Economist, July 15.

Eichengreen, B. (2003), “Toward a New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A Practical Post‐Asia Agend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9.

Gillingham, J., European Integration, 1950‐2003: Superstate or New Market 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Goldstein Avery (2005), “Rising to the Challenge: China’s Grand Strategy and International Secur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Gordon, B.K. (2006), “Perspectives on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31, No. 2, December.

Jones, R.W. and H. Kierzkowski (1998), “Globaliz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Fragmentation,” in The Festchrift in Honor of Robert Mundell, eds. by R. Dornbusch, G. Calvo and M. Obstfeld, MIT Press, Cambridge, MIT.

Ito, Takatoshi (1997), “What can Developing Countries Learn from East Asia’s Economic Growth,” in Boris Pleskovic and Joseph E.

Stigltz(ed.), Annual World Bank Conference on Development Economics, World Bank.

Kawwai, Masahiro (2005),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Progress and Challenges,” Journal of Asian Economics 16 pp 29‐55.

Keohane, Robert. O and Nye Joseph (2000), Power and Interdependence, Longman.

Krueger, A.O. (1979), The developmental role of the foreign sector and aid,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Krueger, A.O. (1995), “Free Trade Agreements versus Customs Unions,”

NBER Working Paper No. 5084, Cambridge, MA.

Krugman, P. and M. Obastfeld (1994),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 and Policy, Third Edition, Harper Collins.

Lawrence, R. (1996), Regionalism, Multilateralism, and Deeper Integration,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Lee Junkyu and Hongshik Lee (2005), ‘Feasibility and 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KIEP, NRCS Joint Research Series on FTA Issues, 05‐05‐02

Mahathir, M. (2006), “Let Asians build Their Own Future Regionalism,”

Global Asia, Vol. 1, No. 1, September.

Manyin, Mark E. 2006. “South Korea‐U.S. Economic Relations:

Cooperation, Friction, and Prospects for a Free Trade Agreement (FTA)”. CRS Report for Congress. Washington D.C:

CRS. February 9.

New York Times (2008, Dec.15), Obama’s Energy and Environment Team Announcement

Nye, Joseph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Public Affairs Press.

Nye, Joseph (2007), “Recovering America’s Soft Power”, Korea Times, Dec 18.

Obama, Barack (2006), The Audacity of Hape, Three Rivers Press Rugman Alan (2006), The Regional Multination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alapino, R.A. (1991), “Northeast Asia: The Risks and Opportunities,” in North 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ed. by J.S. Suh, Korea

98

-Institute of Economic Policy.

Yamazawa, I. (2000), “Toward Closer Japan‐Korea Economic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Symposium Proceedings on Toward a Korea Japan FTA: Assessments and Prospects, Organized by Korea Institute of Economic Policy and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cs of Japan, Shilla Hotel, May 24.

Rana, P.B. (2006),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Trends, Prospects, and a Possible Roadmap,” Working Paper Series o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No.2, Asian Development Bank, July.

Rosamond, Ben (2000), Theories of European Integration, McMillan.

USITC (2001), U.S.‐Korea FTA: The Economic Impact of Establishing a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Washington D.C.

USTR (2006), "FTA: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Economic and Strategic Benefits". Korea Will be Largest FTA Partner in 15 Years

Waltz, Kenneth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 Hill.

World Bank (1996), The East Asian Miracle: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Zhang, Yunling (2006), “China and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Cooperation,”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31, No. 2, December.

Zhang, Bijian (2005), “China’s ‘Peaceful Rise’ to Great‐Power Status,”

Foreign Affairs, Sep/Oct.

Evolution of Korea‐U.S. Economic Relations

: The Shift from Economic Alliance to Value Alliance

by

Choong Yong Ahn

(Chair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Chung‐Ang University / KOTRA Foreign Investment Ombudsman)

The bilateral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Korea has evolved over time, having undergone several distinctive phases. Directly following World War II,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n 1945, but was soon after partitioned into two separate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Korea”) was placed under U.S. military administration for three years until 1948 when she emerged as a democratic entity. Prior to the onset of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gned a mutual defense treaty in 1948 to protect the country from the looming communist threat prevalent in the Cold War era. The agrarian economy of war‐torn Korea in the years after 1953 was able to survive primarily due to economic aid and grants provided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order to escape from a vicious circle of poverty,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n outward‐looking export promotion strategy – via the mobilization of an abundant and well‐educated labor force – which was directly linked to the world’s largest open economy. Korean manufacturing first specialized in labor intensive goods including wigs, clothing, and footwear for export to the U.S., earning the nation precious foreign currency. In the early 1970s, as Korea launched a heavy and chemical‐bas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the country financed capital intensive projects by borrowing heavily from U.S. financial institutions. In a nutshell, Korea’s economic linkages with the United States have been heavily asymmetric, largely dependent on the U.S. economy.

Leaping ahead several decades to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