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계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계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M a c h i n e r y I n d u s t r y

기계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Ind us try Pe rsp ecti ve Ev

2016. 04

(2)
(3)

요구분석 위원 김경진 한석만 양지경 이균덕 허기영 오재준 이민희 임재윤 전현학 김민재 김세웅 김우승

김경진기술사사무소 대표

㈜광진테크 소장 케이엠피 대표이사 KM엔지니어링 대표

㈜현대마이크로 상무

㈜에프엠솔루션 대표

㈜두산인프라코어 차장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팀장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팀장 명지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금오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요구분석 협력관 이석구

곽진영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계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문의 발전과 경제도약의 초석이 되 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 왔다. 특히 대학과 기업의 교류에 의한 상호 협력은 대학에는 새로운 이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업에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경제가치를 창출할 수 있 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왔다.

그러나 점차 대학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산업계 관점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대학을 졸 업한 학생의 역량과 불일치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교 육부는 2008년부터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산 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시행하여, 대학의 자율적 참여와 이를 통한 산업계 요구역량의 교육과정반영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경제5단체와 공동으로 산 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을 8년 동안 수행하여 왔다.

3주기의 2년차 사업을 수행한 2015년에는 2014년에 진행된 산업계 요구분석에 근 거하여 금속, 게임, 미디어, 식품의 4개 분야에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건축(시공), 토 목, 기계, 자동차, 조선해양의 5개 분야에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기계 분야의 요구분석은 2주기 요구분석 내용을 보완하여, 주 대상학과인 기계공학과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도 동일하게 요구하는 공통 내용을 주로하여 세부 내용을 보완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2012년도에 분석된 내용과 비교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함양되어야 할 근본적 내용도 있으며, 앞으로의 산업 발전 경향을 반영하여 적정 시점에서 수정되어야 할 내용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함에 있어서 밀접하게 교류 할 수 있는 소통체제가 구축되어 상호 정예화된 양방향 소통의 결과물이 대학 교육과정에 녹아들고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대학은 대학별 특 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자리매김을, 산업은 제3의 도약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를 바란다.

2016.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최 준 열

원장

(6)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8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5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2

❙제2장

기계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7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31

3. 요약 및 제언 ··· 60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8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 13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 14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16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 17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 19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21

<표 Ⅱ-1>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생산 및 고용 동향 ··· 28

<표 Ⅱ-2>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무역 동향 ··· 29

<표 Ⅱ-3> 세계 기계산업 수출 국가별 순위 및 점유율 변화 ··· 30

<표 Ⅱ-4> 세계 일반기계 시장 규모 및 점유율 ··· 30

<표 Ⅱ-5> 국가직무능력표준 기계 분야 직무 분류 ··· 31

<표 Ⅱ-6> 국가직무능력표준 기계 부문 능력단위별 수준 ··· 45

<표 Ⅱ-7> 직무단위별 기초 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 51

<표 Ⅱ-8> 직무역량 및 관련 교과목 중요도 ··· 56

<표 Ⅱ-9> 기계 분야 학부 졸업생의 일반직무역량 ··· 58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12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23

(10)
(11)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제 1

서 론

(12)
(13)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사회 전환기를 맞아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급격한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어옴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제 1

(14)

◦후발국(중국) : 대학 초고속 팽창, 구조조정 병행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 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 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 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사회수요를 반영한 양적, 질적 체제 개선 요구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 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전반적 혹은 대학별 개선점이 요구되는 상황

◦ 양적 측면 :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80%를 넘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1)

◦ 2015년 현재 총 189개의 고등교육기관(일반대학)에 약 211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2)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 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5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전임교원 1인당 재학 생수 24.6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4.9명), 중학교(14.3명), 고등학교(13.2명) 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3). 고등교육기관 기준 OECD 평균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4명으로 한국의 28.7명은 이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수임4)

1) https://data.oecd.org/eduatt/enrolment-rate.htm 2) 교육통계서비스, 2015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1&itemCode=02

&menuId=0_3&language

3) 교육통계서비스, 초중고교육기관/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5)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8&itemCode=02

&menuId=0_10&language=

(15)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 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 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4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 가 58개국 중 53위로 나타남.5) 2015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5위로 전년보다 1계단 상승하였음6)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중하위권(IMD 2015년 조사: 종합순위 61개국 중 31위, 특히 두뇌유출 순 위는 61개국 증 44위로 경쟁력 저해를 나타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5년 서울대 36위, 카 이스트 43위 포항공대 87위)7)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80&itemCode=02

&menuId=0_12&language=

5) http://epic.kdi.re.kr/epic_attach/2010/R1005318 6) 201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기획재정부, 2015.

(1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17)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대학의 산업요구에 대한 접근 통로, 기업의 신입직 원 채용 시 활용 등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 영, 대학 경쟁력 증대와 산업경쟁력 강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등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과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18)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 (7개 산업분야)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와 1개 분야(게임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 임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 (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3. 1. ’12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바이오 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1)

일 자 추 진 내 용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 시범))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2)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수석부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공과대 학장협의회(사무총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

(23)

국공학교육인증원(인증사업단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한국대학교육협의 회(팀장) 등 30인 내외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 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 석위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홍민식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백용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원동진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4)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이상돈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 과장 김명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박영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박치형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전국경제인연합회 환경노동팀장 정조원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교수

(글로벌연수실장) 박윤환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정욱조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2팀장 손석호

한국게임개발자협회 이사 김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이경우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김종화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준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하상우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이건우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前)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최준열

(25)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 대학의 자율적인 산업 수요 인력양성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평가결과 의 활용지원 강화 및 교육과정 개선 ․운영 중심으로의 평가 개선

⇒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평가사업 참여도 제고

◦ 평가결과의 산학협력 재정지원사업* 및 2주기 고등교육기관평가․인증과의 연계, 우수대학 학생에 대한 기업의 채용 인센티브 부여 권장** 등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15년 연차평가 시부터), 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16~)

** 경제5단체와의 상시 협력체제 구축,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등의 협조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전년도 유지)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교육과정에 산업계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

평가사업의 효율적 추진

◦ 산업별 공통 기본역량*의 분석을 토대로 세부역량을 보완 분석하며, 지역별 주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한양대학교(ERICA) 재료공학과 교수 박주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현승균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게임전공 교수 장희동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 권만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김지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원팀장 김정희

(26)

력산업 등 분석이 필요한 경우 지역 특성 반영한 요구분석 추진

* 분야별 공통 역량 및 비교과영역에 대한 요구분석 강화

평가 관련 지원체제 구축

◦ 요구분석 및 평가결과 적용 컨설팅 강화, 평가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추진 등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별 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 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 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하 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구 분 내 용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27)

◦ 운영위원회

- 1차 2015. 9. 16.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6. 4. 12.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

과 발표방법 의결, 차년도 평가 분야 의결, 인증패 시상자안 및 최우수대학 졸 업생 취업 인센티브 관련 논의

◦ 실무위원회

- 1차 2015. 9. 1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6. 4. 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 분야 및 인증패 시상자안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6회(2015. 9~2016. 3), 대학 협력위원회 4 회(2015. 9~2016. 3)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9. 24.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금속 23교, 게임 13교, 미디어 31교, 식품 32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11. 13.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건축(시공)

1차: ’15년 10월 17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7일 2016년 사업기간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간삼건축, 범건축, (사)한국건설품질협회, 쌍용건설, 롯데 건설, 대한건설협회, 충북대학교

토목 1차: ’15년 10월 8일 2차: 11월 5일

건화, 청주테크노폴리스, 선구엔지니어링, 서영 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평화엔지니어링,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8)

※ 대학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컨설팅 시범 운영(대상 분야: 게임) - 일시 및 장소 : 2016. 4. 15.(금) 프레지던트 호텔

- 내용 : 산학협동 소통 차원에서 2015년 분야별 대상학과 중 참여율이 가장 높 은 게임 분야를 대상으로 대학의 신청을 받아 학과 교육과정 운영의 특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3차: 11월 24일 4차: 12월 24일

삼성물산,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서울과학기술대 학교, 연세대학교

기계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김경진기술사사무소, ㈜광진테크, KM엔지니어 링, 두산인프라코어, ㈜현대마이크로, ㈜에프엠 솔루션, KMP,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금오공과대 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자동차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만도, 동우HST, 한 온시스템, LG전자,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금오공 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조선해양

1차: ’15년 10월 20일 2차: 11월 12일 3차: 12월 11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STX조 선해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조선해양기자재 연구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경남대학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3일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 한국철강 협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술연 구원, LG디스플레이, LS Nikko, 한양대학교 (ERICA), 인하대학교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1차: ’16년 1월 23일 2차: 1월 30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인드, 크 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텐츠아카데미,

㈜몬스터스마일, ㈜미스터탐커뮤티케이션즈, 한 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 먼트협회, 호서대학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1차: ’16년 1월 22일 2차: 1월 23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브, CJ헬로비전, 애 드리치, MBC, 경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롯데제과, 풀무원, 농심, 푸드원택, 노바렉스, 아 모레퍼시픽, 샘표연구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9)

장점 및 개선방향을 설계하고, 게임 산업체의 인재 요구사항 및 향후 산업발전 트렌드에 대하여 공유하는 컨설팅 실시

◦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6. 4. 21. 서울 양재(엘타워)

- 내 용 : 석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및 자료집 배포 * 4월 하순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 최우수대학 대상 교육부, 경제5단체, 대교협 공동명의의 인증패 시상 및 졸업생 취업 인센티브 권고

◦ 대학 의견 수렴(2016.4.25.~2016.4.28.)

- 2~3주기 참여대학 및 관련 학과 소재 대학에 공문을 통한 의견 수렴 실시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의사결정 및 조율,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실무 총괄

평가: 기업체 부사장, 관련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주체, 경제5단체, 산업별 협력위원회(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Sector Council) 등) 협조 및 지원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 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지원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 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국공 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 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 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30)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 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 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석 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방 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 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 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 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 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 국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 센터장, 요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 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

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 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31)

라.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대학

’15년 대상 산업분야

구분 산업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요구 분석

건축(시공) 건축공학과, 건축공학부 등

’16년 평가 토목 토목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등

기계 기계공학과, 기계공학부 등 자동차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등 조선해양 조선해양공학과, 해양공학과 등

평가

금속 신소재(재료)공학과, 금속공학과 등

’14년 요구분석 게임 게임공학과(컴퓨터공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미디어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표 Ⅰ-7> 요구분석·평가 대상 산업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산업분야 선정 근거8)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분 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 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주기별 산업 현황 업데이트에 근거, 2주기 2012년 추진되었던 분야 보완 - 산업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 관성이 높은 산업9) 선정

- 산업 비전 및 정부 선정: 미래 유망 산업 분야10) 등 고려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주기별 평가 시행방안 연구(오환섭 외, 2012)> 등을 참고 9)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2011

(32)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 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어 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 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33)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 관련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도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34)
(35)

제 2

기계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36)
(37)

기계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평가대상 산업 분야

◦ 제조업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산업의 쌀로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주기 때 대상 산업으로 선정됨

◦ 3주기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는 ’15년 ‘기계’ 분야 대상 요구분석 실시 후 분석 내용에 근거하여 ’16년에 해당 분야 평가를 추진할 예정임

나. 기계 산업 동향

국내 일반기계 산업 동향

◦ 일반기계 생산은 ‘00~’13년 중 연평균 8.9%, 종사자수는 3.2%씩 성장하여 제조업 의 연평균 상승률 8.3%, 1.5%보다 높은 성장률 유지

*일반기계산업은 국내제조업의 사업체수 1위, 종사자수 3위, 생산액 6위에 위치

2

(38)

<표 II-1>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생산 및 고용 동향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증가율

생 산 (조원)

제 조 업 594 635 749 802 860 949 1,123 1,122 1,335 1,502 1,511 1,496 8.8 일반기계 37 42 52 56 61 68 79 73 92 102 102 100 9.4

(비중) (6.2) (6.6) (6.9) (7.0) (7.1) (7.2) (7.0) (6.5) (6.9) (6.8) (6.8) (6.7)

고 용 (만명)

제 조 업 232 232 239 244 248 251 245 245 264 269 275 281 1.8 일반기계 21 22 23 25 25 26 26 25 28 30 30 31 3.5

(비중) (9.3) (9.6) (9.7) (10.0) (10.1) (10.4) (10.7) (10.3) (10.7) (11.0) (11..1) (11.1)

업체수 (개사)

제 조 업 54,54354,880 54,797 57,198 58,928 61,785 58,459 57,996 62,376 63,047 63,907 65,389 1.7 일반기계 6,718 7,125 7,464 8,019 8,293 8,513 8,018 7,852 8,598 8,719 8,952 9,181 2.9

(비중) (12.3) (13.0) (13.6) (14.0) (14.1) (13.8) (13.7) (13.5) (13.8) (13.8) (14.0) (14.0) 자료 : 2013년 광업업제조업조사, 통계청

- 일반기계 생산은 전년대비 2.5% 감소하여 ‘13년 기준 100조원을 상회하고 있으며, 종사자수는 전년대비 3.0% 증가하여 ’13년 기준 31만명에 이름

일반기계 수출입 동향

ㅇ 한국 일반기계 수출은 ‘09~’14년 동안 연평균 12.5% 증가하여 전산업 연평균 증가 율 (9.5%)보다 높은 수준임

- 전산업에 수출에서 일반기계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09년 7.4%에서’ 14년 8.4%로 1.0%p 상승

(39)

<표 II-2>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무역 동향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증가율

수 출 (억불)

전 산 업 1,625 1,938 2,538 2,844 3,255 3,715 4,220 3,635 4,664 5,552 5,479 5,596 5,727 11.1 일반기계 93 118 168 222 239 308 373 268 361 458 479 464 483 14.8 (비중) (5.7) (6.1) (6.6) (7.8) (7.3) (8.3) (8.8) (7.4) (7.7) (8.3) (8.7) (8.3) (8.4) -

수 입 (억불)

전 산 업 1,521 1,788 2,245 2,612 3,094 3,568 4,353 3,231 4,252 5,244 5,196 5,156 5,255 10.9 일반기계 110 132 162 178 203 239 260 241 286 317 319 347 337 9.8

(비중) (7.2) (7.4) (7.2) (6.8) (6.6) (6.7) (6.0) (7.5) (6.7) (6.0) (6.1 (6.7) (6.4) -

무역수지 (억불)

전 산 업 103 150 294 232 161 146 -133 404 412 308 283 440 472 - 일반기계 -17 -14 6 44 36 69 113 28 75 141 160 117 147 - (비중) (-16.4)(-9.6) (2.2) (18.8) (22.4) (46.8) (-85.3) (6.8) (18.2) (45.9) (56.4) (26.6) (31.1) -

자료 : 무역협회 MTI 기준

ㅇ ‘14년 기준 일반기계 수출은 483억불, 수입은 337억불을 기록하였으며, 무역수지는 146억불 달성

- ‘13년의 수출 감소세(-3.2%)에서 증가세로 전환되어 4.2%의 증가세를 보였지 만 수입은 전년대비 2.9% 감소

- ‘12년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수출 증가율이 5% 이하로 크게 하락

* 수출 증가율(%) : (‘09)▵28.0→ (‘10) 34.5→ (‘11) 26.9→ (‘12) 4.6→ (‘13)▵3.1→ (‘14) 4.2

□ 세계 기계산업 수출입 동향

ㅇ 세계 일반기계 수출시장은 ’13년에 1조 4,836억달러를 기록하며 ‘10년~’13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6.4%를 기록

- 국가별 수출시장 점유율 순위는 ‘13년 기준 독일 15.4%, 중국 11.5%, 미국 11.5%, 일 본 8.3% 순이며, 우리나라는 3.2%를 차지하여 8위에 위치

- 독일 일반기계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및 후발국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02년 이후 세계 기계산업 수출 1위 국가의 위상을 유지

*독일은일반기계무역수지흑자가1,228억불로수출순위5위국가전체흑자규모의40.2%를차지

- 중국은 최근 Low-end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우수한 기술인력을 보강해 ‘09년 일본을 제치고 3위, ’13년 미국을 제치면서 2위로 부상

(40)

<표 II-3> 세계 기계산업 수출 국가별 순위 및 점유율 변화

순위 1 2 3 4 5 6 7 8 9 10

2000년 미국 독일 일본 이태리 영국 프랑스 캐나다 스위스 벨기에 스웨덴 점유율(%) 18.7 15.0 14.0 7.6 6.2 5.3 3.3 2.6 2.2 2.0

2008년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이태리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한국 벨기에 점유율(%) 16.7 12.3 9.5 8.1 7.8 5.0 4.3 3.1 2.4 2.3

2013년 독일 중국 미국 일본 이태리 영국 프랑스 한국 네덜란드 싱가포르 점유율(%) 15.4 11.5 11.5 8.3 6.8 4.4 4.2 3.2 3.1 2.2

※ 2000년 한국은 15위, 점유율 1.7%

□ 세계시장 전망

ㅇ 세계 기계시장은 성장률이 둔화되어 연평균 7.8%의 성장을 거듭하여 ´20년에 2.8조불 규모로 확대될 전망

- 신흥시장의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면서 개도국의 Middle Market과 Volume Zone 등 신흥 소비계층이 등장하여 신흥시장 확대가 예상

* Middle Market : 중산층 소비자가 主수요자. 중급 품질 가격 제품이 경쟁력의 원천

* Volume Zone : 세대당 가처분소득이 5,000~35,000달러에 이르는 아시아 중산층 시장

ㅇ 주요 신흥시장별 유망품목 : 중국(건설기계, 공작기계), 러시아(건설기계, 공작기계), 인도 (건설기계, 금형), 브라질(건설기계, 섬유기계), 아세안(공작기계, 농기계), 중동(건설기계, 섬유기계), Post-EU12(공작기계, 건설기계)

<표 II-4>세계 일반기계 시장 규모 및 점유율(단위: 10억불, %)

구 분 2000 2010 2013 2020(f) 2025(f) 2030(f) 규모 점유율 규모 점유율 규모 점유율 규모 점유율 규모 점유율 규모 점유율 계 1,118 100.0 2,454 100.0 2,936 100.0

선진시장 886 79.2 1,567 63.9 1,847 62.9 신흥시장 139 12.4 622 25.4 756 25.7 기타시장 94 8.4 265 10.8 333 11.3

* [출처] UN, Comtrade 및 KOAMI 전망 * 신흥시장: BRICs, ASEAN, Post-EU, 중동

(41)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기계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아래 <표 II-5>와 같이 구 분하여 분석됨(2015년 기준). 아래 분석에 대해 일부 내용 보완 진행 중. 상세 내용은 국가 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1) 참조

<표 II-5> 국가직무능력표준 기계 분야 직무 분류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5.기계 01. 기계설계 01.설계기획

01.기계설계기획

01.요구사항분석 02.설계기술자료수집

03.설계일정수립 04.기술지원계획수립

05.설계조건분석 06.설계수명설정 07.설계원가산정 08.경제성검토 09.신뢰성검토 10.기계형식인증검토

02.기계개발기획

01.개발목표설정 02.시장분석 03.개발방안수립 04.기술개발환경분석

05.규정검토 06.기술정보분석 07.개발일정수립

03.기계조달

01.구매계획 02.협력사관리

03.견적의뢰 04.구매발주 05.해외조달 06.품질관리 07.재고관리

(42)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8.제품사후관리

04.기계마케팅

01.기계판매가격전략관리 02.기계영업전략수립

03.기계수주계약 04.매출목표관리 05.홍보전략관리 06.고객관리

02.기계설계

01.기계요소설계

01.2D도면작성 02.3D형상모델링

03.도면해독 04.요소공차검토 05.요소부품재질선정

06.체결요소설계 07.동력전달요소설계

08.치공구요소설계 09.유공압요소설계 10.요소설계검증

02.기계시스템설계

01.설계관리 02.메커니즘구성 03.레이아웃설계 04.형상모델링 05.요소부품설계검토 06.요소부품재질검토 07.요소부푸제작성검토

08.동력전달장치설계 09.유공압시스템설계

10.치공구설계 11.설계품질관리

03.구조해석설계

01.해석용모델링 02.정적구조해석 03.열응력해석

04.유동해석 05.동적구조해석 06.진동/소음해석

(43)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7.내구해석 08.최적화해석

04.기계제어설계

01.기계제어요구사항분석 02.기계제어요소선정

03.제어사양서작성 04.공정흐름도작성 05.제어로직설계 06.제어인터페이스설계

07.제어신호처리 08.제어프로그램작성

09.제어시뮬레이션 10.제어성능시험평가

02.기계가공 01.절삭가공

01.선반가공

01.작업계획수립 02.공구 선정

03.도면해독 04.기본 작업 05.단순형상 작업 06.홈·테이퍼 작업 07.편심·나사 작업 08.부속 장치 사용 09.장비 유지관리

02.밀링가공

01.작업계획수립

02.작업장 유지관리

03.도면해독 04.기본 작업 05.평면·총형 가공 06.탭·드릴·보링 가공

07.엔드밀 가공 08.치공구 관리 09.안전대책 수립

10.품질개선활동 03.연삭가공 01.작업계획수립

(44)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1.도면해독 03.공구관리 04.안전규정 05.기본작업 06.평면연삭 07.원통연삭 08.성형연삭 09.정밀측정 10.품질문제 대응

04.CAM

01.작업계획수립 02.도면해독 03.CNC선반 조작

04.CNC선반 가공 프로그래밍(Machine) 05.CNC밀링(머시닝센터) 조작 06.CNC밀링(머시닝센터) 가공

프로그래밍(Machine) 07.CNC선반 가공 프로그래밍(CAM)

08.CNC밀링(머시닝센터) 가공 프로그래밍(CAM) 09.CNC 복합 가공 프로그래밍 10.CNC밀링 5축 가공 프로그래밍

11.CNC EDM 가공 프로그래밍 12.CNC EDW 가공 프로그래밍

05.측정

01.작업계획수립 02.도면해독 03.육안검사 04.기본측정기 사용

05.정밀측정 06.비교측정 07.3차원측정 08.측정기 유지관리

09.작업 개선활동

(45)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0.작업관리

06.성형가공

01.작업계획수립 02.작업장 유지관리

03.기본공구 사용 04.도면해독 05.프레스 작업 06.치공구 관리 07.장비 유지관리 08.안전규정 준수·대책수립

09.품질문제 대응

02.특수가공

01.방전가공

01.방전가공 작업준비 02.와이어 컷 방전가공 계획 수립

03.와이어 컷 방전가공 준비 04.와이어 컷 방전가공 05.와이어 컷 방전가공기 유지 보수

관리

06.형조 방전가공 계획 수립 07.형조 방전가공 준비

08.형조 방전가공 09.형조 방전가공기 유지 보수 관리

10.방전가공 공작물 품질관리

02.레이저가공

01.레이저가공 작업준비 02.레이저가공 작업안전관리

03.레이저가공 설계 04.레이저가공 준비 05.레이저 절단 06.레이저 용접 07.레이저 표면가공 08.레이저 드릴가공 09.레이저가공 제품검사 10.레이저 장비유지관리

03.워터젯가공

01.워터젯가공 작업준비 02.워터젯 CAD 설계 03.워터젯 CAM 설계 04.워터젯 운전준비

(46)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5.워터젯 일반재료 절단 06.워터젯 취성재료 절단 07.워터젯 3차원 절단

08.워터젯 장비관리 09.워터젯 작업 안전관리

04.플라즈마가공

01.플라즈마가공 공정계획 수립 02.플라즈마 절단 03.플라즈마 용접 04.플라즈마 코팅 05.플라즈마 세정 06.플라즈마 표면개질 07.플라즈마 공작물 품질관리

08.플라즈마장비 보전관리 09.플라즈마 작업안전

03.금형

01.사출금형설계

01.사출 제품도 분석 02.사출금형 원가계산 03.사출금형 설계업무관리

04.사출금형 조립도설계 05.사출성형해석 06.사출금형 3D부품모델링 07.사출금형 3D어셈블리모델링

08.사출금형 부품도설계 09.사출금형 2D도면작성 10.가공지원 도면작성 11.시험사출 제품 분석

02.사출금형제작

01.사출금형제작 도면해독 02.사출금형제작 공정설계 03.사출금형제작 일정관리 04.사출금형 소재부품수급관리

05.사출금형제작 설비관리 06.사출금형제작 외주관리 07.사출금형제작 가공표준관리

08.사출금형 부품가공 09.사출금형제작 공정간 검사

(47)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0.사출금형제작 표준화 관리

03.사출금형품질관 리

01.제품도 및 금형도해독 02.사출성형 공정검토 03.사출성형 설비점검

04.사출시험작업 05.시제품측정 06.시제품평가 07.사출금형 수정품질관리

08.사출금형 유지보수 09.사출금형 이관관리 10.사출금형 생산관리

04.사출금형조립

01.사출금형 도면해독 02.사출금형 조립부품검토

03.사출금형 다듬질 04.사출금형 경면래핑 05.사출금형 고정측 조립 06.사출금형 가동측 조립 07.사출금형 조립검사 08.사출금형 시험성형

09.사출금형수정

10.사출금형조립의 안전과 환경관리

05.프레스금형설계

01.프레스 제품도 분석 02.프레스금형 성형해석 03.프레스 단공정 금형설계 04.프레스 복합공정 금형설계

05.프레스 특수금형 설계 06.프레스금형 2D 도면작성

07.프레스금형 3D 모델링 08.프레스금형 원가계산 09.프레스금형 설계보완 10.프레스 설계업무 관리

06.프레스금형제작

01.프레스 금형제작 안전관리 02.프레스 금형제작 장비유지관리

03.프레스 금형제작 일정관리 04.프레스 금형제작 도면해독 05.프레스 금형제작 CAM 데이터 생성

(48)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6.프레스 금형제작 방전가공용 데이터 생성

07.프레스 금형 부품 열처리 08.프레스 금형제작 부품수급관리 09.프레스 금형제작 가공표준 관리 10.프레스 금형제작 표준화 관리

07.프레스금형 품질관리

01.프레스금형 설계 도면해독 02.프레스금형 측정기 사용요령

03.프레스금형 부품검사 04.프레스금형 조립검사 05.프레스금형품질 시험분석

06.프레스금형 시제품 측정 07.프레스금형 시제품 평가 08.프레스금형 양산성 검증 09.프레스금형 이관관리 10.프레스금형 사후관리

08.프레스금형조립

01.프레스금형 도면해독 02.프레스금형 내구성검토 03.프레스금형 요소부품검수 04.프레스금형 부품수정가공 05.프레스금형 부품열처리검수

06.프레스금형 부품다듬질 07.프레스금형조립 08.프레스금형시험 09.프레스금형수정 10.프레스금형 조립표준화

03.기계조립

·관리 01.기계조립 01.기계수동조립

01.조립계획수립 02.조립도면해독 03.작업공정설계 04.조립부품준비 05.조립현장교육 06.기계부품조립 07.유공압장치조립

(49)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8.전기전자장치조립

09.조립작업관리 10.조립제품출고

02.기계소프트웨어 설계

01.기계시스템 분석 02.제어 프로세스 분석 03.기계시스템 제어 방식 결정

04.센서 활용 기술 05.모터 제어 06.유공압 제어 07.제어 프로그램 구조 설계

08.PC제어 프로그램 개발 09.PC제어 프로그램 테스트 10.PLC제어 기본 모듈 프로그램 개발 11.PLC제어 특수 모듈 프로그램 개발

12.PLC제어 프로그램 테스트 13.HMI 프로그램 개발 14.기계시스템 운용 파라미터 최적화

03.기계하드웨어 개발

01.사양분석 02.개념설계 03.제어기구조설계

04.회로상세설계 05.회로도작성

06.PCB설계 07.기계하드웨어 제작 08.기계하드웨어 시험 09.기계하드웨어 유지

04.기계펌웨어개발

01.기능요구사항 분석 02.컴포넌트 분석 03.펌웨어 기본설계 04.펌웨어 구조설계 05.개발환경 구축 06.펌웨어 프로그래밍 07.펌웨어 동작 테스트 08.펌웨어 필드 테스트 09.펌웨어 신뢰성 평가

10.고객기술지원

(50)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2.기계생산관리

01.기계생산관리계 획

01.생산요구사항 관리 02.생산총괄계획 수립 03.생산일정계획 수립 04.생산요소 운영계획 수립

05.생산가용성 분석 06.생산설비 운영계획 수립

07.생산안전관리계획 수립 08.제조원가계획 수립 09.작업량 분배계획 수립

02.기계자재관리

01.자재 공급 계획 수립 02.신규공급자 개발 관리

03.공급자 유지 관리 04.자재 발주 관리 05.자재 입출고 관리

06.자재 창고 관리 07.자재관리 프로그램 운영

08.자재 공급설비 관리

03.기계공정관리

01.기계공정 설계 02.기계공정 분석 03.공정개선 관리 04.공정표준화 05.공정설비보전 관리

06.공정작업자 관리 07.공정최적화 관리 08.기계공정이력 관리

09.공정안전 관리 10.공정시스템 관리

04.기계생산성관리

01.생산성표준 관리 02.생산성정보 통합관리

03.작업생산성 관리 04.자재생산성 관리 05.설비생산성 관리 06.외주생산성 관리 07.생산환경 관리 08.생산성향상계획 수립

09.기계생산기술 관리

(51)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5.기계작업감독

01.작업계획 수행 02.작업현장개선 관리 03.작업안전대책 수행 04.작업일정계획 관리 05.부적합품 관리 06.작업변경점 관리

07.작업준비 관리 08.작업진도 관리 09.생산설비 관리

04.기계품질

관리 01.기계품질관리

01.기계품질계획

01.기계 품질수준 로드맵 수립 02.기계 설계 검증 03.기계 수급자재 품질관리 04.기계 생산장비 운용게획 설정

05.기계 자재 검사 계획 설정 06.기계 반제품 검사 계획 설정 07.기계 완성품 검사 계획 설정 08.기계 품질평가 계획 설정

09.기계 평가일정 계획 10.기계 사후 관리 계획

02.기계품질관리

01.기계품질 검사 준비 02.기계 검사·측정기기 관리

03.기계품질 수입 검사 04.기계품질 공정 검사 05.기계품질 제품 검사 06.기계품질 검사결과 관리 07.기계품질 부적합품 관리 08.기계품질 출하 관리 09.기계품질 개선 관리 10.기계품질 규제대응 관리

03.기계품질평가

01.기계품질 평가자 자격 검증 02.기계품질 평가방법 관리

03.기계품질 제품평가 04.기계품질 평가결과 관리 05.기계품질 평가 사후관리

06.기계품질 제품인증

(52)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7.기계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08.기계품질 적합성 평가 09.기계품질 신뢰성 평가 10.기계품질 데이터분석시스템 구축

05.기계장치 설치

01.기계장비 설치·정비

01.운반하역기계 설치·정비

01.운반하역기계 설치계획 수립 02.운반하역기계 구조물 설치

03.운반하역기계설치 04.운반하역기계 설치검사

05.운반하역기계 시운전 06.운반하역기계 정비계획 수립

07.운반하역기계 구조물 정비 08.운반하역기계 구동장치 정비 09.운반하역기계 작업장치 정비 10.운반하역기계 유공압장치 정비 11.운반하역기계 안전·보건 환경관리

02.건설광산기계 설치·정비

01.건설광산기계 설치계획 수립 02.건설광산기계 설치 03.건설광산기계 시운전 04.건설광산기계 예방 정비 05.건설관상기계 공급이송장치 정비

06.건설광산기계 계량장치 정비 07.건설광산기계 혼합장치 정비 08.건설광산기계 전기전자제어장치

정비

09.건설광산기계 유공압장치 정비 10.건설광산기계 쇄석장치 정비

11.건설광산기계 안전관리

03.섬유기계설치·

정비

01.섬유기계 설치계획 수립 02.섬유기계 설치준비 03.섬유기계 설치, 조립 04.유틸리티 설치, 점검 05.섬유기계 설치검사, 시운전

06.섬유기계 정비표준 작성 07.섬유기계 점검, 정비 준비

08.섬유기계 점검

참조

관련 문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수행에 필요한 시간자원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시간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할당하는 능력.

- 중앙 인사 관장 기관이 운영하는 중앙인사정책지원 시스템과 연계하여 인사 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전자인사관리

본 사업에 참여하는 종사자는 도입되는 장비의 설치에 대한 충분한 기술과 경험 등을 가진 자로 하며 ,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발주기관이 부적당하다고

사업자로 선정된 후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제3자의 특허권 또는 저작권을 침해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업자가 해결 하여야 하며 , 이에 대한

사업자로 선정된 후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제3자의 특허권 또는 저작권을 침해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업자가 해결 하여야 하며 , 이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