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디어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미디어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Copied!
7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 09 - 2 93 8

20 14년산업계관점대학평가미디어분야요구분석결과종합보고서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미디어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INDUSTRY PERSPECTIVE EV ALUA TION

MEDIA INDUSTRY

(2)
(3)

요 구 분 석

위 원

임현찬 조상호 임진채 강인식 강명신 임정욱 최혁재 은명희 권만우 최환진

조선영상비전 대표이사 나남출판 대표이사 SK브로드밴드 본부장 KT미디어허브 상무 CJ헬로비전 본부장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MBC 부장

애드리치 이사 경성대학교 교수 한신대학교 교수

요 구 분 석 협 력 관

이석구 곽진영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미디어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이 국가 경제발전을 단기간 내에 급속도로 발전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역사상 단시일 내에 가장 급 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역할 변인 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분석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인 중의 하나로 교육 요인을 드는 데에는 대부분 주저하지 않는 듯하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특별히 부각시킨 긍정적 시각이다.

반면, 산업계의 시각은 좀 다르다. 대학교육을 통해 배출한 인력이 대학을 졸업하고 산업체에 취업하여 산업현장에 투입될 경우, 대학 교육과정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제 수행역량간의 불일치로 인해, 산업체가 재교육을 위해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소요비용이 연간 2조원이 넘는다는 주장이 산업체 관계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사실 대학교육의 내용과 산업현장의 업무수행 역량간 차이에 대한 산업계의 문제제기는 한편으로는 대학 교육 전체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교육 한계 론의 근거가 되고 있기도 하다.

대학교육의 효과 및 성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와 분석이 가능하다. 그 중 에서도 특히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대학평가라는 점에서 기존 의 대학평가와는 차별화된다. 우리나라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특히 이러한 국가 경제 발전의 배경 속에서 세계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대학평가의 새로운 접근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산업화 시대에는 뜨거운 교육열과 뚝심 그리고 주어진 지식과 기술을 열심히 학 습하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시대였다. 하지만, 창의력에 기반한 지식정보화 시대에 직면하여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변모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안 된 다. 특히 무한경쟁시대의 도래, 출산율 감소에 따른 대학신입생 급감, 반값등록금 정책 요인 등은 대학의 존폐위기를 가름할 심각한 요인들이며, 앞으로 수년 내에 직면하게 될 급박한 대학위기 현실 예측의 주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등교육환경 변화와 위기에 대처하고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계가 요구하는 목소리에도 겸허히 귀를 기울일 필요는 매우 크다.

(6)

는 요구분석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간하게 되었다. 이 보고서가 산업계의 관점을 반 영하여 대학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혁신하는데 큰 기여가 되리라 확신하며, 또한 대학사 회에 바람직하게 정착되고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아무쪼록, 산업계관점 대학평가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재정 지원과 행정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주시는 교육부와 기획재정부에 감사드리며, 힘들고 어려운 평가 준 비의 고통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대학관계자 여러분께 한없는 고마움을 드린다. 아울러 대교협 서동석 팀장을 비롯한 곽진영, 김신아, 배정연 담당 직원들의 노 고에 격려와 함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2015.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서 민 원 원장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7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4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0

❙제2장❙

미디어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5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28

3. 요약 및 제언 ··· 57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7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 12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 13

<표 Ⅰ-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15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 16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 18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19

<표 Ⅱ-1> 2012 언론 산업 현황 ··· 26

<표 Ⅱ-2> 미디어 분류 ··· 27

<표 Ⅱ-3>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 항목표(KSCI 2007)' 중 미디어 산업 해당 부분 ··· 29

<표 Ⅱ-4> 학술연구분야 분류표' 중 신문방송 해당 부분 ··· 31

<표 Ⅱ-5> 국가직무능력표준 미디어 관련 분야 분류표(개발중) ··· 33

<표 Ⅱ-6> 미디어 분야 직무 분류 ··· 36

<표 Ⅱ-7> 신문・저널리즘 직무별 함양 단계 ··· 36

<표 Ⅱ-8> 출판 직무별 함양 단계 ··· 41

<표 Ⅱ-9> 방송・영상 직무별 함양 단계 ··· 43

<표 Ⅱ-10> 광고・홍보 직무별 함양 단계 ··· 47

<표 Ⅱ-11> 디지털미디어 직무별 함양 단계 ··· 49

<표 Ⅱ-12> 미디어의 미래 직무별 함양 단계 ··· 51

<표 Ⅱ-13> 직무단위별 기초 역량 및 필수함양수준 ··· 52

<표 Ⅱ-14> 직무역량 및 관련 교과목 중요도 ··· 53

<표 Ⅱ-15> 미디어 분야 대학원 졸업생의 일반직무역량 ··· 54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11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 21

[그림 Ⅱ-1] 종이신문 열독률 및 구독률 추이 ··· 26

[그림 Ⅱ-2] 인터넷 뉴스 이용률 추이 ··· 27

(10)
(11)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제 1

(12)
(13)

제 1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지식경제 더 나아가 창조경제 사회로의 전환기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매우 빠른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 (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14)

◦ 후발국(중국) : 대학 초고속 팽창, 구조조정 병행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 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 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양적풍요 속의 질적 빈곤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음

◦ 양적 측면 :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2012년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인 약 80%에 달하 며, 이는 미국 60%, 일본 50%, 유럽 40%, OECD 평균 56%와 비교하여도 높은 수 준임

◦ 2014년 현재 총 433개의 고등교육기관에 약 213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1)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 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1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산업대) 교수 1인당 평균 학생수 36.4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7.3명), 중학교(17.3명), 고등학교 (14.8명)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2) OECD 평균 (전문대, 대학, 대학원을 포 함) 고등교육 영역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5.6에 비해 2배이상 많은 수임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1) 교육통계서비스, 2014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index

2) 교육통계서비스, 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1), 학교급별 초중고등학교 현황(지역별 2011).

(15)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 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 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0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 가 58개국 중 46위로 나타남.3) 2014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6위로 전년보다 다소 하락되었음.4)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대학경쟁력은 계속 중위권(IMD 2007년 조사: 55개국 중 31위, 교육부문 전체는 29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4년 서울대 31위, 카 이스트 51위 포항공대 86위)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3) http://epic.kdi.re.kr/epic_attach/2010/R1005318

4) 2014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및 분석 관련 보도참고자료, 기획재정부, 2014.5.

5)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4/2015 RESULTS.

(16)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17)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7개 산업 분야)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기업의 신입직원 채용 시 활용, 대입 수험생의 대학지원 정보로 활용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 대학 경쟁력 증 대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 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8)

일 자 추 진 내 용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 와 1개 분야(게임 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임 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

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3. 1. ’12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 (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

바이오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 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시범) 5 개 분야) 선정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 위원회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1)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 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 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 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 수) 등 30인 내외

(22)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이승복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이호승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강성천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산업계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주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김판중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 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 석위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5년 4월 기준)

(23)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김기혁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서민원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5년 4월 기준)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김일수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장 장보영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김홍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이현조

산업계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복지팀장 이철행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한국무역협회 글로벌연수실장 김병유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소한섭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1팀장 하상우

한국바이오협회 인재개발실장 손지호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산업육성본부장 장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장준호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이희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찬화

연세대학교 교수 장원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관리팀장 서동석

(24)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평가주기 연장 및 다년도 평가로 개선

◦ ’14년은 3주기 평가가 시작하는 해로 기존 2년(’12~’13년) 주기 평가에서 4년 (’14~’17년) 주기 평가로 시행

‒ 실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물리적 시간 반영 및 잦은 평가로 인한 대학의 부 담 경감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 육과정을 개선한 후 평가

산업계 요구와 대학 교육과정 운영 간의 불일치 해소

◦ 관련 산업 분야 대기업, 중소기업의 임직원으로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를 구성하 여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 및 교육과정 도출

◦ 산업계의 요구와 대학 교육과정이 일치하는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대학에 제 공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개선을 통한 평가신뢰도 및 타당성 제고

◦ 2주기 평가지표를 개선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평가지표를 보 완 및 신설하여 추진

평가・요구분석 분야 확대 및 세분화

◦ 인문사회 분야 등 비이공계 분야에 대한 요구분석 실시

◦ 다양한 산업계 요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원 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으로 생명공 학 관련 바이오의약 분야 시범 실시

◦ 기업 규모별 차별화된 요구분석 내용이 필요한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이한 요구를 세분화하여 분석 기획 또는 요구분석 위원 구성에 반영

(25)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별 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 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 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하 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표 Ⅰ-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구 분 내 용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 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시범) 5개 분 야) 선정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 원회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 운영위원회

‒ 1차 2014. 9. 2. 서면심의 : 2014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5. 4. 3. 서울 중구(달개비) : 2014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승인, 차년도 평가지표 및 평가 분야 검토

◦ 실무위원회

‒ 1차 2014. 7 30. 서울역(티원) : 2014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4. 3. 27. 서울 중구(달개비) : 2014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26)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환경 1차: ’13년 1월 22일 2차: 2월 5일 3차: 2월 19일

1차: ‘15년 1월 8일 2차: 1월 9일 3차: 1월 10일 4차: 1월 13일 5차: 1월 15일

두산건설 ,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에너지

1차: ’13년 1월 15일 2차: 1월 23일 3차: 2월 1, 7, 12일

4차: 2월 28일

1차: ‘15년 1월 8일 2차: 1월 9일

LG전자, LS산전, 한국그런포스펌프(전 삼성물산), 한국석유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바이오 의약

1차: ’13년 7월 8일 2차: 7월 23일 3차: 7월 31일 4차: 8월 13일

1차: ‘15년 1월 9일 2차: 1월 10일 3차: 1월 13일

한미약품, 펜젠, 유한양행, 녹십자, 삼성SDS(전 안국약품), 대웅제약, 종근당,

CJ제일제당

바이오 의료기기

1차: ’13년 8월 2일 2차: 8월 23일

3차: 9월 5일 4차: 10월 11일

1차: ‘15년 1월 10일

2차: 1월 15일 삼성전자, 오스템임플란트, 씨유메디컬, 오스테오시스(전 바이오넷), 태웅메디컬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지표 및 평가 분야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5회 (2014. 9~2014. 12), 대학 협력위원회 4회(2014. 9 ~ 2014 .12)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4. 9. 12. 서울 중구(바비엥)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환경 27개교, 에너지 3개교, 바이오의약 18개교, 바이오의료기기 3개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4. 11. 5. 대우재단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7)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2015년 사업 기간 예정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전 현대하이스코), 한국철강협회(전 동국제강,

전 휴스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 LG디스플레이, LS

Nikko 인하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인드, 크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텐츠아카데미, ㈜몬스터스마일,

㈜미스터탐커뮤티케이션즈,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호서대학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브, CJ헬로비전, 애드리치, MBC,

경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롯데중앙연구소, 풀무원, 농심, 푸드원텍, 노바렉스, 아모레퍼시픽, 샘표식품, 한국식품산업협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바이오의약 (대학원시범)

1차: ‘14년 9월 12일 2차: 10월 1일 3차: 10월 29일 4차: 11월 26일

한미약품, 팬젠, 유한양행, 녹십자, 삼성SDS(전 안국약품), 대웅제약, 종근당,

CJ제일제당, 고려대학교

※ 대학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대학원 과정은 요구분석만 시범적으로 실시

◦ 대학 간담회

‒ 1차 2015. 4. 22. 대전역 회의실(창의실) : 충청・호남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2차 2015. 4. 23. 부산역 회의실(동백섬) : 부산・경상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3차 2015. 4. 24. 서울 중구(만복림) : 서울・경기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 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5. 4. 10. 서울 양재(엘타워)

(28)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

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관리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 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 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 (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 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 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 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 인 내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 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 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 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 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내용 : 조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자료집 배포, 평가결과 종합보고 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조율, 한국대학교육협의 회 평가 실무 총괄

평가: 기업체 부사장, 관련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주체, 경제5단체, 산업별 협력위원회(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Sector Council) 등) 협조 및 지원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29)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라.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대학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구분 산업 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평가

환경 환경공학과 등 ’12년

에너지 에너지공학과 등 요구분석

바이오의약 생명공학과, 생명과학과 ’13년

바이오의료기기 의공학과 등 요구분석

요구 분석

금속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

게임 컴퓨터공학과, 게임공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광고홍보학과, 언론홍보학과

바이오의약 생명공학과, 생명과학과 등 대학원 시범

◦ 산업 분야 선정 근거6)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분 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 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산업 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주기별 평가 시행방안 연구(오환섭 외, 2012)> 등을 참고

(30)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 관성이 높은 산업7) 선정

‒ 산업 비전: 미래 유망 산업 분야8) 등 고려

‒ 정부 선정: 미래전략산업 중 BT 관련 산업인 ‘바이오’ 및 비이공계 분야로 ‘미 디어’ 등 추진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 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어

7)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2011 8) 「경제・산업 전망」, 산업경제원, 2012

(31)

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 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 관련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 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도출

(32)
(33)

미디어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제 2

(34)
(35)

제 2 미디어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평가대상 산업 분야 확대

◦ 인문 분야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산업계 요구를 반영한 교육 과정 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대상도 비이공계 분야로 확 대하는 추세

◦ 20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에 이어, 2014년 비이공계 대상 분야로서 미디어 분 야 요구분석 추진

미디어산업 분야 동향9)

◦ ‘디지털’과 ‘인터넷’을 선두로 한 뉴미디어의 대두로 전통 미디어 이용 감소.

‒ 종이신문은 2012년 현재 전년 대비 114개 사 감소, 인터넷 신문은 같은 연도 기준 331개 사 증가

‒ 2012년 국내 언론산업 매출액은 총 8조 7,900억 원으로 2011년 대비 감소추세 이나, 매체 수는 오히려 220여 개 증가함.

9) 정하석, “미디어 무한경쟁 시대의 매체 생존전략”, 언론재단, 2014년 해외연수 연구논문집, 2014.

(36)

<표 Ⅱ-1> 2012 언론 산업 현황

(단위: 백만 원)

매체수(%) 매출액(%) 종사자(명.%)

2011 2012 2011 2012 2012

종이신문 1,438

(50.7) 1,324

(43.3) 3,433,164

(38.9) 3,262,102

(37.1) 25,991 (48.1)

방송 53

(1.9) 53

(1.7) 4,673,597

(53.0) 4,857,996

(55.3) 16,536 (30.6) 인터넷 신문 1,338

(47.1) 1,669

(54.5) 565,547

(6.4) 476,638

(5.4) 11,464 (21.2)

통신 10

(0.4) 14

(0.5) 143,080

(1.6) 193,259

(2.2) -

-

합계 2,839

(100.0) 3,060

(100.0) 8,815,388

(100.0) 8,789,995

(100.0) 53,991 (100.0)

*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연감 2013」, p.113 재구성.

◦ 구체적으로 종이신문의 열독률 및 구독률 추이는 <그림 Ⅱ-1>과 같이 점차 감소 추세를 보임.

[그림 Ⅱ-1] 종이신문 열독률 및 구독률 추이10)

(단위: %)

* 계열1: 종이신문 구독률 / 계열2: 종이신문 열독률

10)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013.12.

(37)

◦ 반면, 인터넷 뉴스 이용률은 <그림 Ⅱ-2>와 같이 빠른 증가 추세를 나타냄.

[그림 Ⅱ-2] 인터넷 뉴스 이용률 추이11)

* 계열 1: 이용하지 않았다 계열 2: 이용했다

◦ 미디어콘텐츠의 디지털화와 영역 간 융합 현상이 확산되면서 하나의 콘텐츠를 다 양한 플랫폼에 맞춰 변환, 활용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

시스템이 각 매체마다 화두로 자리잡음.

미디어 산업의 정의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2008년 12월에 발표한 “한국사회의 방송・통신 패러다임 변화 연구”에 따르면, 미디어의 분류는 아래 표와 같음.

<표 Ⅱ-2> 미디어 분류

미디어 설명

온라인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인터넷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무선랜 등 고정형)

모바일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와이브로 등 이동형), PMP 등 기타 이동기기 기존

미디어

TV 지상파 TV, 케이블 TV, 위성TV, DMB, IPTV

라디오 라디오

유선전화 유선전화 오프라인

미디어

신문 잡지 신문 잡지

실제 활동 기타 실제 활동

11)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013.12.

(38)

◦ 미디어 산업의 분류 체계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개편되며, UN의 국제 표준산업분류 역시 2006년 말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던 정보와 미디어, 통신이 ‘정 보와 커뮤니케이션(Information and Communication)’의 대항목으로 통합됨.

‒ 제조업에 속해 있던 도서, 신문, 잡지 출판업이 소프트웨어 출판과 함께 ‘출판 업(Publishing Activities)’으로, 오락, 문화 및 운동 관련 서비스업에 속해 있 던 영상 관련 산업과 방송업, 통신업(Telecommunications), 그리고 IT 서비스 (IT Service Activities)와 정보 서비스업(Information Service Activities)이 하나의 영역으로 묶이게 됨.

나. 미디어 산업 요구분석의 범위

◦ 미디어 산업 분류와 대학 학과 편제를 고려하여 ‘① 신문・저널리즘’, ‘② 출판’, ‘③ 방송・영상’, ‘④ 광고・홍보’, ‘⑤ 디지털미디어’와 최근 미디어 산업의 동향을 반영 한 ‘⑥ 미디어의 미래’로 세부직무를 구분하여 요구분석을 추진함.

‒ 미디어는 점차 모든 세부 분야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으나, 대학 교육과정 이 흡수할 수 있는 요구 내용을 고려하고 현재 학과 편제 등을 반영하여 위의 여섯 개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함.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 미디어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 항목표에 의하면 아래

<표 Ⅱ-3>과 같은 세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39)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58~63)(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58 출판업 Publishing activities

581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Publishing of Books, Magazines and Other Publications 5811 서적 출판업 Publishing of Books

58111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업 Publishing of Textbooks and Study Books 58112 만화 출판업 Publishing of Cartoons

58119 기타 서적 출판업 Other Publishing

5812 신문, 잡지 및 정기간행물 출판업 Publishing of Newspapers, Magazines and Periodicals 58121 신문 발행업 Publishing of Newspapers

58122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업 Publishing of Magazines and Periodicals 58123 정기 광고간행물 발행업 Publishing of Advertising Periodicals 58190 기타 인쇄물 출판업 Other Publishing of Prints

58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1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Game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11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Online and Mobile Game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19 기타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Other Game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2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System and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21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System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8222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and Supply

59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Motion picture, video and television programme production, sound recording and music publishing activities

591 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Motion Picture, Video, Broadcasting Programme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5911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Motion Picture, Video, Broadcasting Programmes Production

59111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General Motion Picture and Video Production 59112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Animated Cartoon and Video Production

59113 광고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Commercials Advertising Motion Picture and Video Production

<표 Ⅱ-3>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 항목표(KSCI 2007)' 중 미디어 산업 해당 부분

(40)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58~63)(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59114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Broadcasting Programmes Production 59120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Motion Picture, Video, Broadcasting Programmes Production Related Services

59130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 Motion Picture, Video, Broadcasting Programmes Distribution

5914 영화 및 비디오물 상영업 Motion Picture and Video Exhibition 59141 영화관 운영업 Motion Picture Exhibition

59142 비디오물 감상실 운영업 Video Exhibition Rooms

5920 오디오물 출판 및 원판 녹음업 Audio Publishing and Original Master Recordings 59201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Publishing of Music and Other Audio

59202 녹음시설 운영업 Sound-Recording Studios

60 방송업 Broadcasting

601 라디오 방송업 Radio Broadcasting 602 텔레비전 방송업 Television Broadcasting 60210 지상파 방송업 Over-the-Air Broadcasting

6022 유선, 위성 및 기타 방송업 Broadcasting via Cable, Satellite and Other Broadcasting

60221 프로그램 공급업 Other Program Distribution

60222 유선방송업 Cable Networks

60229 위성 및 기타 방송업 Broadcasting via Satellite and Other Broadcasting

61 통신업 Telecommunications

611 우편업 Postal Services

612 전기통신업 Telecommunications

6121 유선통신업 Wired Telecommunications 61220 무선통신업 Wireless Telecommunications 6123 위성통신업 Satellite Telecommunications 6129 기타 전기통신업 Other Telecommunications 61291 통신 재판매업 Telecommunications Resellers 61299 그외 기타 전기 통신업 Other Telecommunications n.e.c.

6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Computer programming, consultancy and related activities

(41)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58~63)(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62010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Computer programming Services

6202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구축 및 관리업 Computer System Integration Consultancy,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ervices 62021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Computer System Integration Consultancy and Establishment Services

62022 컴퓨터시설 관리업 Computer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s 6209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

스업

Other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Operation Related Services

63 정보서비스업 Information service activities 631 자료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서비스업 Data Processing, Hosting, Portals and Other Internet Information Media Service Activities

6311 자료처리,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 Data Processing, Hosting and Related Service Activities

63111 자료 처리업 Data Processing

63112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 Hosting and Related Service Activities

6312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Portals and Other Internet Information Media Service Activities

639 기타 정보 서비스업 Other Information Service Activities 6391 뉴스 제공업 News Agency Activities

6399 그외 기타 정보 서비스업 Other Information Service Activities n.e.c.

63991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Data Base Activities and On-line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분야코드 구분 대분류명 중분류명 소분류명 세분류명

B1900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B1901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B19010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여론조사/연구방법

◦ 미디어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학술연구분야 분류표는 아래 <표 Ⅱ-4>와 같이 제시되어 있음.

<표 Ⅱ-4> 학술연구분야 분류표' 중 신문방송 해당 부분

2014. 9월 현재

(42)

분야코드 구분 대분류명 중분류명 소분류명 세분류명

B19010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사상

B19010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정책

B190104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비교언론

B190105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교육

B190106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인터넷신문/방송

B190107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사

B190108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매스컴사회학

B190109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언론/미디어법제

B19011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문화이론/대중문화론

B19011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신문방송학일반 매체비평

B1902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언론학/언론정보학  

B19020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언론학/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이론

B19020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언론학/언론정보학 저널리즘이론

B19020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언론학/언론정보학 언론・정보

B190204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언론학/언론정보학 방송・영상

B1903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B19030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국제광고/홍보

B19030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광고/홍보산업

B19030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광고기획/제작

B190304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서비스경영

B190305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광고/홍보학 서비스마케팅

B1904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B19040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뉴미디어

B19040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멀티미디어/영상매체/교육매체

B19040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영상커뮤니케이션

B190404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미디어산업

B190405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영화

B190406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영상학 보도사진

B1905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B19050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매스커뮤니케이션

(43)

분야코드 구분 대분류명 중분류명 소분류명 세분류명

B19050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휴먼커뮤니케이션

B19050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정치커뮤니케이션

B190504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대인/미시커뮤니케이션

B190505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인터넷커뮤니케이션

B190506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자아/개인커뮤니케이션 B190507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국제/사회커뮤니케이션

B190508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비판커뮤니케이션

B190509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거시커뮤니케이션

B19051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조직커뮤니케이션

B190511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비언어커뮤니케이션

B190512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설득/협상커뮤니케이션

B190513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학 과학커뮤니케이션

B1906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출판학  

B199900 B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기타신문방송학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08. 문화・예술・

디자인 01.문화・예술

01.문화예술경영

01.문화・예술기획 02.문화・예술행정 03.문화・예술경영 04.문헌정보관리

02.실용예술 01.실용음악 02.실용사진

03.공연예술

01.무대연출 02.무대조명 03.무대기계

◦ 미디어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아래 <표 Ⅱ-5>

와 같이 구분하여 분석이 진행중임. 상세 내용은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1) 참조.

<표 Ⅱ-5> 국가직무능력표준 미디어 관련 분야 분류표(개발중)

(44)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04.무대음향

05.무대미술 06.무대감독 07.무대기술감독 08.무대장치・소품 09.무대의상 10.무대영상 11.하우스매니징

04.문화재관리

01.학예 02.문화재보수 03.문화재보존

02.디자인 01.디자인

01.시각디자인 02.제품디자인 03.환경디자인 04.디지털디자인 05.텍스타일디자인 06.서비스경험디자인 07.실내디자인

03.문화콘텐츠

01.문화콘텐츠기획

01.방송콘텐츠기획(2015) 02.영화콘텐츠기획(2015) 03.음악콘텐츠기획(2015) 04.광고콘텐츠기획(2015) 05.게임콘텐츠기획(2015) 06.애니메이션콘텐츠기획(2015) 07.만화콘텐츠기획(2015) 08.캐릭터기획(2015)

09.스마트문화앱콘텐츠기획(2015)

02.문화콘텐츠제작

01.방송콘텐츠제작 02.영화콘텐츠제작 03.음악콘텐츠제작

(45)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04.광고콘텐츠제작 05.게임콘텐츠제작 06.애니메이션콘텐츠제작 07.만화콘텐츠제작 08.캐릭터제작

09.스마트문화앱콘텐츠제작 10.영사

03.문화콘텐츠유통・

서비스

01.방송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2.영화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3.음악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4.광고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5.게임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6.애니메이션콘텐츠유통・서비스

(2015)

07.만화콘텐츠유통・서비스(2015) 08.캐릭터유통・서비스(2015) 09.스마트문화앱콘텐츠유통・서비스

(2015)

04.영상제작

01.영상연출 02.영상촬영 03.영상조명 04.영상음향녹음 05.영상그래픽 06.영상편집 07.영상미술

* 이외 미디어 산업 세부 트랙 중 지상파방송과 방송서비스는 대분류 ‘정보통신’하에 분석중이므로 비이공계 분야의 ‘미디어’

관련 내용과 상이함.

◦ 이상의 미디어 분야 직무 관련 자료를 토대로 현행 학과 편제를 고려하여, 본 요구 분석위원회에서는 다음 <표 Ⅱ-6>과 같이 직무군을 구분하고, 각 직무군별 밸류 체인을 분석하여 세부 내용과 함양단계를 도출함.

(46)

직무군 직무단위 세부 내용

직무함양단계

신문・

저널 리즘

기획

ㅇ 기사 발굴을 위한 동향조사 ○    

- 신문과 방송, 인터넷, 인적자원 등 다양한 소스의 기사 동향을

취합・분석하여 새로운 이슈를 발굴하는 능력      

- 뉴스가치 요소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대중의 관심 이슈를 찾기 위한 실질적인 조사 방법(문헌조사, 인터넷, SNS, 관계자 인터뷰 등)을 이 해함

     

<표 Ⅱ-6> 미디어 분야 직무 분류

직무군 세부 직무 밸류 체인

기획 생산 유통 소비

인쇄 매체 신문, 저널리즘        

출판        

영상 매체 방송, 영상        

광고 산업 광고, 홍보        

디지털미디어 디지털 컨텐츠, 소셜미디어        

미디어의 미래      

◦ 아래의 ‘나.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에서 직무군은 위의 <표 Ⅱ-6> 세부직무에,

‘직무단위’는 ‘밸류 체인’에 해당함. 세부직무별 밸류 체인에 해당하는 내용은 ‘나.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에 제시된 부분임.

나.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는 아래 표 <표 Ⅱ-7>~<표 Ⅱ-12>와 같음. 각각의 표는

‘신문・저널리즘’, ‘출판’, ‘방송・영상’, ‘광고・홍보’, ‘디지털미디어-디지털콘텐츠/소 셜미디어’, ‘미디어의 미래’에 해당하는 내용임.

<표 Ⅱ-7> 신문・저널리즘 직무별 함양 단계

참조

관련 문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수행에 필요한 시간자원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시간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할당하는 능력.

After estimating the required thrust and choosing a motor size that may fit your application,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load must be considered and evaluated to

• 통합주의자들은 미국내에서 흑인을 이등 시믺으로 갂주하며 차별하는 모듞 제도와 편견을 파탃하고 미국내의 주류로 통합되 어 동등한 시믺으로 살아가기를

• 그러나 카르네, 뒤비비에 등 주류 감독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현실에 대한 객관적 묘사보다는 지나치게 서정적이며 상징적 인 수사학적 표현에

Available settings: 0 - tamper alarm sent to 3rd association group 1 - tamper alarm sent in broadcast mode Default setting: 0 Parameter size: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type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hard disks Video recording : video equipment (from 1956).. ▶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