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 ( a , b , c ) = (짝,짝,홀)인 경우는
3×3×3 = 27 (가지)이고 ( 짝,홀,짝),(홀,짝,짝) 이
모두 같은 경우이므로 27×3 = 81 (가지)이다. 한편, ( a , b , c ) = (홀,홀,홀)인 경우는 abc 가 짝수이라 는 조건에 모순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없다.
록 유의한다.
10. [출제의도] 상용로그의 지표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다.
조건 Ⅱ의 f (2 n ) = 1+ f ( n ) 에서 log 2 n 의 지표는 의 지표보다 1이 크다. 이것은 n 의 자리수보다 의 자리수가 만큼 더 커진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n = 5 일 때 ,
f : A → A 가 일대일 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A ={ x ∣ x ≧ a }가 정의역이자 치역(공역)이므로 2 a -5 = a ∴ a = 5
17. [출제 의도] 소수의 성질을 증명할 수 있다.
이 증명은 ‘ 은 소수가 아니다.’를 먼저 보이고 있으므로 귀류법에 의한 증명임을 알 수 있다.
a = b = 0 이므로 z 1 = 0 : 참
ㄷ. 반례) z 1 = 1+ i , z 2 = 1- i : 거짓 ③
9.[출제의도]다항식의 사칙연산을 이해하고 인수분해하기
[해설]직사각형 1 개의 넓이는 xy , 서로 겹친 부분의 넓이는 y 2 각각 4 개씩이므로 4 xy -4 y 2 = 4 y ( x - y ) ②
꼭짓점 A 에서 호 B C 위의 모든 점까지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호 B C 가 직선 위를 구 르는 동안 점 A 에서 직선 까지의 거리가 같 다. 마찬가지로 호 C A , A B 가 직선 위를 구 르는 동안 점 B C 에서 직선 까지의 거리가 각각 같다. 그러므로 뢸로 삼각형은 두 평행선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 ×
두 번째 사각형의 위치에 있던 정사각형 가 점 를 중심으로
바퀴 구른 후의 정사각형은 세 번째 사각형의 위치에 온다 이 과정에서 점 . 가 움 직인 거리는 반지름이 ( 점 가 그리는 원의 반 지름은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와 같다 인 .) 사분원의 호의 길이와 같으므로 × × ×
한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①은 경연제 도, ③은 세종의 통치, ④, ⑤는 조선 시대 3사의 역할이다.
18. [출제의도] 고려 정치 세력의 변화 파악하기 [해설] (가)는 문벌 귀족으로 성종 시기부터 형성 되어 11세기 문종 때 문벌 귀족 사회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으로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드러나고, 무신정 변으로 문벌 귀족 사회가 붕괴되었다. ①은 향리,
이는 곧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의미하는 것 이다. 지문 내용에서 서양 문화를 바탕으로 전통 문화를 변형하자는 주장은 잘못된 분석이다.
8. [출제의도] 장자(莊子)의 사상 이해하기 [해설] 제시문에서 장자는 자연에 따르는 삶, 일 체의 사의(私意)를 배제한 허심(虛心), 외물(外物) 로부터 자유로운 사람, 삶의 조건을 외부로부터 구하지 않는 사람을 ‘진인(眞人)’이라고 불렀다. ④ 와는 달리 장자는 사물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지 양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③유량 변동이 커서 수운 발달에 불리하다. ⑤강 수집중이 크면 토양 침식과 유기질의 용탈로 토양 산성화가 심화된다.
5. [출제의도] 우리나라 지형특성 파악하기 [해설]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은 동고서저의 경동성 지형으로 교통의 장애요인이 되어 동서 방향보다 남북 방향의 교통망 발달에 유리하다.
① 지표면 근처에서 물체의 운동이므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일정하다. ② 지면에 가장 접근한 순간은 t 2 , t 6 이다. ③ t 2 , t 4 에서 그래프의 접선 기울기인 가속도의 부호가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힘 의 방향도 반대이다. ④ 힘의 평형이 이뤄지는 순 간은 기울기가 0인 t 3 , t 5 두 번이다. ⑤ 0~ t 2 동 안 내려간 만큼 t 2 ~ t 4 동안에 되돌아오기 때문에 출발점에 가장 가까운 순간은 t 4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