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개념분류체계(온톨로지)

1. 방법론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모집단 선정을 위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하였 다. 먼저 해양안전에 대한 기본 정보로서 앞서 기술한 제8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2017 년~2021년)에 제시된 해양안전사고 목표 및 정책방안들과 해양조난사고 통계연보(2015 년)에서 도출한 해양안전에 관한 평가지표들을 사용하여 온라인상의 소셜데이터 확보를 위한 모집단을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트위터, 뉴스, 방송, 블로그, 카페 등 소셜 미디 어에서 관련어들을 추출하였다.86) 이렇게 추출된 관련어들을 바탕으로 해양안전과 관련 된 주요 정책 이슈별로 구분한 개념분류체계(온톨로지)87)를 구성하였고, 이를 이후 정책 평가지표분석 및 미래예측신호 분석의 틀이자 기초자료로 삼았다.

<표 3-1> 해양안전 관련 이슈 소셜 빅데이터 수집 개요

구분 개요

수집 토픽 해양안전 관련 소셜 빅데이터 수집

Data 수집기간 2015년 1/4분기 ~ 2015년 4/4분기 (1년)88)

Data 수집․분석 대상 채널 수집이 가능한 트위터, 뉴스, 방송, 블로그, 카페 등에서 수집

86) 본 연구를 위한 소셜 빅데이터의 수집 및 로데이터 추출은 (주)SK텔레콤 스마트인사이트에서 수행함.

87) ‘온톨로지(ontology)’란 개념들과 개념들간의 관계성을 말한다. 법률 온톨로지(legal ontology)는 정보의 추출, 정보들간의 상호작용의 체계, 추론 등 법적 적용에 있어서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개념모델로 제시되었다.

Giovanni Sarto, Pompeu Casanovas, Maria Angela Biasiotti, Meritxell Fernandex-Barrera Edited, Approaches to Legal Ontoloties: Theories, Domains, Methodologies, Springer (2011), p.1

88) 조사결과의 신뢰도를 위하여는 상당한 기간 동안의 정보 수집이 필요하나, 본 연구의 예산 및 규모의 한계로

2. 정책평가지표 선정

이 연구는 해양안전과 관련하여 전문정보 데이터에서 ‘해양안전,’ ‘해양사고,’ ‘해양안 전 관리,’ ‘해양질서’에 관한 키워드를 통해 얻어진 430여개의 전문정보들과89) 국민안전 처의 ‘해양조난사고 통계연보(2015)’를 검토한 결과 해양에서의 위험 발생원으로서 다음 과 같은 대략적인 개념도를 도출하였다.(다음 그림 3-1 참조)

(1) 해양안전관리의 정책목표

그러나 이와 같이 해양에서의 안전을 위협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위험원들이 존재함에 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민들의 입장에서 가장 안전의 위협되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보다 중점을 두어 연구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에 대한 판단 근거로서 ‘제8차 국가교통안 전기본계획(2017년~2021년)’에 제시된 해양안전사고 부분 목표 및 정책방안에 제시된 계 획지표들(사망․실종자수, 사고건수)을 안전관리의 기초 척도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기초 척도와 관련된 주된 위험원은 최근 새로운 위험원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형적 해양안전관리 대상인 선박 및 해상교통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선박 및 해상교통에 서 비롯되는 위험발생과 관련된 주요 관리대상영역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양사 고 관련 통계(2015년)를 이용하여, 관련 지표를 도출하였다.

조사 대상은 2015년 1년 동안의 데이터로 함.

89) 대상 전문정보원은,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 교보문고 스콜라(scholar.dkyobobook.co.kr), Web of Science(webofknowledge.com)임

[그림 3-1] 해양 안전의 관리대상으로서의 위험원 개념도90)

<표 3-2> 제8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2017년~2021년) 정책방향과 계획지표

제8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해양안전사고

부분 목표 및 정책방향

목표 Ÿ 해양안전 강화를 위해 해양사고 사망자․실종자수 20% 감소, 주 요사고 20% 감소 및 대형해양사고 제로화 목표 설정

정책 방향 Ÿ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인적․시설적․문화적 측면의 총 6개부분 의 정책방향을 설정

해양안전 관련 계획지표

주지표 Ÿ ‘해양사고 사망 및 실종자수’로 설정

보조 지표 Ÿ ‘해양사고 주요 사고건수’와 ‘대형해양사고 건수’로 설정

(2) 연구의 평가지표

‘제8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2017년~2021년)’에 제시된 해양안전사고 부분 목표 및 정책방안에 제시된 계획지표들(사망․실종자수, 사고건수)을 해양안전사고 관련 평가요 소들에 대입하여 주요 위험발생원 또는 주목할 관리대상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이를

90) 인명, 선박 손실에 관한 근거 자료 명시할 것.

소셜데이터 수집에 필요한 모집단 설정에 있어 주요 개념 요소로 설정하였다. 다음은 주 요 해양사고 평가요소에 대해 주지표와 보조지표를 적용하여 위험도를 도출한 결과이다.

주지표 사망실종비중(%) = 사망실종수(명) / 전체사고자수(명) 보조지표 사고정도(명/척) = 사망 실종 수(명) / 사망실종 비중 사고선박건수(척)

<표 3-3> 주요 평가 항목별 지표 적용

가. 선박규모

선박규모 평균 5톤미만 5~20톤

미만

20~100톤 미만

100~500톤 미만

500톤 이상 사망실종

비중 0.6% 1.2% 0.7% 0.6% 0.4% 0.2%

사고규모 1.1명/척 0.6명/척 2.3명/척 1.4명/척 3.0명/척 1.1명/척 나. 선 종

선종별 누계 어선 낚시어선 여객선 유도선 화물선 유조선 예부선 레저 기타 사망실종

비중 0.6% 1.2% 0.9% 0.0% 0.0% 0.5% 0.3% 1.6% 0.1% 0.6%

사고규모 1.1명/척 1.4명/척 10명/척 0.5명/척 0명/척 3.5명/척 0.5명/척 0.5명/척 0.2명/척 0.2명/척

※ 사망 및 실종수가 1명/척 이하인 경우 제외

다. 기 상

기상별 누계 기상특보 황천 저시정 양호

사망실종비중 0.6% 1.4% 4.2% 0.3% 0.4%

사고규모 1.1명/척 0.9명/척 6.8명/척 0.5명/척 0.8명/척

라. 월 별

월별 누계 11~2월 3~6월 7~10월

사망실종비중 0.6% 0.5% 0.4% 1.0%

사고규모 1.1명/척 1.9명/척 0.6명/척 1.3명/척

바. 구조기관

각 사고특성별 사망실종 비중 및 사고정도가 높은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 3-4> 소셜 빅데이터 수집 대상 모집단설정 주요 단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