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요구분석

1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재취직 및 창업에 관한 요구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재취직 및 창업에 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자산, 부양가족 수 등이 낮을수록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강한 반 면, 그것들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창업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재취직 및 창업에 대한 요구는 재취직에 대해 20대 가 89.1%, 30대가 87.3%, 40대가 86.5%, 50대가 89.7%로 나타났는데, 연 령이 낮을수록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50대의 경우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89.7%로 20대보다 높았는데, 이는 다 른 연령층보다 창업을 고려하기에는 부담감이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대를 제외하면, 50대의 창업에 대한 요구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낮은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은 50대의 연령층에 대한 차별화된 교육훈련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자산이 많을수록 창업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고, 자산이 적을수록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는데, 1억원 미만의 자산 을 소유한 실업자들은 10% 정도가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에 비해, 1 억원 이상을 소유한 실업자들은 20% 정도가 창업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재취직에 대한 요구가 강 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여자에 비해 11.3% 대 4.4%의 비율로 창업 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2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재취업 및 창업에 대한 요구 직종

실업자들의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재취직 및 창업에 대한 요구 직 종은 개인적 특성 변인에 관계없이 생산기술직, 서비스 관련직, 창업, 사무관리직, 전문직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성 변인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관계없이 생산기술직 (40.1% ), 서비스 관련직 (22.3% ), 창 업 (17 .7% ), 사무관리직 (14 .6% ), 전문직 (5 .3% )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요 구 직종별로 보면 사무관리직은 40대, 서비스 관련직은 20대, 생산기술 직은 30대~40대, 창업은 30대, 전문직은 20대가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 요구하는 직종의 순위는 앞의 결과와 동일한데, 남자들이 생산기술직과 창업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여자들은 서비스 관련직, 사무관리직, 전문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실업자들이 전 직장의 업무와 동일한 직종에 재취직 을 하고자 하였으나, 사무관리직의 경우 33 .9%만이 동일 직종에 재취 직을 원하고 있었을 뿐, 나머지는 전직을 고려하고 있었다. 전직을 고 려하는 66.1% 중, 생산기술직에 21.7% , 창업에 20.7% , 서비스 관련직 에 18 .9%의 반응을 보였다. 사무관리직이 전직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은 전문화된 기능이나 직업 능력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 안 없이 창업을 고려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무관리직 실업자들에 대한 대책이 국가 차원에서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인다.

넷째, 자산 정도에 따른 재취직 및 창업의 요구 직종을 분석한 결과, 자산이 적을수록 생산기술직과 서비스 관련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 났으며, 자산이 많을수록 사무관리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 창업은 자산 정도에 관계없이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1억원 이상 1 억 5천 만원 이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창업 에 대한 요구는 자산의 정도에 관계없이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어, 다양 한 창업에 관한 교육훈련 및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력이 높을수록 사무관리직, 전문직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 며, 학력이 낮을수록 생산기술직, 서비스 관련직이 높게 나타났다. 창 업의 경우는 학력에 관계없이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특별한 기 능이나 기술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인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이 높게 나타나, 실업에 의한 2차적인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3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요구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교육훈 련 기관에 대한 선호는 공공직업훈련기관, 사업내 훈련원, 기능대학 및 직업전문학교, 대학 및 대학부설기관, 전문대학, 사설교육기관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특히, 4년제 대학 및 대학부설기관관에 대한 선호는 실 업자들의 재취직 및 창업에 대한 요구 직종 중, 전문직과 사무관리직 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전문대학은 전 직종에 걸쳐서 거의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반영하여 교육훈련 기관들의 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특성화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개설될 필요가 있으 며, 그 프로그램들에 대한 충분한 홍보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실업자들의 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요구를 종합해 볼 때, 교육훈련 기관은, ① 취업과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기관 ② 실제적인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기관 ③ 취업 알선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기관 등의 기능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교육훈련 기관들은 실업 자들에게 실제적인 교육훈련 뿐만 아니라 취업과 관련된 정보의 제공 이 필수적이며, 취업을 알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취 업 정보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4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교육훈련 기간에 대한 요구

교육훈련 기간에 대한 실업자들의 요구는 개인적 특성 변인에 관계없 이 1~2개월, 3~4개월, 5개월 이상, 1주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적 특 성 변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첫째, 남녀 모두 단기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여자의 경우 남자들에 비해 1~2개월과 1주일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 가 높게 나타난 반면, 남자는 3~4개월과 5개월 이상에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단기간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기간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직을 요구하고 있는 실업자들은 1~4개월의 교육훈련 기간 에 높게 반응한 반면, 창업의 경우는 5개월 이상과 1주일의 이분화 된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창업의 경험이 없는 사 람들은 신중한 반면에, 어느 정도의 경험이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 들은 기본적인 교육훈련만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 업은 좀더 교육훈련 기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 해 각 교육훈련 기간들은 프로그램을 개설할 때, 이에 대한 충분한 사전 조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교육훈련 시간대의 요구

교육훈련 시간대의 요구는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 으나 오전 또는 오후에 집중해서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야간과 주말의 순 인데 반해, 하루 종일이나 새벽에 대한 요구는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특 히 새벽에 대한 요구는 2% 정도에 불과했다.

특성 변인별로 교육훈련 시간대의 요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교육 시간대의 선호도를 보면, 남자의 경우 야간과 하루 종일에 높게 반응했고, 여자는 오전 또는 오후에 집중해서와 주말 에 대한 선호도가 남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여자가 가사에 대한 부담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교육훈련의 운영 시간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편성, 운영해야 한다.

둘째, 선호하는 교육훈련 기간에 따른 시간대는 1~2개월의 단기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오전 또는 오후, 5개월 이상의 기간이 요구 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하루 종일이나 야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 타났다.

셋째, 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프로그램 운영 시간대의 요구에 있어서는, 오전 또는 오후는 공공직업훈련기관과 전문대학, 야간과 하루 종일은 기 능대학 및 직업전문학교, 주말은 사설교육기관 등으로 실업자들의 요구 가 나타났다.

6 )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른 교육훈련의 주당 실시 횟수의 요구

개인의 특성 변인에 따른 주당 교육훈련 실시 횟수를 보면, 개인적 특 성 변인에 관계없이 주당 2~3회, 4~5회, 매일, 1회의 순으로 나타났는 데,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첫째, 연령에 따른 주당 교육훈련 실시 횟수의 경우, 매일에 대한 요구 는 연령이 높을수록, 2~3회는 연령이 낮을수록 비율이 높았다. 또한, 주 1회에 대한 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당

2~3회에 대한 요구가 20대가 51.0%로, 전체 평균 (43.5% )에 비해 월등히 높았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재취직을 위해서 교육훈련 이외의 시간 활용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매일에 대한 요구와 주 1 회에 대한 요구가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는데, 재취직을 위한 교 육훈련에 대한 기대와 창업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시 횟수를 보면, 매일과 주 4~5회에 대한 요구는 남자들이 높은 반면, 주 2~3회와 1회는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시 횟수를 보면, 매일과 주 4~5회에 대한 요구는 남자들이 높은 반면, 주 2~3회와 1회는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