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 및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제20대 총선에서 제주지역 유권자들 중 상당수가 선거일이 임박한 시점 에서야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였고, 30% 정도는 지지후보를 변경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변’의 선거결과가 나타났던 부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투표후보 결정시기 조사결과를 보면, 선거 1주일 전(31.4%)이 가장 높았고, 이어 선거일 보름 전후(22.7%)와 선거일 한 달 전후(22.4%), 선거일 두 달 전후(15.2%) 순으로 나타났다. 선거 1주일 전이나 보름 전후에 투표할 후보를 결정했다는 유권자 층은 선거쟁점이나 돌출적 이슈, 후보자 요인 등에 의한 영향 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층이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반면, 선거일 한달 또는 두 달 전에 투표후보를 결정했다는 유권자 층은 돌출적 요인에 의한 영향이 상 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선거기간 중 지지후보 변경여부와 관련해서는, 바꾼 적이 있다 30.3%, 바꾼 적 없다 69.7%로 조사되었는데, 이 또한 투표후보 결정시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지지후보를 변경한 유권자 층은 선거 막바지에 돌출된 각 종 쟁점이나 후보자 요인 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선거일에 임박한 시점에 투표할 후보를 결정한 유권자들과 지지후보 변 경 유권자들이 접전으로 치닫던 선거 막바지에 이변의 선거결과를 만든 ‘결정적 투표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20대 총선에서는 유권자들의 투표후보 선택기준에서 혈연 학연 지연 등 의 연고주의 고려정도는 크게 낮아지고 있고,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영향정도는 예상 외로 크지 않았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이의 논의를 좀 더 확장해 나갈 필요 성을 갖게 한다.

투표를 할 후보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시한 사항으로는 후보자의 도덕성을 포 함한 ‘자질 능력 경력’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소속정당’과 ‘공약사

항’, ‘주위의 평판/이웃의 조언’ 순이었다. 반면 ‘당선 가능성’ 및 ‘학연 지연 혈연’

은 평균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민선 지방자치시대 이후 제주도 선거에서, 특 히 제주도지사 선거를 비롯한 지방의회 선거에서 오랜 기간 ‘연고주의’나 ‘조직선 거’71)분위기가 크게 나타났던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유권자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투 표결정 요인(후보자, 정당, 이슈, 미디어요인) 조사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후보자 요인에서는 ‘후보자의 자질 경력 학력 등’과 후보자의 능력을 의미하는

‘지역발전 기여도’, 그리고 ‘후보자에 대한 주위의 평판’ 순으로 영향정도가 컸다.

그러나 ‘후보자의 출신지역 혈연 학연’은 후보자 요인 6개 항목 중 가장 낮게 나 타났다. 정당 요인에서는 ‘내가 선호하는 정당소속 여부’가 가장 높았고, 이슈요 인에서는 ‘사회적 정치적 이슈나 쟁점’이 가장 높았다. 미디어요인에서는 ‘TV토 론 내용’이 가장 높았는데, ‘후보자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는 다른 요인에 비해 평균값이 낮게 나왔다.

후보자의 자질 능력 등 인물요소나 이슈 쟁점, 주위의 평판 등이 투표결정에 미친 영향의 정도가 크게 나타난 반면, 혈연 지연 학연과 같은 연고주의 내지 조 직선거 요소의 영향정도가 작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의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연고주의 투표경향의 감소는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도의 유입 이주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것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또 20대 총선 과정에서

‘전직 도지사의 선거개입 논란’과 ‘원희룡 마케팅’ 논란이 불거져 야권 후보를 중 심으로 ‘구태정치 청산’ 이슈가 전면에 등장했던 것도 일정부분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위의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후보자 선택기준의 ‘당선가능성’, 그리고 투표 결정 요인 중 미디어 요인 항목인 ‘후보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의 평균값이 다른 요소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하여 ‘전략적 투표’에 대한 논의를 이 어볼 수 있다.

71) 이 연구에서 언급한 ‘조직선거’는 과거 제주도지사 선거에서 주로 나타났던 읍 면 동 지역별, 혈연, 학연 등의 사조직을 활용한 특수한 선거방식의 양태를 의미하며, 제주도 지역정치에서는 이러한 조직선거를 ‘구태정치’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선거대책위원회 같은 일반적 선거조직 과는 구별된다고 하겠다.

이번 연구조사의 결과는 후보 결정에서 여론조사 결과나 당선가능성의 영향정 도가 낮았음을 의미한다. 이의 이유는 여러 가지로 유추해볼 수 있으나, 우선 제 주도 3개 선거구 중 1곳은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양자대결, 나머지 2곳은 국민의당 후보가 뒤늦게 가세해 3자대결로 이뤄졌으나 판세는 사실상 2파전 접 전 승부로 고착화되었던 점, 이러한 가운데 잦은 신뢰성 문제를 빚고 있는 여론 조사의 결과는 막바지에는 ‘초박빙’으로 나타나면서 판세에 따른 표심이동 보다 는 유권자 자신이 나름대로의 선택기준에 의한 합리적 투표 혹은 ‘소신투표’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즉, 여론조사 결과의 지지도나 당선가능성에 따른 표심 이동 영향이 적었다는 것으로, 판세에 따른 영향 보다는 이 외의 다른 요인에 의 한 영향이 보다 크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1, 2위간 백중세의 판세 가 고착화된 상황에서는 3위 이하 후보 지지층에서 전략적 투표나 결정적 투표 가 나타날 수도 있으나, 20대 총선의 실제 투표에서는 그러한 양태의 이동은 거 의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72). 오히려 선거 막바지 혼전상황에서 1, 2위 후보를 지지하던 유권자층 또는 부동층의 일부에서 3위 후보로의 전략적 선 택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백중세의 박빙 상황에서는 3위 후 보 지지층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의 ‘결정적 투표’가 나타날 가능성을 제기한 기 존 학설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하는 대목으로, 이에 대한 추 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넷째, ‘정치적 성향’에 따른 투표후보 선택이나 지지후보 변경에 있어 차이가 확인된 점도 주목하고자 한다. 인구통계 사회적 변인과 투표행태 간의 차이 검증 에서는 연령, 학력, 소득, 그리고 정치적 성향의 변인이 투표후보 선택에 있어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령에서는 새누리당 후보 투표자는 50대와 60대 이상에서, 더불어민주당 후 보 투표자는 40대와 30대에서, 국민의당 후보 투표자는 20대 이하와 40대에서 상 대적으로 많았다. 정치성향에 있어서는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 유권자에

72)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20대 총선 개표결과, 제주시 갑 선거구의 국민의당 후보는 15.9%(3위), 제주시 을 선거구의 국민의당 후보는 11.5%(3위)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선거 전 실시된 각 종 여론조사 때의 지지율보다도 훨씬 높아진 수치로, 선거 막바지에 3위 후보 지지층 유권자에 서 전략적 투표 등에 의한 이탈이 적었음을 보여준다.

서는 새누리당 후보를, 진보적이라고 생각하는 유권자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중 도적이고 생각하는 유권자에서는 국민의당 후보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연령이 나 정치성향에서 나타난 이러한 투표후보 선택의 특징은 ‘정당 일체감’ 요인이 강하게 표출된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지지후보 변경여부에 있어서, 중도적이라고 생각하는 유권자와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 유권자에서 지지후보 변경이 많이 이뤄진 반면, 진보적이라고 생각하는 유권자는 변경 보다는 기존 지지후보를 이어나간 비율이 높았던 점도 주목할 필 요가 있다. 실제 선거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별 득표율의 결과와도 일정부분 부합 되고 있기 때문이다. 선거일 6일전에 발표된 제주도 3개 선거구에 대한 각종 여 론조사 결과는 조사기관 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3곳 중 2곳은 초박빙 접전, 1곳은 새누리당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실제 개표 결과 초박빙 접전을 예상했던 2곳은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완승’, 새누리당 후보 의 우세가 예상됐던 곳은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초경합 승리로 귀결되었다. 이러 한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층은 비교적 견고하였던 반면, 새누리당 지지기반 이었던 보수적 성향 유권자에서도 지지후보 변경이 적지 않게 이뤄졌기 때문이 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투표결정 요인에 있어서 미디어 이용시간 및 총선 관련 뉴스나 정보 를 주로 어디서 얻었는지에 대한 정보입수 채널 유형에 따른 투표행태(투표후보 선택 / 지지후보 변경) 차이 검증에서는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경로와 관련한 일부 의미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선거기간 중 1주일간 하루 평균 뉴스이용 시간은 TV뉴스가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 휴대폰, 인터넷, 그리고 소셜미디어, 중앙일간지(종이신문), 지역일간지(종 이신문) 순으로 나타났다.

선거 정보입수 채널 조사에서는 TV방송 뉴스, 친구나 주위 사람들과 대화, 인

선거 정보입수 채널 조사에서는 TV방송 뉴스, 친구나 주위 사람들과 대화,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