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x Vivo Sentinel Node Mapping in Gastric Canc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x Vivo Sentinel Node Mapping in Gastric Cancer"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외과학회지:제 64 권 제 4 호

□ 원 저 □

Vol. 64, No. 4, April, 2003

302

서 론

림프절 전이 유무는 위암에서 중요한 예후인자로 간주되 며 림프절 절제는 종양의 제거와 함께 거의 대부분의 위암 환자에서 시행된다. 통상적으로 영역림프절을 절제하고 H&E 염색을 이용하여 림프절의 전이 상태를 평가한다. 그 러나 림프절 절제 범위는 아직 논란이 되고 있다. Morton 등(1)은 악성 흑색종에서 수술중 감시 림프절 생검을 하여 과격한 림프절 절제를 하지 않고도 림프절 전이상태를 알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후 유방암에서도 이 개념이 받아 들여져 액와 림프절에서 감시 림프절 생검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림프절의 암 전이 상태를 알 수 있고 감시 림프절 전이가 없을 경우 액와 림프절 절제를 생략하여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2) 근래에는 위장관 암 에서도 감시 림프절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 중인데 그 효과 는 아직 논란이 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암에서 수술 중 체외 감시 림프절 생검을 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42명의 위암 환자를 대 상으로 생체 외 lymphatic mapping 및 감시 림프절 생검을 하였다. 림프절 곽청술을 포함한 위 절제 후 5분 이내에 생 체염료(Lymphazurin, USSC. Norwalk, USA) 1 ml를 이용하 여 병변 주위 점막하층에 주변에 각각 0.25 ml씩 1∼2ml의 생염료를 주입하였다. 생체염료 주입 후 3∼5분에 위 주변 에서 가장 먼저 청색으로 착색되는 림프절을 찾아 절제하 고 그 위치를 기록하였다. 절제된 감시림프절 및 위 조직은 통상적인 H&E 염색을 하였다.

Ex Vivo Sentinel Node Mapping in Gastric Cancer

Won Cheol Park, M.D. and Jeong Kyun Lee, M.D.

Purpose: Lymph node analysis is essential for staging gastric cancer. Intraoperative lymphatic mapping and sentinel lymphadenectomy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for most gastrointestinal neopla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ex vivo lymphatic mapping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42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went ex vivo lymphatic mapping and sentinel lymph node (SN) biopsy after standard surgical resection from March 2002 to September 2002. Within 5 minutes of resection, stomach specimens were injected submucosally around the tumor with isosulfan blue dye. Blue lymphatic channels were identified and followed to the blue-stained SN (s) which were harvested. The specimen was fixed in formalin and subsequently analyzed in the usual fashion.

Results: At least one SN was identified in 39 patients (92.9%). The average number of SNs identified was 2.5 (range, 1∼6), and the average number of nodes in each gastric cancer specimen was 23.4 (range, 13∼55). 14 patients had lymph nodes containing metastatic disease. 9 patients had metastasis in both sentinel and nonsentinel node. In 5 patients the sentinel nodes was negative for disease, whereas the nonsentinel lymph nodes contained metastatic disease (false negative rate=35.7%). Of these 5 patient, one may have skip metastasis and four had metastasis on same rerional lymph node group.

Conclusion: Ex vivo SN mapping of the stomach is technically feasible, but it is too early to provide a useful approach to evaluate lymph node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2003;64:302-305)

책임저자:이정균,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ꂕ 570-711,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Tel: 063-850-1205, Fax: 063-855-2386 E-mail: rjk@wonkwang.ac.kr

접수일:2002년 11월 21일, 게재승인일:2003년 2월 15일 이 논문은 2001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서 수행됨.

위암에서 감시 림프절 생검의 의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박 원 철․이 정 균

Key Words: Ex vivo sentinel node mapping, Gastric cancer 중심 단어: 체외 감시 림프절 생검, 위암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 versity, Iksan, Korea

(2)

박원철 외:위암에서 감시 림프절 생검의 의의 30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결 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3세(범위 35∼78)였고 남자가 28 명 여자가 14명이었다. 조직학적 병기는 T1 22명, T2 6명, T3 13명 그리고 T4 1명이었다. 감시 림프절 생검을 한 42명 중 39명(92.9%)에서 감시 림프절을 찾을 수 있었다. 평균 채 취된 림프절의 수는 23.4개(범위 13∼55)였고 전체 림프절 의 수는 893개였다. 평균 감시 림프절의 수는 2.5개(범위 1∼6)였고 전체 감시림프절의 수는 101개이었다(Table 1).

감시 림프절을 찾은 39명 중 14명(35.9%)에서 림프절 전이 가 있었다. 이 중 5명(false negative rate: 35.7%)은 감시 림프 절 전이 없이 다른 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는데, 조직학적 병 기로는 T1 3명, T2 1명, T3 1명이었으며, 림프절 위치에 따 라서 1명(7.1%)은 2군 영역림프절에 전이가 있었고, 4명 (28.6%)은 같은 1군 영영림프절군에 전이가 있었다(Table 2).

종양의 위치에 따른 감시 림프절의 위치는 종양의 위치 가 하부인 22예는 소만부 림프절이 21개, 대만부 림프절이 7개, 유문부상 림프절이 10개, 유문부하 림프절이 14개였 고, 종양이 위 중부에 위치한 12예는 소만부 림프절이 35개, 좌 위동맥 림프절이 2개였으며, 종양이 상부에 위치한 5예 는 소만부 림프절이 8개, 대만부 림프절이 1예, 우 분문 림 프절이 1개 그리고 좌 분문 림프절이 2개였다(Fig. 1).

고 찰

악성 흑색종과 유방암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인 감시림프 절 절제는 림프절의 전이가 없는 환자에서 불필요한 림프 절 절제를 하지 않아 림프 부종, 신경손상 및 운동제한 등의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1,2) 위암에서도 광범위 림프절 절제를 생략하면 수술 후 출혈, 췌장염, 림프 액 유출 등의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근래 조기 위암의 경우 복강경하 위절제술을 하면서 감시림프절 생검 을 하여 전이가 없을 경우 광범위 림프절 절제를 하지 않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3)

위암에서 림프절의 절제 범위와 생존율과의 관계는 아직

Fig. 1. Location of sentinel lymph node according to the center of gastric cancer Lower 1/3 Middle 1/3 Upper 1/3.

14

Lower 1/3

7 21

0 10

0 0

22 0

Upper 1/3

1 8

1 0

0 2

5

0

Middle 1/3

0 35

0 0

2 0

12 Table 1.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atients undergoing lym-

phatic mapping for gastric cancer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linicopathologic features Results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 of cases 42

Sex

Male : female 28 : 14

Mean age, year (range) 59.3 (35∼78) T stage

T1 22 (52.4)

T2 6 (14.3)

T3 13 (31.0)

T4 1 (2.4)

Total No. of lymph nodes 893

Mean No. of lymph nodes (range) 23.4 (13∼55) Total No. of sentinel nodes 101

Mean No. of sentinel nodes(range) 2.5 (1∼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2. Distribution of metastases in sentinel and nonsentinel lymph node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Tumor status No. (%) of No. (%)

of node lymph nodes of patient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egative 784 (87.8) 25 (64.1)

Positive 109 (12.2) 14 (35.9)

Sentinel and non-sentinel 102 (11.4) 9 (23.1)

Sentinel only 0 0

Non-sentinel only 7 (0.8) 5 (12.8) Skip metastasis 2 (0.2) 1 (2.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893 3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304 대한외과학회지:제 64 권 제 4 호 200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도 논쟁 중이나 일반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D2

또는 D2+α 림프절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 재발률이 감소 하고 생존율이 개선된다고 보고되고 있다.(4) 그러나 수술 시 림프절의 전이 여부나 범주를 완전히 알기는 어렵기 때 문에 수술 후 림프절 전이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수술 시 림프절 전이 여부를 알 수 있다면 불 필요한 림프절 절제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전체 림프절 을 조사하는 것보다는 원발 종양에서 처음으로 배출되는 감시림프절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조직검사를 시행하면 효 과적으로 림프절의 전이 유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위암에서 감시림프절을 정확하게 찾는 것은 여 러 가지 불편한 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그 정확도에도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6)

감시림프절을 찾는 방법은 99mTc sulfur colloid를 이용하 는 방법과 생체염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 며 악성 흑색종과 유방암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할 때 감시림프절을 발견하는 율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7,8) Aikou 등(9)은 위암 환자에서 99mTc sulfur colloid 와 생체염료를 같이 사용하여 감시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결과 18명의 환자 중 17명(94%)에서 감시림프절을 발견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위암에서 감시림프절을 찾기 위해 99mTc sulfur colloid를 이용하는 방법은 수술 2시간 전에 내시경을 이용하여 99mTc sulfur colloid를 주사해야 하고 장비가 준 비되어져야 함으로 환자 및 의사의 불편함이 뒤따른다.(3,9) Wood 등(10)은 75명의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체염료를 이용한 lympahtic mapping (LM)을 하였는데 in vivo LM 64 명 중 56명(88%)에서 감시림프절을 찾았고 Ex vivo LM으로 8명 중 7명(88%)에서 감시림프절을 찾을 수 있었다고 보고 하였다. Wong 등(11)은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체염료 를 이용한 Ex vivo LM으로 26명의 환자 중 24명에서 감시 림프절을 찾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은 림프절 곽청술을 포함한 위 절제 후 5분 이내에 생체염료를 주입하 는 방법을 이용하여 감시림프절을 찾았다. 이 방법은 림프 절 절제를 시행한 후 생체 염료를 주사하기 때문에 림프절 절제를 시행하기 전에 생체염료를 암세포 주위에 주사함으 로 인한 암세포의 확산 가능성을 피할 수 있고 비교적 쉽게 감시림프절을 찾을 수 있다.(11)

유방암에서는 생체염료를 종양 주위에 주사하거나 유륜 하에 주사하거나에 상관없이 감시림프절의 위치가 대부분 액와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위는 다양 한 림프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시림프절의 위치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2,12,13) Kosaka 등(12)은 단일 림 프절에 전이가 있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위의 림프액 경 로를 조사하였는데 51명의 환자 중 44명은 perigastric region 에 전이가 있었으나 7명에서는 N2-N3 node에 도약(jumping) 전이가 발생하여 감시림프절이 반드시 원발암에 가까운 위 주위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점막하 침윤이

있을 경우 systemic 영역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고 보고하였다. Maruyama 등(13)은 위의 복잡한 림프액 흐 름과 빈번한 skip metastasis와 미세전이 때문에 위암 수술시 림프절 절제범위을 결정하기 위한 감시림프절 생검의 적용 은 아직 이르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림프절에 전 이가 있었던 14명 중에 5명(위 음성 35.7%)은 감시 림프절 전이 없이 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는데 이 중 1명은 2군 영역 림프절에 전이가 있어 skip metastasis로 보이나 혹시 바로 그 부위로 가는 림프경로가 있었는지는 알 수 없고, 4명은 같은 1군 영역림프절에 전이가 있어 청색으로 착색되는 림 프절 이외의 감시 림프절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 서 위암에서 감시림프절 생검으로 림프절 절제 범위를 결 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감시림프절을 찾는 방법을 개선하 여 위음성률을 낮추고 skip metastasis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위암에서 체외 lymphatic mapping과 감시 림프절 생검은 비교적 쉬우며 림프절의 전이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 한 방법이나, 감시 림프절 전이 없이 다른 림프절로의 전이 가 비교적 높게 발생하기 때문에 위암 수술 시 위절제 및 림프절 곽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 해서는 이 문제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Morton DL, Wen DR, Wong JH, Economou JS, Cagle LA, Storm FK, et al. Technical details of intraoperative lymphatic mapping for early stage melanoma. Arch Surg 1992;127:392-9.

2) Giuliano AE, Kirgan DM, Guenther JM, Morton DL. Lym- phatic mapping and sentinel lymphadenectomy for breast cancer. Ann Surg 1994;220:391-8; discussion 398-401.

3) Kitagawa Y, Ohgami M, Fujii H, Mukai M, Kubota T, Ando N, et al. Laparoscopic detection of sentinel lymph node in gastrointestinal cancer: a novel and minimally invasive ap- proach. Ann Surg Oncol 2001;8:86S-9S.

4) de Manzoni G, Verlato G, Guglielmi A, Laterza E, Genna M, Cordiano C.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 node dissection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96;83:1604-7.

5) Kitagawa Y, Kubota T, Otani Y, Furukawa T, Yoshida M, Fuj H,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sentinel node navigation surgery in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Nippon Geka Gakkai Zasshi 2001;102:753-7.

6) Tsioulias GJ, Wood TF, Morton DL, Bilchik AJ. Lymphatic mapping and focused analysis of sentinel lymph nodes upstage gastrointestinal neoplasms. Arch Surg 2000;135:926-32.

7) Morton DL, Thompson JF, Essner R, Elashoff R, Stern SL, Nieweg OE, et al. Validation of the accuracy of intraoperative

(4)

박원철 외:위암에서 감시 림프절 생검의 의의 3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ymphatic mapping and sentinel lymphadenectomy for early- stage melanoma: a multicenter trial. Ann Surg 1999;230:

453-65.

8) Choi UJ, Park WC, Lee KM, Yoon KJ. Occult micrometastasis of sentinel lymph node in node-negative breast cancer. J Korean Surg Soc 2001;61:379-386.

9) Aikou T, Higashi H, Natsugoe S, Hokita S, Baba M, Tako S. Can sentinel node navigation surgery reduce the extent of lymph node dissection in gastric cancer? Ann Surg Oncol 2001;8:90S-3S.

10) Wood TF, Saha S, Morton D, Tsioulias GJ, Rangel D, Hut- chinson WJ, et al. Validation of lymphatic mapping in colore- ctal cancer: in vivo, ex vivo, and laparoscopic techniques. Ann

Surg Oncol 2001;8:150-7.

11) Wong JH, Steineman S, Calderia C, Bowles J, Namiki T. Ex vivo sentinel node mapping in carcinoma of the colon and rectum. Ann Surg 2001;233:515-21.

12) Kosaka T, Ueshige N, Sugaya J, Nakano Y, Akiyama T, Tomita F, et al. Lymphatic routes of the stomach demonstrated by gastric carcinoma with solitary lymph node metastasis. Surg Today 1999;29:695-700.

13) Maruyama K, Sasako M, Kinoshita T, Sano T, Katai H. Can sentinel node biopsy indicate rational extent of lymphadene- ctomy in gastric cancer surgery? Fundamental and new infor- mation on lymph-node dissection. Langenbeck Arch Surg 1999;384:149-57.

수치

Fig.  1.  Location  of  sentinel  lymph  node  according  to  the  center  of  gastric  cancer  Lower  1/3  Middle  1/3  Upper  1/3.

참조

관련 문서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 Hormone Therapy With or Without Combination Chemotherapy in Treating Women Who Have Undergone Surgery for Node-Negative Breast Cancer (The TAILORx Trial)..

Method We obtained blood samples from 49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ESCC) We performed ctDNA analysis with

Results: 44 of 1048 patients with gastric cancer(4.1%) had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s. The average time interval between gastric cancer and secondary primary cancer

(Purpose) Recently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and rate of preoperative staging are increasing due to development of endoscopy and imaging technique,

Kameoka, “Sentinel lymph node biopsy for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fluorescence navigation with indocyanine green,” World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Vol..

Relationship between lymph node metastasis and lymphatic invasion, diagno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H&E staining in gastric

 Rule #1: Express currents in terms of node voltages: Count the number of unknown node voltages and the required number of KCL equations to solve..  Rule #2: If a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