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53-200)

스카이라인 형성과 무분별한 고층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공간 위계별 건축물 높이 를 설정하였다.

넷째, 기존 건축물 높이 영향 요소는 전면도로 폭, 기울기계수, 대지규모, 건폐율, 용 적률을 기본으로 적용하여, 인접 가로여건과 주변필지와의 관계가 반영되지 않아 가로 및 주변필지와의 건축물 높이의 불균형이 발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 높이 영 향요소에 도로계수, 인접대지 규모 및 형상, 전면도로 접도길이, 대상지 필지와 인접대 지 관계의 주변 물리적 요소들을 추가로 적용하여 건축물 높이를 결정하는 방식 및 높이관리 기준원칙을 가로유형별 중심지가로, 역세권가로, 교차로, 중심지연결 간선도 로에 시뮬레이션 분석 및 검증보완을 통해 광주시 가로변 필지특성을 반영한 가로변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가로변 건축물 높이관리 기준원칙 중 전면도로 산정기준에 광주시 필지여건 을 고려한 필지둘레길이 조건을 반영하여 주변필지와 높이부조화 문제를 해소하도록 유도했으며, 주변 필지규모 및 필지형상에 의해 주변과 높이 부조화를 발생하는 문제 를 해소하기 위해 인접필지 적용 시 제외필지 및 인접필지 기준을 적용하여 주변 물리 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높이부조화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였다. 특히, 주요가로변 의 입지특성을 고려해 학교와 아파트를 인접필지 적용 시 제외필지로 적용하여 가로변 에 적정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여섯째, 가로유형별 높이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전면도로 및 주변필지와의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이 형성되는 높이 값이 분석되었다. 중심지역은 전체적으로 기존 사 선제한 보다는 높아지고 용도지역의 건폐율, 용적률 적용기준 보다는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으며, 중심지를 연결하는 간선가로변은 용도지역의 건폐율, 용적률 적용기준 보 다는 높아지고 사선제한 높이보다는 비슷하거나 높아 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가로변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 적용 시 공공성 확보에 따른 높이완화를 적용 하여, 공공시설 확보 및 보행환경개선을 유도하고, 개발밀도 증가에 따른 기반시설에 대한 과부하에 대해서는 사전에 대책 수립이 필요하겠다. 과도한 개발이 우려가 예상 되는 지역은 계획수립 시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기반시설 용량 및 확충 계획 등을 반영 한 검토가 필요하며, 필지의 형상 및 규모, 위치 등으로 인하여 주변필지보다 상대적으

로 높이적용이 불합리한 경우 행정절차를 통해 탄력적으로 높이관리 방안을 적용할 필 요가 있다.

향후 가로변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지구차원의 다양한 여건을 세밀히 반 영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수립 시 적합한 높이기준을 계획함으로써 도시의 정체성 증 진과 이미지 형성에 부합 할 수 있는 높이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도시차원의 체계적 인 건축물의 높이관리 틀 속에서 민간의 개발 논리와 조화를 이루는 개발이 유도되어 야 하며,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경관계획과 높이관리계획을 연계하여 도심의 스카이라 인을 반영한 마스터플랜 계획이 필요하겠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비를 통한 가로변 건축물 높이를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주거지역과 연접하는 지역의 높이설정으로 인해 주거환경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참 고 문 헌

가. 연구보고서

岡田新一(1994), プロデューサー 方式の 地域デザイン, 快適環境士官の形成, 東京:ぎょうせい.

南珍(2001), 東京都の都心住居確保に係わるインセンテイブ制度の效果と居住環境に關する硏究, 橫浜國立大 博士學位論文

Porter D. Downtown Linkages, Urban Land Institute, 1985 Fox, Richard G, Urban Anthropology, 1977

Amir. Razavi, ArcView Developer’s Guide ESRI, Introduction to Avenue

ESRI, Customization and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rcView GIS Avenue

A.Amin·N. Thrift(2002), Globalization, institutional thickness and local economy, op. cit, 재인용,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Edward Wilson(2005), Consilience:The Unity of Knowledge, 최재천 역, 사이언스북스 이문보 외10인, 『건축물 형태 및 규모 규제에 관한 기준연구』, 건설교통부, 1987

서울특별시, 『가로구역별 건축물 최고높이 지정을 위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특별시, 『가로구역별 건축물 최고높이 지정』,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이인재, 『가로구역별 건축물 높이제한 제도 적용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08 최상훈, 정성구, 『가로구역별 건축물 최고높이 지정의 필요성 과 도입방안』, 광주발전연구

원, 2009

IFEZ,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국제업무단지 경관상세계획』, 2007 부산광역시, 『부산시역의 건축물 높이관리계획』, 2008

이상민, 서남희, 『경관향상을 위한 도시특성별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 연구-국내외 사례를 중 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광주광역시, 『2030광주도시기본계획』, 2017

나. 국내 학위논문

신지훈, 『도시 경관계획 지표연구 _ 건축물 규모 및 배치지표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 위 논문, 2003

이주아, 『높이규제 방식이 시각 차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2005 김문일, 『건축물 높이 제도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 논문, 2008

박기훈, 『도로사선제한 폐지 후 서울시 가로구역별 건축물 높이지정 운영지침 실증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다. 국내 학술지논문

임승빈, 신지훈,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집-계획계』, 11권, 10호, pp.157-165, 1995

문석 외4인, 「일반주거지내 도로에 의한 사선제한 규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집-계획계』, 19권, 8호, pp.95-102, 2003

김도년, 정재용, 정상혁, 「삼차원적 도시관리 수단으로서의 건축물 높이기준 설정방향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3호, pp.169-176, 2003

김도년, 임희지, 「도시경관에 있어서 높이기준 유형별 건축물의 형태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8호, pp.146-156, 2004

최창규, 이주일, 「건축물 높이제한 기준 변화가 이면도로에 접한 대지의 개발 용적에 미친 영향」, 『서울도시연구』, 7권, 2호, pp.77-93, 2006

이주아, 구자훈, 「건축물 높이규제 방식에 따른 시각 차폐율의 변화 특성 분석」, 『국토계 획』, 41권, 6호, pp.93-103, 2006

이주아, 장윤배, 「건축물 높이규제 방식이 가로의 물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 획』, 41권, 1호, pp.119-131, 2006

김문일, 최찬환, 「도로사선제한시 높이결정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3권, 6호, pp.41-50, 2007

최진희, 양승우, 「가로구역별 건축물 최고높이 제도의 효과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권, 2호, pp.129-138, 2014

홍경우, 박정환, 권영상, 「도로사선제한 폐지에 따른 도시공간변화 분석」, 『한국도시설계확 회지』 , 제16권 제6호, 2015

김정규, 유창균, 조성진, 「도로사선제한 페지에 따른 건축물 높이변화 실태 및 제도 보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한논문집』, 19권, 3호, pp.49-59, 2017

라. 인터넷사이트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포털 www.nsdi.go.kr 서울시청 www.seoul.go.kr

광주광역시청 www.gwangju.go.kr 인천광역시청 www.incheon.go.kr 부산광역시청 www.busan.go.kr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 국토교통부 www.molit.go.kr KOSIS국가통계포탈 kosis.kr 통계청 kostat.go.kr

법제처 www.moleg.go.kr

자치법규정보시스템 www.elis.go.kr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luris.molit.go.kr 세움터 www.eais.go.kr

씨:리얼 seereal.lh.or.kr ESRI www.esri.com 구글재팬 www.google.co.jp 구글 www.google.co.kr

부 록

▪상업지역 및 시가지경관지구 아파트 현황 (2018년 10월 기준)

구분 행정동 면적(㎡) 비 고

1

광산구

상업지역

송정동

6,391 광신프로세스아파트

2 소촌동 786 한광브라임빌아파트

3 소촌동

2,566 보라2차아파트

4 우산동

5,945 광주우산아파트(2019년 10월 예정) 5

시가지경관 지구

우산동

39,177 우산중흥s클래스리버티아파트

6 송정동

14,762 송정라인2차아파트

7 우산동

18,580 국제미소래아파트

8 우산동

8,079 광주하남아파트

9 우산동

37,122 시영2단지아파트

10 우산동

76,165 하남주공1차아파트

11 우산동

54,021 우산동쌍용예가아파트(2018년 10월 예정)

12 운남동

47,577 운남주공5단지아파트

13 운남동

52,841 운남주공4단지아파트

14 운남동

45,090 운남주공1단지아파트

15

남구

상업지역

백운동

2,563 대주아파트(101동)

16 주월동

2,752 무진아파트-가

17 주월동

4,399 무진아파트-나

18 주월동

1,432 시민아파트

19

시가지경관 지구

방림동

48,545 방림휴먼시아아파트

20 백운동

47,872 광주백운휴먼시아아파트

21 백운동

8,741 광주백운2휴먼시아아파트

22 백운동

21,440 백운우방아이유쉘아파트

23 백운동

11,207 백운벽산아파트

24 방림동

8,209 방림명진로드힐아파트

25 주월동

4,378 라인가든1차아파트

26 주월동

3,311 라인가든2차아파트

27 주월동

43,296 제석산호발빌아파트

28 주월동

5,311 금영푸르미아파트

구분 행정동 면적(㎡) 비 고 29

남구 시가지경관

지구

진월동

10,134 진월아파트

30 진월동

21,043 진월현대1차아파트

31 진월동

8,299 신흥타운아파트

32 진월동

3,461 신흥타운아파트

33

서구

상업지역

쌍촌동

1,683 쌍촌현대맨션

34 쌍촌동 854 쌍촌현대맨션

35 쌍촌동

1,005 쌍촌현대맨션

36 쌍촌동

1,834 상무맨션

37 쌍촌동

3,537 명지맨션

38 양동

16,891 금호2차아파트

39 양동

12,100 삼익맨션

40 양동

14,622 우진아파트

41 양동

10,182 금호1차아파트

42 광천동

2,557 대광아파트

43 광천동

4,009 삼화아파트

44 광천동

3,022 성진맨션

45

시가지경관 지구

쌍촌동

2,482 지오스테이션아파트

46 농성동

41,129 농성sk뷰센트럴아파트

47 농성동

8,379 중흥파크아파트

48 양동

34,143 양동휴먼시아아파트

49 농성동

6,903 농성빛여울채아파트

50 화정동

90,325 유니버시아드힐스테이트3단지아파트

51 화정동

25,291 꽃담마을e-편한세상아파트

52 화정동

18,287 럭키염주아파트

53 화정동

13,857 태영아파트

54 화정동

12,557 우성1차아파트

55 내방동

1,691 한성아파트

56 치평동

25,141 상무sk뷰아파트

57 금호동

15,753 로렌시아아파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5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