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해양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해양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Copied!
10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hipbuilding & Offshore Industry

조선해양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Ind us try Pe rsp ecti ve Ev

2016. 04

(2)
(3)

요구분석 위원 배재류 이영재 김진강 이중남 황준성 송기종 손진성 이승호 성홍근 김태형 황태근 김영훈

대우조선해양 이사 대우조선해양 부장 대우조선해양 차장 삼성중공업 그룹장 삼성중공업 과장 현대중공업 부장 현대중공업 부장 STX조선해양 부장

선백해양플랜트연구소 부장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센터장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센터장 경남대학교 조선해양IT공학과 교수 요구분석 협력관 이석구

곽진영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조선해양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문의 발전과 경제도약의 초석이 되 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 왔다. 특히 대학과 기업의 교류에 의한 상호 협력은 대학에는 새로운 이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업에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경제가치를 창출할 수 있 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왔다.

그러나 점차 대학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산업계 관점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대학을 졸 업한 학생의 역량과 불일치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교육 부는 2008년부터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를 시행하여, 대학의 자율적 참여와 이를 통한 산업계 요구역량의 교 육과정반영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경제5단체와 공동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 사업을 8년 동안 수행하여 왔다.

3주기의 2년차 사업을 수행한 2015년에는 2014년에 진행된 산업계 요구분석에 근 거하여 금속, 게임, 미디어, 식품의 4개 분야에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건축(시공), 토 목, 기계, 자동차, 조선해양의 5개 분야에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조선해양 분 야의 요구분석은 2주기 요구분석 내용을 보완하여, 조선과 해양플랜트의 비중을 조절 하여 분석되었으며, 우수한 기술력이 국제 역학관계에서의 세부계약 조항 등으로 묻히 지 않도록 관련 안목 함양을 위한 산업체 특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분석의 세부 결과는 본 보고서 지면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함양되어야 할 근본적 내용도 있으며, 앞으로의 산업 발전 경향을 반영하여 적정 시점에서 수정되어야 할 내용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함에 있어서 밀접하게 교류 할 수 있는 소통체제가 구축되어 상호 정예화된 양방향 소통의 결과물이 대학 교육과정에 녹아들고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대학은 대학별 특 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자리매김을, 산업은 제3의 도약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를 바란다.

2016.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최 준 열

원장

(6)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7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5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2

❙제2장

조선해양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7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39

3. 요약 및 제언 ··· 96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7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 13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 14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16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 18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 19

<표 Ⅰ-7> 요구분석 ‧ 평가 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21

<표 Ⅱ-1> 선종별 수주량/건조량/수주잔량 ··· 28

<표 Ⅱ-2> 지역별 수주량/건조량/수주잔량 ··· 28

<표 Ⅱ-3> 선박류 수출액 및 증감율 ··· 29

<표 Ⅱ-4> 선종별 선가추이 ··· 30

<표 Ⅱ-5> 중장기 전망 : 2015.9월(A) VS 2016.3월(B) ··· 34

<표 Ⅱ-6> 설비별 전망 ··· 36

<표 Ⅱ-7> Drillship 발주 전망 ··· 37

<표 Ⅱ-8> 조선 분야 관련 지식별 역량함양단계 ··· 39

<표 Ⅱ-9> 해양플랜트 관련 지식별 직무역량 함양단계(설계 부분) ··· 70

<표 Ⅱ-10> 직무단위별 기초 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 90

<표 Ⅱ-11> 직무역량 및 관련 교과목 중요도 ··· 92

<표 Ⅱ-12> 조선해양 분야 학부 졸업생의 일반직무역량 ··· 93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11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 23

[그림 Ⅱ-1] 선박류 수출액 ··· 29

[그림 Ⅱ-2] Number of Active Yards, Start Year ··· 30

[그림 Ⅱ-3] 2016년 선종별 발주 전망 ··· 31

[그림 Ⅱ-4] 원유운반선 및 석유화학 제품운반석 발주 전망 ··· 32

[그림 Ⅱ-5] 벌크선 및 컨테이너선 발주 전망 ··· 32

[그림 Ⅱ-6] LNG선 및 LPG선 발주 전망 ··· 33

[그림 Ⅱ-7] 해양 산업 전망 ··· 35

[그림 Ⅱ-8] 유가동향에 따른 발주 물량 예측 ··· 35

[그림 Ⅱ-9] 주요 선종 시장 전망 ··· 38

(10)
(11)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제 1

서 론

(12)
(13)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사회 전환기를 맞아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급격한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 되어옴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후발국(중국) : 대학 초고속 팽창, 구조조정 병행

제 1

(14)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 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사회수요를 반영한 양적, 질적 체제 개선 요구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전반적 혹은 대학별 개선점이 요구되는 상황

◦ 양적 측면 :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80%를 넘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1)

◦ 2015년 현재 총 189개의 고등교육기관(일반대학)에 약 211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2)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5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전임교원 1인당 재 학생수 24.6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4.9명), 중학교(14.3명), 고등학교(13.2 명)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3). 고등교육기관 기준 OECD 평균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4명으로 한국의 28.7명은 이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수임4)

1) https://data.oecd.org/eduatt/enrolment-rate.htm 2) 교육통계서비스, 2015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1&itemCode=02

&menuId=0_3&language

3) 교육통계서비스, 초중고교육기관/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5)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8&itemCode=02

&menuId=0_10&language=

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1

(15)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4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가 58개국 중 53위로 나타남.5) 2015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5위로 전년보다 1계단 상승하였음6)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중하위권(IMD 2015년 조사: 종합순위 61개국 중 31위, 특히 두뇌유출 순위는 61개국 증 44위로 경쟁력 저해를 나타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5년 서울대 36위, 카이스트 43위 포항공대 87위)7)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0&itemCode=02&menuId=0_12&language=

5) http://epic.kdi.re.kr/epic_attach/2010/R1005318 6) 201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기획재정부, 2015.

7) http://www.qs.com/qs-world-university-rankings.html

(16)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 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17)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대학의 산업요구에 대한 접근 통로, 기업의 신입직 원 채용 시 활용 등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 영, 대학 경쟁력 증대와 산업경쟁력 강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등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과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 (7개 산업분야)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8)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와 1개 분야(게임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 임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 (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3. 1. ’12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바이오 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 시범))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1)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일 자 추 진 내 용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2)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수석부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공과대학 장협의회(사무총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인증사업단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한국대학교육 협의회(팀장) 등 30인 내외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 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석위 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23)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홍민식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백용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원동진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준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하상우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이건우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前)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최준열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4)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이상돈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 과장 김명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박영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박치형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전국경제인연합회 환경노동팀장 정조원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교수

(글로벌연수실장) 박윤환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정욱조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2팀장 손석호

한국게임개발자협회 이사 김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이경우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김종화

한양대학교(ERICA) 재료공학과 교수 박주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현승균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게임전공 교수 장희동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 권만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김지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원팀장 김정희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5)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 대학의 자율적인 산업 수요 인력양성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평가결과의 활용지원 강화 및 교육과정 개선 ․운영 중심으로의 평가 개선

⇒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평가사업 참여도 제고

◦ 평가결과의 산학협력 재정지원사업* 및 2주기 고등교육기관평가․인증과의 연계, 우 수대학 학생에 대한 기업의 채용 인센티브 부여 권장** 등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15년 연차평가 시부터), 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16~)

** 경제5단체와의 상시 협력체제 구축,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등의 협조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전년도 유지)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교육과정에 산업계의 요구를 효 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

평가사업의 효율적 추진

◦ 산업별 공통 기본역량*의 분석을 토대로 세부역량을 보완 분석하며, 지역별 주력산업 등 분석이 필요한 경우 지역 특성 반영한 요구분석 추진

* 분야별 공통 역량 및 비교과영역에 대한 요구분석 강화

평가 관련 지원체제 구축

◦ 요구분석 및 평가결과 적용 컨설팅 강화, 평가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추진 등

(26)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 별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 하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구 분 내 용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운영위원회

- 1차 2015. 9. 16.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6. 4. 12.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의결, 차년도 평가 분야 의결, 인증패 시상자안 및 최우수대학 졸업 생 취업 인센티브 관련 논의

(27)

◦ 실무위원회

- 1차 2015. 9. 1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6. 4. 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 분야 및 인증패 시상자안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6회(2015. 9~2016. 3), 대학 협력위원회 4 회(2015. 9~2016. 3)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9. 24.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금속 23교, 게임 13교, 미디어 31교, 식품 32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11. 13.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28)

※ 대학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건축(시공)

1차: ’15년 10월 17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7일

2016년 사업기간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간삼건 축, 범건축, (사)한국건설품질협회, 쌍용건설, 롯데건설, 대한건설협회, 충북대학교

토목

1차: ’15년 10월 8일 2차: 11월 5일 3차: 11월 24일 4차: 12월 24일

건화, 청주테크노폴리스, 선구엔지니어링, 서 영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평화엔지니어 링, 삼성물산,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서울과학 기술대학교, 연세대학교

기계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김경진기술사사무소, ㈜광진테크, KM엔지니어 링, 두산인프라코어, ㈜현대마이크로, ㈜에프 엠솔루션, KMP,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금오공 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자동차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만도, 동우HST, 한온시스템, LG전자,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금오 공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조선해양

1차: ‘15년 10월 20일 2차: 11월 12일 3차: 12월 11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STX조 선해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조선해양기자재 연구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경남대학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3일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 한국철 강협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 술연구원, LG디스플레이, LS Nikko, 한양대학 교(ERICA), 인하대학교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1차: ‘16년 1월 23일 2차: 1월 30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인드, 크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텐츠아카데 미, ㈜몬스터스마일, ㈜미스터탐커뮤티케이션 즈,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 터테인먼트협회, 호서대학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1차: ‘16년 1월 22일 2차: 1월 23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라이언 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브, CJ헬로비 전, 애드리치, MBC, 경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롯데제과, 풀무원, 농심, 푸드원택, 노바렉스, 아모레퍼시픽, 샘표연구소, 서울과학기술대 학교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9)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컨설팅 시범 운영(대상 분야: 게임) - 일시 및 장소 : 2016. 4. 15.(금) 프레지던트 호텔

- 내 용 : 산학협동 소통 차원에서 2015년 분야별 대상학과 중 참여율이 가장 높은 게임 분야를 대상으로 대학의 신청을 받아 학과 교육과정 운영 의 특장점 및 개선방향을 설계하고, 게임 산업체의 인재 요구사항 및 향후 산업발전 트렌드에 대하여 공유하는 컨설팅 실시

◦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6. 4. 21. 서울 양재(엘타워)

- 내 용 : 석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및 자료집 배포 * 4월 하순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 최우수대학 대상 교육부, 경제5단체, 대교협 공동명의의 인증패 시상 및 졸업생 취업 인센티브 권고

◦ 대학 의견 수렴(2016.4.25.~2016.4.28.)

- 2~3주기 참여대학 및 관련 학과 소재 대학에 공문을 통한 의견 수렴 실시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의사결정 및 조율,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실무 총괄

평가: 기업체 부사장, 관련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주체, 경제5단체, 산업별 협력위원회(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Sector Council) 등) 협조 및 지원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 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지원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 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30)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철강협 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 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 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 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 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 장) 등 20인 내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 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 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 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 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 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방 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 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 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 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 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 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

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 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31)

라.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대학

’15년 대상 산업분야

구분 산업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요구 분석

건축(시공) 건축공학과, 건축공학부 등

’16년 평가

토목 토목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등

기계 기계공학과, 기계공학부 등

자동차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등

조선해양 조선해양공학과, 해양공학과 등

평가

금속 신소재(재료)공학과, 금속공학과 등

’14년 요구분석

게임 게임공학과(컴퓨터공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미디어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표 Ⅰ-7> 요구분석·평가 대상 산업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산업분야 선정 근거8)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 분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주기별 산업 현황 업데이트에 근거, 2주기 2012년 추진되었던 분야 보완 - 산업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관성이 높은 산업9) 선정

- 산업 비전 및 정부 선정: 미래 유망 산업 분야10) 등 고려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주기별 평가 시행방안 연구(오환섭 외, 2012)> 등을 참고 9)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2011

10) 「경제・산업 전망」, 산업경제원, 2012

(32)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 어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 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33)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 관련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도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34)
(35)

제 2

조선해양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36)
(37)

조선해양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평가대상 산업 분야

□ 산업 관련 GDP 규모를 고려하여 2012년(2주기) 제조업 중심의 기간산업으로서 기 계산업의 하나로 요구분석과 평가가 추진된 바 있음

□ 3주기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는 ’15년 ‘조선해양’ 분야 대상 요구분석 실시 후 분석 내용에 근거하여 ’16년에 해당 분야 평가를 추진할 예정임

나. 국내 조선해양 산업 동향

11)

조선산업 현황 □ 조선산업 통계

◦ (수주) 2016.1~2월 104만CGT, 전년 동기대비 80.3% 감소 - 세계 경기 악화로 발주량 감소. 금년들어 한국 6척 수주 - 전년 동기대비 전 선종 모두 감소

◦ (건조) 2016.1~2월 640만CGT, 전년 동기대비 14.4% 감소 - 한 ․ 중 전년대비 하락. 한국은 36.3%의 점유율 차지 - 탱커, LPG선 이외에 전 선종 건조량 감소

◦ (수주잔량) 2016.2월말 기준 10,586만CGT, 전년 동월대비 9.8% 감소 - 한 ‧ 중 양국의 수주잔량 감소, 일본은 약 5% 증가

11) 한국조선해양플랜트 협회 자료 참고

2

(38)

- 벌커 점유율이 가장 높지만, 전년 동기대비 약 29.5% 감소

- ’16.2월말 기준 한국의 수주잔량은 2,917만 CGT로 ’04년 4월말 (2,752만CGT) 이후 11년 10개월만의 최저 수준임

<표 II-1> 선종별 수주량/건조량/수주잔량

(단위 : 백만CGT/백만TEU/백만Cu.M, %)

구분

수주량 건조량 수주잔량

’15.

1∼2월 ’16.

1∼2월 증감률 ’15.

1∼2월 ’16.

1∼2월 증감률 ’15.

2월 ’16.

2월 증감률 탱커 2.0 0.3 △85.0 5.4 7.2 33.3 22.6 24.9 10.2 벌커 0.7 0.1 △85.7 12.0 12.6 5.0 39.7 28.0 △29.5 컨테이너선 0.5 0.2 △60.0 0.2 0.1 △50.0 17.7 18.2 2.8

LNG선 0.9 0.0 △100 1.3 0.9 △30.8 12.7 12.2 △3.9 LPG선 0.1 0.0 △100 0.5 0.8 60.0 4.3 4.0 △7.0 계 4.2 0.6 △85.7 - - - 97.0 87.3 △10.0 기타 1.1 0.4 △58.9 - - - 20.4 18.6 △9.1 총계 5.3 1.0 △80.3 - - - 117.4 105.9 △9.8 자료 : 클락슨 Shipping Intelligence 기준(2016.3.9)

주1 : 건조량단위 / LNG,LPG(백만Cu. M), 컨테이너선(백만TEU), 벌커,탱커(백만DWT) 주2 : 탱커, 컨테이너선 건조량 수치끝자리 수치는 반올림

<표II-2> 지역별 수주량/건조량/수주잔량

(단위 : 백만CGT)

구분 수주량 건조량 수주잔량

’15.1~2월 ’16.1~2월 ’15.1~2월 ’16.1~2월 ’15.2월 ’16.2월 한국 1.64(31.1%) 0.08(7.7%) 2.55(34.1%) 2.32(36.3%) 33.17(28.2%) 29.17(27.6%) 중국 1.30(24.7%) 0.33(31.7%) 2.82(37.7%) 2.06(32.2%) 46.04(39.2%) 38.63(36.5%) 일본 1.93(36.6%) 0.12(11.5%) 1.40(18.7%) 1.63(25.5%) 21.39(18.2%) 22.43(21.2%) 유럽 0.26(4.9%) 0.32(30.8%) 0.03(0.4%) 0.01(0.2%) 6.97(5.9%) 7.44(7.0%) 기타 0.14(2.7%) 0.19(18.3%) 0.68(9.1%) 0.38(5.9%) 9.85(8.4%) 8.19(7.7%) 총계 5.27(100%) 1.04(100%) 7.48(100%) 6.40(100%) 117.42(100%) 105.86(100%) 자료 : 클락슨 Shipping Intelligence 기준(2016.2.29.)

(39)

□ 수출

◦ 2016년도 선박류 수출 전년대비 8.7% 감소한 366억불 전망

- 2016.2월 수출실적은 약 28.7억불로 전년 동기대비 46.0% 감소

<표 II-3> 선박류 수출액 및 증감율

자료 : 무역협회, MTI 3단위(746-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기준

- 2월 해양플랜트 인도 실적 있으나 원유운반선, 컨테이너선, 가스운반선 위주 상선 수출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

<그림 II-1> 선박류 수출액

□ 선가

◦ 2012년말부터 126포인트를 유지하던 신조 선가지수는 ’14.5월말 139.8포인트 기 록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16.2월말 기준 131포인트 기록

- ’15.3월 대비 벌커부문은 급락. 탱커, 컨테이너선, LNG선도 하락세 구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전망 1월 2월 수출액(m$) 56,588 39,753 37,168 39,886 40,121 36,600 2,917 2,870

증감율(%) 15.2 △29.8 △6.5 7.3 0.6 △8.7 △33.4 △46.0

(40)

<표 II-4> 선종별 선가추이

(단위 : 백만$, 포인트)

구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3월 12월 6월 12월 9월 12월 3월 12월 3월 12월 3월 12월 1월 2월 탱커(VLCC) 97 105 102 99 95 93 90.5 94 96.0 97.0 96.5 93.5 93.5 93.5 컨선(6,700TEU) 66 79.5 70.5 69 58.5 58 57.5 65.5 66.5 68.0 67.5 66.5 66.5 66.0 벌커(180k) 56 57 54 48.5 46 46 46.5 53.5 55.5 54.0 52.0 46.0 46.0 45.5 LNG선(160k) 212 202 201 202 201 199.5 198.5 198 198.0 200.0 200.0 199.0 199.0 199.0 Clarkson지수 136 142 141.2 138.9 126.8 126.3 125.6 133.2 135.2 138.0 133.0 130.9 131.0 131.0 자료 : 클락슨

□ Shipyard Capacity Review

◦ 2016년 전세계에 운영되고 있는 조선소 수는 전년 490개 대비 축소된 403개 (2009년 947개)

- 수주잔량이 있는 조선소: 한국 13개, 중국 69개, 일본 51개

<그림 II-2> Number of Active Yards, Start Year

(41)

조선산업 전망(Clarkson)

□ 단기 발주 가능성 전망

◼ Positive Sector : Cruise, Ferry&RoRo

◼ Improving Sector : Tankers, PC, Container, LNG

◼ Weakening Sector : Bulker, LPG, FPSO, OSVs

◦ 2015년 1,327척 발주

- 벌커 38.2%, 탱커 18.1%, 컨테이너 17.2%, 가스선 10% 순 ◦ 2016년 934척 발주 전망

- 탱커 24.8%, 벌커 22.3%, 컨테이너 17.0%, 가스선 7.8% 순

<그림 II-3> 2016년 선종별 발주 전망

(42)

<원유운반선 발주 전망> <석유&화학 제품운반선 발주 전망>

<그림 II-4> 원유운반선 및 석유화학 제품운반석 발주 전망

◦ (원유운반선) VLCC는 상당한 수주잔량과 적은 중국 자국 발주로 인해 발주량 감 소 전망. Aframax와 Suezmax급에서는 발주가 이뤄질 것이며 이 분야에는 한 국조선소가 가장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전망

◦ (석유&화학 제품운반선) 유럽선주들의 시리즈 소형탱커 발주 전망. 한국의 소형탱 커에 관한 경쟁력 상실로 소형탱커는 중국 수주 전망

<벌크선 발주 전망> <컨테이너선 발주 전망>

<그림 II-5> 벌크선 및 컨테이너선 발주 전망

(43)

◦ (벌크선) 심각한 시장악화와 재무적 위험으로 인해 약 20% 낮은 가격으로 re-sale 될 전망

◦ (컨테이너선) CMA-CGM선사의 12,000TEU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 발주 및 Feeder선 발주 가능성 존재

<LNG선 발주 전망> <LPG선 발주 전망>

<그림 II-6> LNG선 및 LPG선 발주 전망

◦ (LNG선) 지난 2년간 주요 프로젝트들로 인해 많은 발주 기록. FSRU프로젝트 발 주 전망. 작은 선형의 LNG선 발주는 불투명. 카리브, 발틱, 걸프만, 싱가포르등 잠재적인 프로젝트로 인한 발주 전망

◦ (LPG선) 2013년∼2014년간 대량의 발주로 인해 2016년 발주는 저조할 전망.

작은 Semi-Ref 시장은 잠재 가능성 有

□ 중장기 발주 전망 비교

◦ 2015년 9月 전망 대비 단기 및 장기전망 하향조정

- 일부 Sector(Ro-Ro, Passenger ferry, Cruise 등)는 지속적 발주 전망 - 전반적으로 단기발주 전망은 다소 부정적이나 중장기적으로는 탱커/컨테이

너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16년 발주량은 전년대비 32% 감소한 23.5백만CGT 전망

(44)

<표 II-5> 중장기 전망 : 2015.9월(A) VS 2016.3월(B)

(단위: 백만CGT)

구분

실적 (평균) (’96-’15)

’15년

(9월,A) ’16년

(3월,B) ’16년

(9월,A) ’17년

(3월,B) ’17-’20

(9월,A) ’18-’21 (3월,B)

탱커 9.3 7.9 5.3 6.2 5.7 6.2 6.5

벌크선 11.2 4.9 2.9 5.4 3.5 5.3 4.9

컨선 7.0 9.7 5.4 7.4 6.8 11.3 10.4

가스선 2.9 4.6 3.3 3.9 3.5 5.0 3.8

기타 8.2 6.0 6.6 6.6 6.8 10.0 8.5

합계 38.6 33.1 23.5 29.5 26.3 37.8 34.1

주1 : 탱커 2,000DWT+ COT, PC, CT 포함 / 벌크선 1만DWT+ / 컨테이너선 피더선 포함 / 가스선 LNG 선,LPG선 포함

주2 : Clarkson의 Base Case 시나리오 기준임 주3 : '15년 발주량 34.6백만CGT

해양산업 전망(Clarkson)

□ 2016 상반기 전망 → 2015년 하반기 대비 16% 감소, 회복 시점 2020년 이후 ◦ (단기↓, 2016∼2017) 저유가 영향으로 E&P 투자 지연 및 취소 지속 ◦ (중기↔, 2018∼2021) 제한적이긴 하지만, FID에 따른 발주 가능성 있음 ◦ (장기↑, 2022년 이후) 유가회복에 따라 2014년 수준 예상

(45)

<그림 II-7> 해양 산업 전망

◦ 유가 동향에 따른 2018∼2020 발주 물량 변화 주목

※ 3가지 시나리오 : Low(45$), Base(60$), High(75$)

<그림 II-8> 유가동향에 따른 발주 물량 예측

(46)

□ 설비별 전망(유가 Base Case 60$ 기준)

◦ (척수기준) 2022년 이후 2014년 발주량 수준 회복 기대. 2018년 이후 FPSO 시장 활성화 전망

- Drillship은 향후 7년간 연평균 4척 발주. FPSO는 향후 7년간 연평균 13척(신조 /개조, FLNG 포함) 발주 기대

<표 II-6> 설비별 전망

구분 평균(척) 전망(척)

2005~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개발

조사/탐사 18 12 6 7 9 8 12 11

M O D U

Jack-up 33 2 4 5 6 8 13 14

Semi 8 2 2 4 7 5 6 10

Drillship 13 0 4 3 4 5 9 6

D-barge등 4 2 2 2 2 4 3 5

소계 57 6 12 14 19 22 31 35

건설(Con) 134 54 59 65 70 78 86 111

생산 M O P U

FPSO 12 4 5 15 18 19 14 21

Jack-up 2 0 2 0 1 1 0 0

Semi 1 0 1 0 1 1 0 1

TLP/Spar 2 1 1 2 1 0 1 1

소계 17 5 9 17 21 21 15 23

저장/운송 34 13 21 33 38 38 32 43

지원

AHTS 162 32 42 50 70 120 103 134

PSV/Supply 146 16 24 44 65 97 82 135

기타 90 32 33 33 36 46 38 60

소계 398 80 99 127 171 263 223 329

합계 657 170 206 263 328 430 399 552

(47)

<그림 II-9> 주요 선종 시장 전망

◦ (금액기준) Drillship은 향후 7년간 연평균 20억$ 발주. FPSO는 향후 7년간 연평 균 85억$(신조/개조, FLNG 포함) 발주 기대

<표 II-7> Drillship 발주 전망

구분

평균($bn) 전망($bn)

2005~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개발

조사/탐사 1.09 0.32 0.17 0.21 0.31 0.29 0.44 0.43

M O D U

Jack-up 6.66 0.31 0.61 0.77 0.93 1.28 2.13 2.33 Semi 4.74 0.77 0.75 1.63 2.87 2.08 2.57 4.24 Drillship 8.49 0 1.73 1.31 1.77 2.25 4.12 2.80 D-barge등 0.51 0.21 0.21 0.21 0.21 0.44 0.33 0.57 소계 20.39 1.29 3.29 3.92 5.79 6.05 9.16 9.93 건설(Con) 8.82 2.58 2.91 2.98 3.30 3.72 4.52 6.12

생산 M O P U

FPSO 6.17 1.38 3.43 9.22 11.84 11.92 8.83 13.42

Jack-up 0.24 0 0.07 0 0.04 0.04 0 0

Semi 1.03 0 0.52 0 0.54 0.55 0 0.57

(48)

<그림 II-10> 주요선종 시장 전망 구분

평균($bn) 전망($bn)

2005~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TLP/Spar 0.76 0.33 0.32 0.64 0.33 0 0.34 0.34 소계 8.19 1.71 4.35 9.86 12.74 12.50 9.17 14.33 저장/운송 2.53 1.12 2.23 3.37 3.79 3.75 4.41 4.80

지원

AHTS 3.87 0.49 0.69 0.93 1.39 2.45 2.05 2.97 PSV/Supply 3.91 0.31 0.47 0.84 1.22 2.07 1.83 3.14 기타 1.01 0.48 0.49 0.48 0.53 0.66 0.53 0.95 소계 8.79 1.28 1.65 2.25 3.14 5.18 4.41 7.06 합계 49.85 8.31 14.60 22.60 29.08 31.48 32.10 42.67

(49)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역량함양단계 관련

조선해양 분야 직무단위와 직무역량함양단계는, 조선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참고 하여, 해양은 KMAC 자료를 참고하여 각각 <표 II-8> 및 <표 II-9>와 같이 분석함. 국가 직무능력표준 및 KMAC 자료는 지속 보완 중으로 하여 분석이 진행중임. 상세 내용은 국 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1) 등 참조

<표 II-8> 조선 분야 관련 지식별 역량함양단계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능력

단위명 관련 지식

역량 함양 단계 학부 대학

원 기업

15.

기 계

8.

조 선

01.

선 박 설 계

01.

선 박 기 본 설 계

01.

선박기본 계획

-건조사양서(Building Specification) O     -관련법규 및 규정(Rule & Regulation) O     -기본조선학(선박계산, 선박저항추진론, 박용기관) O    

-선박구조 O    

-선박기본치수 O    

-선종특성 O    

-조선소설비 O    

-주기관제원 및 성능 O    

-항구와항만정보 O    

02.

건조 사양서

작성

-건조사양서(BuildingSpecification) O    

-구조기본도 O    

-국제결의서 (International Resolution (Assembly, MSC,

MEPC))     O

-국제선급협회연합(IAC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lassification Societies(UR, UI))     O -국제회람(InternationalCircular(MSC,MEPC)     O -국제코드(International Code(IS, IBC, IGC, LSA, ISPS))     O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SOLAS, MARPOL ,

COLREG, ICTM, ICLL)     O

-국제표준단위(SI Unit) O    

-기본계산서 O    

-기본설계 및 건조특성 O    

-명확한영문표현 O    

-모형시험(저항, 자항, POW, Maneuvering) O    

(50)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능력

단위명 관련 지식

역량 함양 단계 학부 대학

원 기업

-모형선시험(Model Test) O    

-복원성계산(Trim & Stability Calculation) O    

-선급규칙 O    

-선박기본계획 O    

-선주요구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 및 상호관계 O    

-실선시운전 O    

-엔진출력(EnginePower) 및 선속(ShipSpeed) O     -일반배치도(G/A: General Arrangement) O     -재화중량(Deadweight), 경하중량(Lightweight) O     -정부규칙(USCG, PANAMA, DMA, NMA/NIS)     O

-조선소설비 O    

-증서(Certificates)     O

-경사시험 및 중사시험 O    

-중량관리 O    

-화물의 특성(Intended Cargo) O    

-환경조건(Environmental Condition) O    

-조선소설비 O    

03.

선박기본 계산

-건조사양서(Building Specification) O     -관련법규 및 규정(Rule & Regulation)     O

-기본조선학(선박계산) O    

-선박구조 O    

-선박기본치수 O    

-선박의장품 O    

-선종특성 O    

-조선소설비 O    

04.

기본도면 작성

-관련특허     O

-건조사양서(BuildingSpecification) O     -관련법규 및 규정(Rule&Regulation)     O

-구조도및중량분포에따른반목배치위치결정기준 O    

-기본조선학(선박제도,선박설계) O    

-도면배치법및배치별표기방법 O    

-반목배치수량결정 O    

-선박구조 O    

-선박기본치수 O    

-선박의장품 O    

-선종특성 O    

-선체구조도 O    

05.

선형/추진 기설계

-건조사양서(BuildingSpecification) O     -관련법규 및 규정(Rule&Regulation)     O

-관련특허     O

-기본조선학(선박계산,선박저항추진론,선박조종론,선박유

체역학) O    

-모형시험계측방법 O    

(51)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능력

단위명 관련 지식

역량 함양 단계 학부 대학

원 기업

-모형시험계측장비 O    

-모형시험수조설비 O    

-선박구조 O    

-선박기본치수 O    

-선박장비 O    

-선박주기관및추진기 O    

-선종특성 O    

-조선소설비 O    

-조종모형시험 O    

-타계구조 O    

-항구와항만정보 O    

-환경관련규정 O    

06.

보증사항 검증

-건조사양서(Building Specification) O     -관련법규 및 규정(Rule & Regulation)     O

-관련도면 O    

-구획배치 O    

-경사시험계측장비 O    

-기본조선학(선박저항추진론, 선박조종론, 선박계산) O    

-표준조종성 시운전해석 및 방법     O

-모형시험결과 O    

-선박계산 O    

-선박특성 O    

-선속계측방법 O    

-선속해석방법 O    

-수학적계산 O    

-시운전해역 O    

-엔진특성     O

-유체역학 O    

-경사시험 및 중사시험 해석 및 방법 O    

-프로펠러 특성 O    

02.

선 체 설 계

01.

선체생산 설계

-독도법에 대한 이해 O   O

-조선용어 및 단위에 대한 이해 O    

-국제협약 및 선급규정의 종류와 적용 O   O

-의장도면에 대한 이해 O   O

-Yard Standard에 대한 이해      

-선박의 구조역학 개념 O    

-선박종류별 특성에 대한 이해 O    

-의장품에 대한 이해 O   O

-생산설비에 대한 이해 O   O

-작업공정에 대한 이해 O   O

-용접방법에 대한 이해 O   O

-시공기준서에 대한 이해     O

-부재명부여기준에 대한 이해     O

(52)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세 분 류

능력

단위명 관련 지식

역량 함양 단계 학부 대학

원 기업

-CAD시스템을 활용한 작도법에 대한 이해 O   O

-CAD시스템을 활용한 모델링 방법에 대한 이해 O     -조선각분야(설계, 생산, 품질검사 등)에 대한 포괄적 이해 O   O

-안전에 대한 기본개념 이해 O    

-생산작업성에 대한 이해 O   O

-용접시공기준의 이해     O

-구조물 제작시 발생하는 변형현상의 이해 O   O

-장비도면에 대한 이해     O

-주요의장품의 기능 및 작동의 이해 O   O

-부서간 업무분장에 대한 이해     O

-선체부재의 물류정보(송선) 이해     O

-Fairing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O

-곡흐름에 대한 이해     O

-곡가공장비에 대한 이해     O

-부가물설계 소프트웨어 이해     O

-생산작업방법 이해 O   O

-강재공급처 생산능력에 대한 이해     O

-강재운송수단에 따른 제약사항에 대한 이해     O

02.

구조상세 설계

•조선 용어 및 단위에 대한 이해 O    

•국제협약 및 선급규정의 종류와 적용 O   O

•건조사양서(Building Specification)에 대한 이해 O   O

•Yard Standard에 대한 이해      

•각 도면과 사양서 관계 이해     O

•구조 설계 관련 기술에 대한 포괄적 이해 O   O

•조선 각분야(설계, 생산, 품질검사 등)에 대한 포괄적 이해 O   O

•독도법에 대한 이해 O   O

•선박종류별 특성에 대한 이해 O    

•의장품에 대한 이해 O   O

•적하지침서에 대한 이해 O   O

•장비에 대한 이해     O

•생산설비에 대한 이해 O   O

•작업공정에 대한 이해 O   O

•용접방법에 대한 이해 O   O

•사양서에 대한 이해 O   O

•도면 표기법에 대한 이해 O   O

•선체구조 이론에 대한 이해 O    

•선급규정의 배경 이해     O

•구조역학 기본 개념 O    

•의장도면에 대한 이해 O   O

•장비도면에 대한 이해     O

•부서간 업무분장에 대한 이해     O

•선급 승인 절차에 대한 이해     O

•독도법에 대한 이해

03.

구조해석

O   O

•조선 용어 및 단위에 대한 이해 O    

•유한요소 해석법에 대한 이해 O   O

•구조역학 이론에 대한 이해 O    

•구조해석관련 선급규정에 대한 이해 O   O

•조선용강재, 재료에 대한 이해 O   O

참조

관련 문서

◦ 더불어 전공 및 진로와 관련한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며, 전공지식 뿐만 아니라 경 영 및 기타 교양과목 이수 권장 등을 통해 일반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산업체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개선 실적 또한 평균 3.5점으로 개선실적이 있 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산업계 경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좀 더 보완할

◦ 일부 대학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전임 교수에 대한 산업체 경력자 비율이 낮은 이유 는 업체 경력 보다는 강의 경력 및 논문 실적 등을 우선시 하는 전임 교수의 일반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와 실제 대학졸업자의 보유 역량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가장 심한 영역은 원가 관리와 건축 관련 법규의 이해 등으로 향후 이 분야에 대학 교육

문서작성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가 뜻한 바를 글로 나타내는 능력 경청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 대학에서 산업계 요구 교과목의 운영 중요도 개선을 위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 목 개설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수강을 독려할 수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