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목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토목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Copied!
8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ivil Engineering Industry

토목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Ind us try Pe rsp ecti ve Ev

2016. 04

(2)
(3)

요구분석 위원 김용구 김충식 서석구 이관영 이용진 정한중 최진상 김숙경 길경익 김형관

(주)도화엔지니어링 경영지원본부장 (주)청주테크노폴리스 건설관리본부장 (주)서영엔지니어링 수석부사장 (주)평화엔지니어링 부사장 삼성물산 건설부문 부장 (주)선구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주)건화 대표이사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팀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교수

요구분석 협력관 이석구 김신아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토목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문의 발전과 경제도약의 초석이 되 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 왔다. 특히 대학과 기업의 교류에 의한 상호 협력은 대학에는 새로운 이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업에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경제가치를 창출할 수 있 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왔다.

그러나 점차 대학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산업계 관점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대학을 졸 업한 학생의 역량과 불일치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교육 부는 2008년부터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를 시행하여, 대학의 자율적 참여와 이를 통한 산업계 요구역량의 교 육과정반영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경제5단체와 공동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 사업을 8년 동안 수행하여 왔다.

3주기의 2년차 사업을 수행한 2015년에는 2014년에 진행된 산업계 요구분석에 근 거하여 금속, 게임, 미디어, 식품의 4개 분야에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건축(시공), 토 목, 기계, 자동차, 조선해양의 5개 분야에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토목 분야의 요구분석은 2주기 요구분석 내용을 보완하여, 설계 위주로 분석되었던 범위를 넓혀 토 목 산업의 전반을 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요구분석의 세부 결과는 본 보고서 지 면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함양되어야 할 근본적 내용도 있으며, 앞으로의 산업 발전 경향을 반영하여 적정 시점에서 수정되어야 할 내용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함에 있어서 밀접하게 교류 할 수 있는 소통체제가 구축되어 상호 정예화된 양방향 소통의 결과물이 대학 교육과정에 녹아들고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대학은 대학별 특 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자리매김을, 산업은 제3의 도약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를 바란다.

2016. 4.

(6)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7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5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2

❙제2장

토목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7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41

3. 요약 및 제언 ··· 72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7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13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14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6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18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20

<표 Ⅰ-7> 요구분석·평가 대상 산업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21

<표 Ⅱ-1> 토목 산업 분류 체계 ···28

<표 Ⅱ-2> 2015년 4/4분기 엔지니어링 기업실사지수 ···36

<표 Ⅱ-3> 세계 엔지니어링 수출시장 매출액 추정 ···39

<표 Ⅱ-4> 직무단위 구분 및 직무상세내용 ···41

<표 Ⅱ-5>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51

<표 Ⅱ-6> 전문직무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63

<표 Ⅱ-7> 필수역량별 관련 교과목과 중요도 ···68

<표 Ⅱ-8> 일반직무역량의 종류 및 중요도 ···69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11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23

[그림 Ⅱ-1] 2013년 대비 2022년 세계 인프라 시장 규모 ···37

[그림 Ⅱ-2] 대학-초과수요 상위 10개 전공 ···38

(10)
(11)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제 1

서 론

(12)
(13)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사회 전환기를 맞아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급격한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 되어옴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제 1

(14)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 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사회수요를 반영한 양적, 질적 체제 개선 요구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전반적 혹은 대학별 개선점이 요구되는 상황

◦ 양적 측면 :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80%를 넘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1)

◦ 2015년 현재 총 189개의 고등교육기관(일반대학)에 약 211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2)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5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전임교원 1인당 재 학생수 24.6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4.9명), 중학교(14.3명), 고등학교(13.2 명)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3). 고등교육기관 기준 OECD 평균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4명으로 한국의 28.7명은 이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수임4)

1) https://data.oecd.org/eduatt/enrolment-rate.htm 2) 교육통계서비스, 2015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1&itemCode=02

&menuId=0_3&language

3) 교육통계서비스, 초중고교육기관/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5)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8&itemCode=02

&menuId=0_10&language=

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1

(15)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4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가 58개국 중 53위로 나타남.5) 2015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5위로 전년보다 1계단 상승하였음6)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중하위권(IMD 2015년 조사: 종합순위 61개국 중 31위, 특히 두뇌유출 순위는 61개국 증 44위로 경쟁력 저해를 나타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5년 서울대 36위, 카이스트 43위 포항공대 87위)7)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0&itemCode=02&menuId=0_12&language=

(16)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 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17)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대학의 산업요구에 대한 접근 통로, 기업의 신입직 원 채용 시 활용 등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 영, 대학 경쟁력 증대와 산업경쟁력 강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등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과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8)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와 1개 분야(게임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 임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 (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바이오 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 시범))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1)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일 자 추 진 내 용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2)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수석부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공과대학 장협의회(사무총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 국공학교육인증원(인증사업단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한국대학교육협 의회(팀장) 등 30인 내외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 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석위 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23)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홍민식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백용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원동진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준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하상우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이건우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前)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최준열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4)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이상돈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 과장 김명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박영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박치형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전국경제인연합회 환경노동팀장 정조원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교수

(글로벌연수실장) 박윤환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정욱조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2팀장 손석호

한국게임개발자협회 이사 김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이경우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김종화

한양대학교(ERICA) 재료공학과 교수 박주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현승균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게임전공 교수 장희동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 권만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김지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원팀장 김정희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5)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 대학의 자율적인 산업 수요 인력양성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평가결과의 활용지원 강화 및 교육과정 개선 ․운영 중심으로의 평가 개선

⇒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평가사업 참여도 제고

◦ 평가결과의 산학협력 재정지원사업* 및 2주기 고등교육기관평가․인증과의 연계, 우 수대학 학생에 대한 기업의 채용 인센티브 부여 권장** 등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15년 연차평가 시부터), 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16~)

** 경제5단체와의 상시 협력체제 구축,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등의 협조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전년도 유지)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교육과정에 산업계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

평가사업의 효율적 추진

◦ 산업별 공통 기본역량*의 분석을 토대로 세부역량을 보완 분석하며, 지역별 주 력산업 등 분석이 필요한 경우 지역 특성 반영한 요구분석 추진

* 분야별 공통 역량 및 비교과영역에 대한 요구분석 강화

평가 관련 지원체제 구축

◦ 요구분석 및 평가결과 적용 컨설팅 강화, 평가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추진 등

(26)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 별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 하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구 분 내 용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운영위원회

- 1차 2015. 9. 16.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6. 4. 12.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

과 발표방법 의결, 차년도 평가 분야 의결, 인증패 시상자안 및 최우수대학 졸 업생 취업 인센티브 관련 논의

(27)

◦ 실무위원회

- 1차 2015. 9. 1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6. 4. 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 분야 및 인증패 시상자안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6회(2015. 9~2016. 3), 대학 협력위원회 4회 (2015. 9~2016 .3)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9. 24.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금속 23교, 게임 13교, 미디어 31교, 식품 32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11. 13.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28)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건축(시공)

1차: ’15년 10월 17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7일

2016년 사업기간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간 삼건축, 범건축, (사)한국건설품질협회, 쌍용건설, 롯데건설, 대한건설협회, 충북 대학교

토목

1차: ’15년 10월 8일 2차: 11월 5일 3차: 11월 24일 4차: 12월 24일

건화, 청주테크노폴리스, 선구엔지니어 링, 서영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평화엔지니어링, 삼성물산, 한국엔지니 어링협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세대 학교

기계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김경진기술사사무소, ㈜광진테크, KM 엔지니어링, 두산인프라코어, ㈜현대마 이크로, ㈜에프엠솔루션, KMP, 한국기 계산업진흥회, 금오공과대학교, 명지대 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자동차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만도, 동우 HST, 한온시스템, LG전자, 한국기계산 업진흥회, 금오공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조선해양

1차: ’15년 10월 20일 2차: 11월 12일 3차: 12월 11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STX조선해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조선해양기자재연구소, 한국조선해양플 랜트협회, 경남대학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3일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전 현대하이스코), 한국철강협회(전 동국 제강, 전 휴스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 LG디스플레 이, LS Nikko 인하대학교, 한양대학교 (에리카)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1차: ’16년 1월 23일 2차: 1월 30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 인드, 크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 텐츠아카데미, ㈜몬스터스마일, ㈜미스 터탐커뮤티케이션즈, 한국게임개발자협 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호서대학교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9)

※ 대학 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컨설팅 시범 운영(대상 분야: 게임) - 일시 및 장소 : 2016. 4. 15.(금) 프레지던트 호텔

- 내 용 : 산학협동 소통 차원에서 2015년 분야별 대상학과 중 참여율이 가장 높은 게임 분야를 대상으로 대학의 신청을 받아 학과 교육과정 운영 의 특장점 및 개선방향을 설계하고, 게임 산업체의 인재 요구사항 및 향후 산업발전 트렌드에 대하여 공유하는 컨설팅 실시

◦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6. 4. 21. 서울 양재(엘타워)

- 내 용 : 석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및 자료집 배포 ※ 4월 하순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 최우수대학 대상 교육부, 경제5단체, 대교협 공동명의의 인증패 시상 및 졸업생 취업 인센티브 권고

◦ 대학 의견 수렴

- 2~3주기 참여대학 및 관련 학과 소재 대학에 공문을 통한 의견 수렴 실시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의사결정 및 조율,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실무 총괄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1차: ’16년 1월 22일 2차: 1월 23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 라이언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 브, CJ헬로비전, 애드리치, MBC, 경성대 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롯데중앙연구소, 풀무원, 농심, 푸드원 텍, 노바렉스, 아모레퍼시픽, 샘표식품, 한국식품산업협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30)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철강협 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 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지원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 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 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 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 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등 20인 내 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 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 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 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 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 석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방 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 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 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 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 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 장, 요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

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 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31)

라.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대학

’15년 대상 산업분야

구분 산업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요구 분석

건축(시공) 건축공학과, 건축공학부 등

’16년 평가 토목 토목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등

기계 기계공학과, 기계공학부 등 자동차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등 조선해양 조선해양공학과, 해양공학과 등

평가

금속 신소재(재료)공학과, 금속공학과 등

’14년 요구분석 게임 게임공학과(컴퓨터공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미디어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표 Ⅰ-7> 요구분석·평가 대상 산업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산업분야 선정 근거8)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 분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주기별 산업 현황 업데이트에 근거, 2주기 2012년 추진되었던 분야 보완 - 산업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관성이 높은 산업9) 선정

- 산업 비전 및 정부 선정: 미래 유망 산업 분야10) 등 고려

(32)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 어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33)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 용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관련 분류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 시 중요도 도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34)
(35)

제 2

토목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36)
(37)

토목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토목 산업의 정의 및 분류

토목 산업의 정의

◦ 토목은 목재나 철재. 토석 따위를 사용하여 땅과 하천의 이용을 위한 기반시설(도 로나 둑, 교량, 항만, 철도, 상하수도 등)을 건설하거나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공 사11)의 총칭.

◦ 토목공학(土木工學, civil engineering)은 도로, 철도, 교량, 터널, 공항, 항만, 하천, 댐, 저수지, 해안, 상하수도, 하수처리, 플랜트, 해양 등 사회간접시설과 미래의 우 주기지, 해양기지 등 공공의 복리를 도모하기 위한 시설의 조사,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12)이며, 사회기반을 구성하는 중요한 분야 로 국가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 분야.

토목 산업의 분류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건설 분야의 중분류 로 토목을 구분하고, ‘토목설계·감리, 토목시공, 측량·지리정보개발’의 3가지 소 분류와 각각에 대한 세분류, 능력단위명을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분석한 토목 산업 분류의 세부 내용은 다음 <표 Ⅱ-1>과 같음.

제 2

(38)

<표 Ⅱ-1> 토목 산업 분류 체계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4.

건설

02.

토목

01.

토목설계·감리 01.

도로설계

01. 도로설계 대상지역의 조사분석 02. 도로설계 노선선정

03. 도로의 출입시설 계획 04. 도로설계 구조물 계획 검토 05. 도로설계 교통수요·경제성 분석 06. 도로의 공종별 세부설계 07. 도로설계 도면 작성 08. 도로설계 계산서 작성 09. 도로설계 시방서 작성 10. 도로설계 공사비 산출 11. 도로설계 보고서 작성 12. 도로설계 인·허가서류 작성

02.

공항설계

01. 공항설계 현황조사 02. 공항설계 설계기준 수립

03. 공항설계 수요예측 및 시설규모 결정 04. 공항설계 입지 분석

05. 공항설계 경제성 분석 06. 공항설계 평면배치 07.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 08. 공항설계 계산서 작성 09. 공항설계 도면 작성 10. 공항설계 시방서 작성 11. 공항설계 사업비 산정 12. 공항설계 보고서 작성 13. 공항설계 유지관리 계획 수립 14. 공항설계 인·허가 서류작성

03.

터널설계

01. 터널설계 사업계획 수립 02. 터널설계 현황조사 03. 터널설계 기본계획 수립 04. 일반 터널설계

05. 부문별 터널설계 06. TBM 터널설계 07. 터널설계 계산서 작성 08. 터널설계 도면 작성

(39)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9. 터널설계 시방서 작성 10. 터널설계 사업비 산정 11. 터널설계 보고서 작성

04.

교량설계

01.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02.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03. 교량설계 현황 조사 04.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05.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06.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07. 교량설계 도면 작성 08.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09.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10.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05.

항만(해양)설계

01.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 02.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헙 03.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04.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 05.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 06.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07. 항만(해양)설계 계산서 작성 08. 항만(해양)설계 도면 작성 09. 항만(해양)설계 시방서 작성 10. 항만(해양)설계 사업비 산정 11. 항만(해양)설계 보고서 작성 12. 항만(해양)설계 인·허가 서류 작성

06.

상하수도설계

01. 상하수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02. 상하수도설계 사업타당성 검토 03. 상하수도설계 기본계획수립 04. 상하수도설계 현황조사 05. 상하수도설계 기본설계 06. 상하수도설계 실시설계 07. 상하수도설계 계산서 작성 08. 상하수도설계 도면 작성

(40)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1. 상하수도설계 사업비 산정 12. 상하수도설계 보고서 작성 13. 상하수도설계 인·허가 서류 작성

07.

하천(댐)설계

01. 하천(댐)설계 사업계획 수립 02. 하천(댐)설계 수리분석 03. 하천(댐) 수문분석 04. 하천설계 치수 기본계획 05. 하천설계 이수 기본계획 06. 댐설계 기본계획 07. 하천설계 실시설계 08. 댐설계 실시설계 09. 하천(댐)설계 계산서 작성 10. 하천(댐)설계 도면 작성 11. 하천(댐)설계 시방서 작성 12. 하천(댐)설계 사업비 산정 13. 하천(댐)설계 보고서 작성

08.

지반설계

01. 지반설계 사전자료 검토 02. 지반설계 현황조사 03. 지반설계 사업개요 분석 04. 지반설계 지반조사

05. 지반설계 지반조사 보고서 작성 06. 지반설계 기준 작성

07. 지반설계 지반구조물 안정해석 08. 지반설계 도면 작성

09. 지반설계 시방서 작성 10. 지반설계 사업비 산정 11. 지반설계 보고서 작성

09.

단지설계

01. 단지설계 사전자료 검토 02. 단지설계 현황조사 03. 단지설계 사업개요 분석 04. 단지설계 기준 수립 05. 단지설계 공급처리시설 검토 06. 단지설계 부지정지계획 검토

(41)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7. 단지설계 공종별 세부설계 08. 단지설계 도면 작성 09. 단지설계 시방서 작성 10. 단지설계 사업비 산정 11. 단지설계 보고서 작성 12. 단지설계 인·허가서류 작성

10.

철도설계

01.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02. 철도설계 현황조사 03. 철도설계 노선설계 04. 철도설계 시설물설계 05. 철도설계 시스템 인터페이스 06. 철도설계 계산서 작성 07. 철도설계 도면 작성 08. 철도설계 시방서 작성 09. 철도설계 사업비 산정 10. 철도설계 보고서 작성 11. 철도설계 인·허가서류 작성

11.

토목건설사업관리

01. 건설사업관리계획 검토

02.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 수립 03. 설계도서 검토

04. 시공관리 05. 자원관리 06. 품질관리 07. 공정관리 08. 안전·위험 관리 09. 환경관리

10. 준공검사·인수인계

02.

토목시공

01.

토공

01. 토공 도면파악 02. 토공 현장안전 03. 토공 설계도서 검토 04. 토공 현장조사 05. 토공 시공계획 수립

(42)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7. 토공 암 깎기 굴착 08. 토공 운반 09. 토공 쌓기

02.

지반개량

01. 지반개량 도면파악 02. 지반개량 현장안전

03. 지반개량 기초자료 조사분석 04. 지반조사분석

05. 지반개량 공법 검토 06. 지반개량 시험 시공 07. 지반개량 본 시공 08. 지반개량 계측관리 09. 지반개량 확인평가 10. 지반개량 유지관리

03.

포장

01. 포장 설계도서 검토 02. 포장 현장여건 조사 03. 공급원 선정 04. 포장 시공 계획수립

05. 연성재료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06. 강성재료포장(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07. 특수포장

08. 포장 품질검사

04.

수중구조물시공

01. 수중구조물 도면파악 02. 수중구조물 현장안전 03. 수중구조물 현장조사 04. 수중구조물 시공계획 수립 05. 수중구조물 시공준비 06. 수중구조물 가시설시공 07. 수중구조물 기초시공 08. 수중구조물 본체 시공 09. 수중구조물 유지관리

05.

삭도시공

01. 삭도시공 도면파악 02. 삭도시공 현장안전 03. 삭도 시공계획 수립 04. 기초 구조물 시공 05. 철탑 설치

(43)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6. 기계 설치

07. 와이어 로프 설치 08. 운반기구 설치 09. 가동 검사 10. 삭도 유지관리

06.

궤도시공

01. 공사 계획 02. 레일 용접

03. 자갈도상 궤도 부설 04. 콘크리트도상 궤도 부설 05. 분기기 부설

06. 부대 공사 07. 검사·준공 08. 궤도공사 안전관리 09. 궤도장비 운용

07.

상하수도시공

01. 도면검토 02. 시공관리계획 03. 현장조사 04. 설계도서검토 05. 상하수도 자재관리 06. 상하수도 시설공사 07. 상하수도 관로공사 08. 시공검사

08.

보링그라우팅

01. 보링그라우팅 도면파악 02. 보링그라우팅 현장안전 03. 보링그라우팅 현장조사 04. 보링그라우팅 현장분석 05. 보링그라우팅 공법검토선정 06. 보링그라우팅 시공계획 수립 07. 보링그라우팅 시공관리 08. 보링그라우팅 현장관리 09. 보링그라우팅 계측관리

09.

01. 철강재시공 도면파악 02. 철강재시공 현장안전

(44)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5. 강재 자재관리 06. 강재 가공 07. 가설구조물 설치 08. 강재 설치 09. 강구조물 검사

10.

준설

01. 준설 도면파악 02. 준설 현장안전 03. 준설 기초자료 조사 04. 준설 현지조사 05. 준설설계 06. 준설 시행 07. 준설토운반 08. 투기장관리

11.

석축

01. 석축 도면파악 02. 석축 현장안전

03. 석축공사 시공계획 수립 04. 석재 가공

05. 작업 준비 06. 메쌓기 07. 찰쌓기 08. 기타 돌쌓기 09. 마감현장정리 10. 검사유지보수

03.

측량·

지리정보개발 01.

지적

01. 지적기준점측량 02. 세부측량 03. 지적재조사 04. 지적확정 05. 축적변경 06. 성과검사 07. 지변변경 08. 토지등록 09. 지적공부 관리 10. 토지이동정리 11. 지적공부 시스템 관리 12. 국토정보조사

(45)

나. 토목 산업의 동향

산업 현황

◦ 한국엔지니어링협회에서 발간한 엔지니어링 경기실사지수(EBSI) 보고서에 따르 면, 2015년 4/4분기 업황EBSI는 63.1로 2015년 3/4분기 대비 1.0p 증가하였고,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2.

측량

01. 평면기준점측량 02. 수준점측량 03. 지상현황측량 04. 항공사진측량 05. 수치지도제작 06. 수치표고자료구축 07. 노선측량 08. 하천측량 09. 연안조사측량 10. 용지측량 11. 시공측량 12. 지하시설물측량 13. 시설물 안전관리측량

03.

공간정보구축

01. 공간정보 위치결정 02. 공간현황측량 03. 지하공간정보측량 04. 수치사진측량 05. 공간고도자료 제작 06. 공간영상지도 제작 07. 수치지도DB구축 08. 재난재해 공간정보 제작 09. 국토변화 모니터링 10. 3차원 모델링 04.

공간정보융합 서비스

2015년 신규개발

(46)

◦ 매출현황, 수주사정, 인력사정, 자금 상황 등 산업경기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못한 상황.

◦ 2015년 4/4분기 엔지니어링 기업실사지수는 다음 <표 Ⅱ-2>와 같음.

<표 Ⅱ-2> 2015년 4/4분기 엔지니어링 기업실사지수

EBSI = {(긍정적 응답업체 수-부정적 응답업체 수)/전체 응답업체 수} x 100 +100

* EBSI는 긍정적인 응답업체 수와 부정적인 응답업체 수가 같으면 100

* EBSI가 100을 초과하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 수가, 100미만이면 부정적으로 응답한 업체 수 가 더 많음을 의미

산업 동향

◦ 국내 시장의 불안정성이 높게 예측되지만 적극적인 해외 시장의 개척 노력을 통해 성장 노력 중이며, 한국기업들의 해외진출 추세는 1980년대까지 토목과 건축 중심 으로 이루어지다가 2000년대 들어 플랜트 중심으로 확장해 가는 중.

◦ 수년간 계속된 고유가 행진에 따라 중동 산유국들의 플랜트시설 발주 물량이 증가 하고 있으며, 동남아 국가를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가의 인프라 개발과 주택 건설 붐은 아시아 지역의 건설 투자를 확대시키고 있음.

◦ 특히 중동을 비롯한 산유국들과 싱가포르, 태국, 인도,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은 향 후에도 플랜트와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어서 성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 로 보임13).

업황 매출현황 수주사정 인력사정 자금상황 채산성

업황 총 매출

관련 매출

전체 수주

국내 수주

해외 수주

인력 전체

기술 인력

인건비 증감

자금

사정 수금 채산성 16년

1분기 전망

63.1 78.4 74.1 72.5 69.3 75.0 81.1 74.4 64.7 80.1 82.5 77.1

15년 4분기

실적

63.1 83.3 79.5 71.2 69.0 74.0 77.1 71.2 65.2 77.6 87.3 75.2

15년 3분기

실적

62.1 79.2 76.0 74.3 68.3 67.7 82.1 76.1 60.5 74.8 93.0 70.8

(47)

◦ Global Insight에 따르면 2014년 세계건설시장 규모는 2013년 보다 9.1% 성장하 여 10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4~5%의 다소 완만 한 성장세를 보여, 앞으로 20년 후인 2035년 무렵에는 약 70조 달러에 이를 것으 로 예측됨14).

◦ OECD Infrastructure for 2030, Global Construction Perspectives and Oxford Economics: Global Construction 2025, Global Insight, ENR 등에 의하면 향후 Global Infrastructure 시장은 개도국의 경제 규모 확대로 인한 Infrastructure 수요 증대로 인해 2015년까지는 연평균 4.8%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15)되며, Global Insight가 전망한 2013년 대비 2022년 세계 인프라 시장 규모는 다음 [그 림 Ⅱ-1]과 같음.

[그림 Ⅱ-1] 2013년 대비 2022년 세계 인프라 시장 규모

(48)

다. 토목 산업 전망

고용 전망

◦ 향후 10년간 대졸 321천명, 전문대졸 471천명 등 대졸과 전문대졸을 합한 792천 명의 인력이 노동시장의 수요를 초과하여 공급될 것으로 전망16).

◦ 구인 인력수요는 완만한 경제성장 등으로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특히 공학계열, 사회계열의 수요가 크게 발생.

◦ 대학의 전공을 세분화해서 보면, 경영·경제, 중등교육, 사회과학 등은 초과공급, 기 계·금속, 전기·전자, 건축, 화공, 농림·수산, 토목·도시 등은 초과수요로 전망.

◦ 토목을 포함한 대학의 초과수요 상위 10개 전공은 다음 [그림 Ⅱ-2]와 같음.

[그림 Ⅱ-2] 대학-초과수요 상위 10개 전공

(49)

세계 시장 전망

◦ 2008~2012년 지역별 연평균 성장률 (CACR)을 통하여 추정치를 계산하고, 이를 적용하여 각 지역별로 2013년 이후 향후 5년간 매출액 기준으로 시장규모를 추정 한 결과, 연평균 성장률은 8.07%이며 특히 중남미 지역 매출액이 17.70%로 높게 나타남.

◦ 세계 엔지니어링 수출시장에 대한 추정 매출액은 다음 <표 Ⅱ-3>과 같음.

<표 Ⅱ-3> 세계 엔지니어링 수출시장 매출액 추정

(단위: 백만달러, %)

구분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미국 캐나다 중남미 총계

‘08 금액 9,562 10,807 3,545 13,375 6,324 5,810 3,176.2 52,603

‘12 금액 9,769 18,009 5,210 15,462 7,535 9,673 6,097.1 71,757

‘13 금액 9,822 20,461 5,736 16,032 7,872 10,988 7,176.4 78,090 비중 12.58% 26.20% 7.35% 20.53% 10.08% 14.07% 9.19% 100%

‘14 금액 9,874 23,248 6,315 16,624 8,224 12,482 8,446.8 85,217 비중 11.59% 27.28% 7.41% 19.51% 9.65% 14.65% 9.91% 100%

‘15 금액 9,927 26,414 6,953 17,238 8,592 14,179 9,942.0 93,247 비중 10.56% 28.33% 7.46% 18.49% 9.21% 15.21% 10.66% 100%

‘16 금액 9,981 30,011 7,655 17,874 8,977 16,106 11,701.9 102,308 비중 9.76% 29.33% 7.48% 17.47% 8.77% 15.74% 11.44% 100%

‘17 금액 10,034 34,098 8,429 18,533 9,378 18,295 13,773.4 112,543 비중 9.92% 30.30% 7.49% 16.47% 8.33% 16.26% 12.24% 100%

연평균

성장률 0.54% 13.62% 10.10% 3.69% 4.47% 13.59% 17.70% 8.07%

(출처: 엔지니어링백서 2013)

(50)

라. 토목 분야 산업계관점 요구조사 필요성

토목 업계가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작업의 필요성

◦ 2012년 기 분석된 토목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토목 업계에 서 필요로 하는 학부출신 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역량의 종류 및 수준에 대한 최신 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 인력양성과 산업현장 간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목 산업의 기초인력에 대한 요구를 전달하고, 토목 관련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 점검 및 개선에 도움을 주 기 위해 요구분석 실시.

마. 토목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기준

◦ 산업계 요구분석은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 의’를 바탕으로 ‘전문직무역량 및 필수함양수준’과 ‘교과목 목록 및 중요도’를 도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토목 분야 요구분석에서는 ‘사업기획, 설계(엔지니어링)/시공, 시설물관리, 건설사 업관리’ 등 4개의 직무군을 기준으로 세부내용을 분석하였음.

◦ 이번 요구분석에서는 토목 분야에 취업하여 직무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기본 지식 및 역량을 제시하고 더불어 토목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개설되거나 또 는 수강하도록 권장되어야 하는 교과목을 제시하고자 함.

(51)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에 대한 요구분석결과

◦ 토목 분야의 직무는 ‘사업기획, 설계(엔지니어링)/시공, 시설물관리, 건설사업관리’

등 4개의 직무군으로 분석함.

◦‘사업기획’은 ‘기획, 개발’, ‘설계(엔지니어링)/시공’은 ‘일반공통, 구조/교량, 지반/

터널, 도로/공항, 철도, 해양/항만, 수리/수문, 환경/상하수도, 지형정보, 도시/단 지, 플랜트토목, 시공, 연구개발’, ‘시설물관리’는 ‘유지관리, 이력관리’, ‘건설사업 관리’는 ‘원가·공정·품질·계약·안전관리’ 등의 직무단위로 분석함.

◦ 토목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무단위와 상세내용에 대한 분석은 <표 Ⅱ-4>

와 같음.

<표 Ⅱ-4> 직무단위 구분 및 직무상세내용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사업기획 기획

사업계획수립

– 목표수립 – 수주정보관리 – 수주전략기획

– 내부 조직간 사안 조정

사업성 분석

– 실행예산 분석 – 생산성 분석 – 리스크 분석

경영시스템 기획

– 비전 제시 – 손익 분석 – 성과 관리 – 인적 관리 – 협력사 관리

교육시스템 기획

– 직무 교육 – 계층별 교육 – 사례분석 교육

(52)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 해외인력 연수

– 기업브랜드 가치 제고

개발

신사업 사전조사

– 사업환경 분석 – 해외사례 분석 – 법률 분석 – 수익성 분석

제안형 PF사업 개발

– 민자사업 – Turn Key – 대안입찰 – 기술제안사업

민간사업 개발

– 민간고객 needs분석 – 사업타당성 분석 – 고객지원

해외사업 개발

– 해외시장 동향 분석 – 해외협력사 MOU – 해외지사 설립 – 국가별 법률 분석 – Pre F/S – F/S

– 국가별 설계 및 시방 기준 분석

연구 개발

– 기술동향 분석

– 신기술 및 특허 시장 현황 조사 – 현장 적용성 분석

설계(엔지 니어링)/

시공

일반공통 조사업무

– 사전조사 • 지형조사

• 지질 및 토질조사 • 교통량 및 수요조사 • 수리/수문조사 • 기상조사 • 지장물조사

• 재료수급과 관련된 조사 – 시공조건과 관련된 조사

• 교통량 조사 및 주변 교통 처리 계획 • 하천관련 조사

• 도로/철도 및 인력, 자재수급 관련 조사 • 지하매설물 조사

(53)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 장비관련 조사

평가업무

– 환경영향평가 – 재해영향평가 – 교통영향평가 – 사회영향평가

설계/시공업무

– 설계

• 예비타당성 및 타당성 조사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및 설계 VE • 설계성과품 작성 – 시공

• 설계내용검토 및 시공계획서 작성 • 품질관리계획서 작성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 공정관리계획서 작성 • 환경관리계획서 작성 • 현장설계 및 시공 VE • 시공

BIM 및 패키지 프로그램 활용

– 프로그래밍 – 해석프로그램 활용 – BIM 활용

구조/교량

구조물

– 구조물 계획 및 시공

– 옹벽 및 Box Culvert 설계 및 시공 – 지하구조물 설계 및 시공

– 지상구조물 설계 및 시공 – 흙막이/가시설 설계 및 시공 – 부대구조물 설계 및 시공 – 내구성설계 및 시공 – 내진설계 및 시공

교량

– 교량계획 및 시공 – 상부구조물 설계 및 시공 – 하부구조물 설계 및 시공

참조

관련 문서

산업체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개선 실적 또한 평균 3.5점으로 개선실적이 있 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산업계 경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좀 더 보완할

◦ 일부 대학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전임 교수에 대한 산업체 경력자 비율이 낮은 이유 는 업체 경력 보다는 강의 경력 및 논문 실적 등을 우선시 하는 전임 교수의 일반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와 실제 대학졸업자의 보유 역량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가장 심한 영역은 원가 관리와 건축 관련 법규의 이해 등으로 향후 이 분야에 대학 교육

문서작성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가 뜻한 바를 글로 나타내는 능력 경청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 대학에서 산업계 요구 교과목의 운영 중요도 개선을 위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 목 개설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수강을 독려할 수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