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품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식품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 10 - 2 93 9

20 14년산업계관점대학평가식품분야요구분석결과종합보고서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식품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INDUSTRY PERSPECTIVE EV ALUA TION

FOOD INDUSTRY

(2)
(3)

요 구 분 석

위 원

강정일 김영경 안창원 임정훈 오원택 정귀화 정재철 이효순 김지연

(주)풀무원홀딩스 상무보 (주)아모레퍼시픽 수석연구원 (주)농심 R&D센터 부장 롯데중앙연구소 연구전략부문장 푸드원텍 대표이사

샘표식품(주) 연구개발팀장 (주)노바렉스 상무이사

한국식품산업협회 인력양성팀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요 구 분 석 협 력 관

이석구 김신아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식품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이 국가 경제발전을 단기간 내에 급속도로 발전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역사상 단시일 내에 가장 급 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역할 변인 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분석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인 중의 하나로 교육 요인을 드는 데에는 대부분 주저하지 않는 듯하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대학교육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특별히 부각시킨 긍정적 시각이다.

반면, 산업계의 시각은 좀 다르다. 대학교육을 통해 배출한 인력이 대학을 졸업하고 산업체에 취업하여 산업현장에 투입될 경우, 대학 교육과정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제 수행역량간의 불일치로 인해, 산업체가 재교육을 위해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소요비용이 연간 2조원이 넘는다는 주장이 산업체 관계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사실 대학교육의 내용과 산업현장의 업무수행 역량간 차이에 대한 산업계의 문제제기는 한편으로는 대학 교육 전체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대학교육 한계 론의 근거가 되고 있기도 하다.

대학교육의 효과 및 성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와 분석이 가능하다. 그 중 에서도 특히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대학평가라는 점에서 기존 의 대학평가와는 차별화된다. 우리나라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특히 이러한 국가 경제 발전의 배경 속에서 세계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대학평가의 새로운 접근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산업화 시대에는 뜨거운 교육열과 뚝심 그리고 주어진 지식과 기술을 열심히 학 습하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시대였다. 하지만, 창의력에 기반한 지식정보화 시대에 직면하여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변모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안 된 다. 특히 무한경쟁시대의 도래, 출산율 감소에 따른 대학신입생 급감, 반값등록금 정책 요인 등은 대학의 존폐위기를 가름할 심각한 요인들이며, 앞으로 수년 내에 직면하게 될 급박한 대학위기 현실 예측의 주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등교육환경 변화와 위기에 대처하고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계가 요구하는 목소리에도 겸허히 귀를 기울일 필요는 매우 크다.

(6)

는 요구분석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간하게 되었다. 이 보고서가 산업계의 관점을 반 영하여 대학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혁신하는데 큰 기여가 되리라 확신하며, 또한 대학사 회에 바람직하게 정착되고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아무쪼록, 산업계관점 대학평가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재정 지원과 행정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주시는 교육부와 기획재정부에 감사드리며, 힘들고 어려운 평가 준 비의 고통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대학관계자 여러분께 한없는 고마움을 드린다. 아울러 대교협 서동석 팀장을 비롯한 곽진영, 김신아, 배정연 담당 직원들의 노 고에 격려와 함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2015.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서 민 원 원장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7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4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0

❙제2장❙

식품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5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35

3. 요약 및 제언 ··· 60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7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 12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 13

<표 Ⅰ-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15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 16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 18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19

<표 Ⅱ-1> 식품 산업 분류 체계 ··· 26

<표 Ⅱ-2> 국내 식품 시장 현황 ··· 31

<표 Ⅱ-3> 식품 직업 인력수요 전망 ··· 33

<표 Ⅱ-4> 직무단위 구분 및 직무상세내용 ··· 35

<표 Ⅱ-5>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 39

<표 Ⅱ-6> 전문직무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 49

<표 Ⅱ-7> 필수역량별 관련 교과목과 중요도 ··· 55

<표 Ⅱ-8> 일반직무역량의 종류 및 중요도 ··· 57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11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 21

[그림 Ⅱ-1] 국내 식품 시장 규모 ··· 31

[그림 Ⅱ-2] 식품 산업 종사자 현황 ··· 32

[그림 Ⅱ-3] 산업별 종사자 비중 ··· 33

(10)
(11)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제 1

(12)
(13)

제 1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지식경제 더 나아가 창조경제 사회로의 전환기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매우 빠른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 (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14)

◦ 후발국(중국) : 대학 초고속 팽창, 구조조정 병행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 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 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양적풍요 속의 질적 빈곤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만족스러운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음

◦ 양적 측면 :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2012년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인 약 80%에 달하 며, 이는 미국 60%, 일본 50%, 유럽 40%, OECD 평균 56%와 비교하여도 높은 수 준임

◦ 2014년 현재 총 433개의 고등교육기관에 약 213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1)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 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1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산업대) 교수 1인당 평균 학생수 36.4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7.3명), 중학교(17.3명), 고등학교 (14.8명)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2) OECD 평균 (전문대, 대학, 대학원을 포 함) 고등교육 영역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5.6에 비해 2배이상 많은 수임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1) 교육통계서비스, 2014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index

2) 교육통계서비스, 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1), 학교급별 초중고등학교 현황(지역별 2011).

(15)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 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 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0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 가 58개국 중 46위로 나타남.3) 2014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6위로 전년보다 다소 하락되었음.4)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대학경쟁력은 계속 중위권(IMD 2007년 조사: 55개국 중 31위, 교육부문 전체는 29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4년 서울대 31위, 카 이스트 51위 포항공대 86위)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3) http://epic.kdi.re.kr/epic_attach/2010/R1005318

4) 2014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및 분석 관련 보도참고자료, 기획재정부, 2014.5.

5)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4/2015 RESULTS.

(16)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17)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7개 산업 분야)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기업의 신입직원 채용 시 활용, 대입 수험생의 대학지원 정보로 활용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 대학 경쟁력 증 대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 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8)

일 자 추 진 내 용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 와 1개 분야(게임 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임 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

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3. 1. ’12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 (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

바이오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 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시범) 5 개 분야) 선정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 위원회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1)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 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 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 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 수) 등 30인 내외

(22)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이승복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이호승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강성천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산업계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주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김판중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 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 석위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5년 4월 기준)

(23)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김기혁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서민원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5년 4월 기준)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김일수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장 장보영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김홍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이현조

산업계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복지팀장 이철행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한국무역협회 글로벌연수실장 김병유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소한섭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1팀장 하상우

한국바이오협회 인재개발실장 손지호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산업육성본부장 장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장준호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이희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찬화

연세대학교 교수 장원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관리팀장 서동석

(24)

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평가주기 연장 및 다년도 평가로 개선

◦ ’14년은 3주기 평가가 시작하는 해로 기존 2년(’12~’13년) 주기 평가에서 4년 (’14~’17년) 주기 평가로 시행

‒ 실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물리적 시간 반영 및 잦은 평가로 인한 대학의 부 담 경감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 육과정을 개선한 후 평가

산업계 요구와 대학 교육과정 운영 간의 불일치 해소

◦ 관련 산업 분야 대기업, 중소기업의 임직원으로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를 구성하 여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 및 교육과정 도출

◦ 산업계의 요구와 대학 교육과정이 일치하는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대학에 제 공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개선을 통한 평가신뢰도 및 타당성 제고

◦ 2주기 평가지표를 개선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평가지표를 보 완 및 신설하여 추진

평가・요구분석 분야 확대 및 세분화

◦ 인문사회 분야 등 비이공계 분야에 대한 요구분석 실시

◦ 다양한 산업계 요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원 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으로 생명공 학 관련 바이오의약 분야 시범 실시

◦ 기업 규모별 차별화된 요구분석 내용이 필요한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이한 요구를 세분화하여 분석 기획 또는 요구분석 위원 구성에 반영

(25)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별 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 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 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하 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표 Ⅰ-4>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구 분 내 용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 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시범) 5개 분 야) 선정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 원회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 운영위원회

‒ 1차 2014. 9. 2. 서면심의 : 2014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5. 4. 3. 서울 중구(달개비) : 2014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승인, 차년도 평가지표 및 평가 분야 검토

◦ 실무위원회

‒ 1차 2014. 7 30. 서울역(티원) : 2014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4. 3. 27. 서울 중구(달개비) : 2014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26)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환경 1차: ’13년 1월 22일 2차: 2월 5일 3차: 2월 19일

1차: ‘15년 1월 8일 2차: 1월 9일 3차: 1월 10일 4차: 1월 13일 5차: 1월 15일

두산건설 ,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에너지

1차: ’13년 1월 15일 2차: 1월 23일 3차: 2월 1, 7, 12일

4차: 2월 28일

1차: ‘15년 1월 8일 2차: 1월 9일

LG전자, LS산전, 한국그런포스펌프(전 삼성물산), 한국석유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바이오 의약

1차: ’13년 7월 8일 2차: 7월 23일 3차: 7월 31일 4차: 8월 13일

1차: ‘15년 1월 9일 2차: 1월 10일 3차: 1월 13일

한미약품, 펜젠, 유한양행, 녹십자, 삼성SDS(전 안국약품), 대웅제약, 종근당,

CJ제일제당

바이오 의료기기

1차: ’13년 8월 2일 2차: 8월 23일

3차: 9월 5일 4차: 10월 11일

1차: ‘15년 1월 10일

2차: 1월 15일 삼성전자, 오스템임플란트, 씨유메디컬, 오스테오시스(전 바이오넷), 태웅메디컬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지표 및 평가 분야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5회 (2014. 9~2014. 12), 대학 협력위원회 4회(2014. 9 ~ 2014 .12)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4. 9. 12. 서울 중구(바비엥)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환경 27개교, 에너지 3개교, 바이오의약 18개교, 바이오의료기기 3개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4. 11. 5. 대우재단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7)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2015년 사업 기간 예정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전 현대하이스코), 한국철강협회(전 동국제강,

전 휴스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 LG디스플레이, LS

Nikko 인하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인드, 크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텐츠아카데미, ㈜몬스터스마일,

㈜미스터탐커뮤티케이션즈,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호서대학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브, CJ헬로비전, 애드리치, MBC,

경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롯데중앙연구소, 풀무원, 농심, 푸드원텍, 노바렉스, 아모레퍼시픽, 샘표식품, 한국식품산업협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바이오의약 (대학원시범)

1차: ‘14년 9월 12일 2차: 10월 1일 3차: 10월 29일 4차: 11월 26일

한미약품, 팬젠, 유한양행, 녹십자, 삼성SDS(전 안국약품), 대웅제약, 종근당,

CJ제일제당, 고려대학교

※ 대학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대학원 과정은 요구분석만 시범적으로 실시

◦ 대학 간담회

‒ 1차 2015. 4. 22. 대전역 회의실(창의실) : 충청・호남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2차 2015. 4. 23. 부산역 회의실(동백섬) : 부산・경상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3차 2015. 4. 24. 서울 중구(만복림) : 서울・경기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담당 자를 대상으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활용방안 및 2015년 사업 개선안 경청

◦ 20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5. 4. 10. 서울 양재(엘타워)

(28)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

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관리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 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장),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 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 (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장), 한국공학교육 인증원(단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 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 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 인 내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 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 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 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 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내용 : 조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자료집 배포, 평가결과 종합보고 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조율, 한국대학교육협의 회 평가 실무 총괄

평가: 기업체 부사장, 관련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주체, 경제5단체, 산업별 협력위원회(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Sector Council) 등) 협조 및 지원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29)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라.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대학

’14년 평가대상 산업 분야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구분 산업 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평가

환경 환경공학과 등 ’12년

에너지 에너지공학과 등 요구분석

바이오의약 생명공학과, 생명과학과 ’13년

바이오의료기기 의공학과 등 요구분석

요구 분석

금속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

게임 컴퓨터공학과, 게임공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광고홍보학과, 언론홍보학과

바이오의약 생명공학과, 생명과학과 등 대학원 시범

◦ 산업 분야 선정 근거6)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분 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 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산업 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주기별 평가 시행방안 연구(오환섭 외, 2012)> 등을 참고

(30)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 관성이 높은 산업7) 선정

‒ 산업 비전: 미래 유망 산업 분야8) 등 고려

‒ 정부 선정: 미래전략산업 중 BT 관련 산업인 ‘바이오’ 및 비이공계 분야로 ‘미 디어’ 등 추진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 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어

7)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2011 8) 「경제・산업 전망」, 산업경제원, 2012

(31)

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 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 관련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 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도출

(32)
(33)

식품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제 2

(34)
(35)

제 2 식품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식품 산업의 정의 및 분류9)

식품 산업의 정의

◦ 식품을 생산하거나 수입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모든 구성 주체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산업으로 ‘식품을 생산, 가공, 조리, 포장, 수송 또는 판매’하는 산업.10)

식품 산업의 분류(ATFIS11), 2015)

◦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는 통계청 한국표준 산업분류(KSIC)에 근거하여 농업, 식 품제조업, 외식업, 식품유통업을 기준으로 식품산업에 대한 전반적 분류를 명시함.

◦ 식품 산업의 분류는 중・소・세・세세분류로 구분하여 식품의 제조에서부터 유통 및 판매까지 전 범위를 다루고 있으며, 중분류 8, 소분류 23, 세분류 53, 세세분류 127개로 구성됨.

◦ 식품 산업 분류의 세부 내용은 다음 <표 Ⅱ-1>과 같음.

9) 식품산업의 지역별 발전 현황과 산업생태계 육성방안, 산업연구원, 2013.

10)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 11) 식품산업통계정보

(36)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01 농업

011 작물재배업

0111 곡물 및 기타

식량작물 재배업 01110 곡물 및 기타 식량작물 재배업

0112 채소, 화훼작물 및 종묘재배업

01121 채소작물 재배업 01122 화훼작물 재배업 01123 종자 및 묘목 생산업 0113 과실, 음료용 및

향신용 작물 재배업

01131 과실작물 재배업

01132 음료용 및 향신용 작물 재배업 0114 기타 작물 재배업 01140 기타 작물 재배업

0115 시설작물 재배업

01151 콩나물 재배업

01152 채소, 화훼 및 과실작물 시설 재배업 01159 기타 시설작물 재배업

012 축산업

0121 소 사육업 01211 젖소 사육업 01212 육우 사육업 0122 양돈업 01220 양돈업 0123 가금류 및 조류

사육업

01231 양계업

01239 기타 가금류 및 조류 사육업

0129 기타 축산업 01291 말 및 양 사육업 01299 그외 기타 축산업 013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0130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01300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014 작물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

0141 작물재배 관련 서비스업

01411 작물재배 지원 서비스업

01412 농산물 건조, 선별 및 기타 수확후 서비스업

0142 축산 관련 서비스업 01420 축산 관련 서비스업 015 수렵 및 관련

서비스업 0150 수렵 관련 서비스업 01500 수렵 및 관련 서비스업

02 임업 020 임업

0201 영림업 02011 임업용 종묘 생산업 02012 육림업

0202 벌목업 02020 벌목업 0203 임산물 채취업 02030 임산물 채취업

<표 Ⅱ-1> 식품 산업 분류 체계

(37)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0204 임업 관련 서비스업 02040 임업 관련 서비스업

03 어업

031 어로 어업 0311 해면 어업 03111 원양 어업 03112 연근해 어업 0312 내수면 어업 03112 내수면 어업

032 양식어업 및 어업관련 서비스업

0321 양식 어업

03211 해면 양식 어업 03212 내수면 양식 어업

03213 수산물 부화 및 종묘 생산업 0322 어업 관련 서비스업 03220 어업 관련 서비스업

10 식료품 제조업

101 도축육류 가공 및 저장처리업

1011 도축업 10110 도축업 1012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121 가금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129 기타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2 수산물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21 수산동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211 수산동물 훈제, 조리 및 유사 조제 식품 제조업

10212 수산동물 건조 및 염장품 제조업 10213 수산동물 냉동품 제조업 10219 기타 수산동물 가공 및 저장처리업 1022 수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220 수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3 과실, 채소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30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301 과실 및 채소 절임식품 제조업 10309 기타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4 동물성 및 식물성유지 제조업

1040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10401 동물성 유지 제조업 10402 식물성 유지 제조업

10403 식용 정제유 및 가공유 제조업

105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

1050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

10501 액상시유 및 기타 낙농제품 제조업 10502 아이스크림 및 기타 식용빙과류 제조업

106 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1061 곡물 가공품 제조업

10611 곡물 도정업 10612 곡물 제분업

10613 제과용 혼합분말 및 반죽 제조업 10619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

(38)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1062 전분제품 및 당류

제조업 10620 전분제품 및 당류 제조업

107 기타 식품제조업

1071 떡, 빵 및 과자류 제조업

10711 떡류 제조업 10712 빵류 제조업

10713 코코아 제품 및 과자류 제조업 1072 설탕 제조업 10720 설탕 제조업

1073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 10730 면류, 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

1074 조미료 및 식품 첨가물 제조업

10741 식초, 발효 및 화학조미료 제조업 10742 천연 및 혼합조제 조미료 제조업 10743 장류 제조업

10749 기타 식품 첨가물 제조업

1079 기타 식료품 제조업

10791 커피 가공업 10792 차류 가공업

10793 수프 및 균질화식품 제조업 10794 두부 및 유사식품 제조업 10795 인삼식품 제조업

10796 건강보조용 액화 식품 제조업 10797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10798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 제조업 10799 그외 기타 식료품 제조업

11 음료제조

111 알콜음료 제조업

1111 발효주 제조업

11111 탁주 및 약주 제조업 11112 청주 제조업 11113 맥아 및 맥주 제조업 11119 기타 발효주 제조업

1112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

11121 주정 제조업 11122 소주 제조업

11129 기타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

112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

1120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

11201 얼음 제조업 11202 생수 제조업

11209 기타 비알콜음료 제조업

(39)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56 음식점 및 주점

561 음식점업

5611 일반 음식점업

56111 한식 음식점업 56112 중식 음식점업 56113 일식 음식점업 56114 서양식 음식점업 56119 기타 외국식 음식점업 5612 기관구내식당업 56120 기관구내식당업

5613 출장 및 이동 음식업 56131 출장 음식 서비스업 56132 이동 음식업

5619 기타 음식점업

56191 제과점업

56192 피자, 햄버거, 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

56193 치킨 전문점 56194 분식 및 김밥 전문점 56199 그외 기타 음식점업

562 주점 및 비알콜음료점업

5621 주점업

56211 일반유흥 주점업 56212 무도유흥 주점업 56219 기타 주점업 5622 비알콜 음료점업 56220 비알콜 음료점업

46 도매 및 상품 중개업

462 산업용 농축산물 및 산동물 도매업

4620 산업용 농축산물 및

산동물 도매업 46201 곡물 도매업

463 음・식료품 및 담배도매업

4631 비가공 식품 도매업

46311 과실 및 채소 도매업 46312 육류 도매업 46313 수산물 도매업

46319 기타 비가공 식품 도매업

4632 가공식품 도매업

46321 육류 가공식품 도매업 46322 수산물 가공식품 도매업 46323 빵 및 과자 도매업 46324 낙농품 도매업 46329 기타 가공식품 도매업

(40)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4633 음료 및 담배 도매업

46331 주류 도매업 46332 비알콜음료 도매업 46333 담배 도매업

47 소매업

471 종합소매업

4711 대형 종합 소매업 47111 백화점

47119 기타 대형 종합 소매업

4712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

47121 슈퍼마켓 47122 체인화 편의점

47129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 4719 그외 기타 종합

소매업 47190 그외 기타 종합 소매업

472 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

4721 식료품 소매업

47211 곡물 소매업 47212 육류 소매업 47213 수산물 소매업 47214 과실 및 채소 소매업 47215 빵 및 과자류 소매업 47216 건강보조식품 소매업 47219 기타 식료품 소매업

4722 음료 및 담배 소매업 47221 음료 소매업 47222 담배 소매업

나. 식품 산업의 동향

식품 산업 규모

◦ 2012년 국내 식품제조업의 시장규모는 49조 7,587억 원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5.2%의 성장률을 나타냄.

◦ 국내 식품 시장 현황은 다음 <표 Ⅱ-2>과 같음.

◦ 외식업을 포함한 식품시장규모는 11년 기준 143.7조원으로, ‘07년에서 ’11년 사이 의 연평균성장률은 8.5%로 양적인 측면에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냄12)

12) 식품산업 인력수급 전망 및 교육수요연구,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 2014

(41)

◦ 외식업을 포함한 국내 식품 시장 규모는 다음 [그림 Ⅱ-1]과 같음.

<표 Ⅱ-2> 국내 식품 시장 현황13)

(단위: 백만원, %)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연평균성장률

(2008-2012) 생산 36,649,627 40,408,833 34,548,230 40,318,186 43,478,331 4.4 수출 2,557,852 2,589,076 2,966,831 3,571,062 3,771,553 10.2 수입 6,472,566 6,719,512 7,425,710 8,970,489 10,052,019 11.6 무역수지 -3,914,714 -4,130,437 -4,458,879 -5,399,428 -6,280,467 12.5 시장규모 40,564,341 44,539,270 39,007,109 45,717,614 49,758,798 5.2 주: 1) 시장규모는 생산-수출+수입

2) 무역수지는 수출-수입, △는 적자를 나타냄

3) 수출입액은 한국은행 원/달러 연평균환율을 적용하여 계산함

4) 식품=식품(축산물가공식품 포함)+건강기능식품+식품첨가물+기구・용기・포장 * 2010년부터 식품 생간에는 축산물가공품 제외

[그림 Ⅱ-1] 국내 식품 시장 규모

13) 2013년 식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

(42)

다. 식품 산업 전망14)

고용 동향

◦ 식품산업 종사자 수는 11년 기준 1.9백만 명으로 연평균 2%대 증가가 지속됨.

◦ 식품산업 종사자는 전 산업종사자의 10.9%를 차지하며, 단일 산업으로는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식품 산업 종사자 현황은 [그림 Ⅱ-2], 산업별 종사자 비중은 다음 [그림 Ⅱ-3]과 같음.

[그림 Ⅱ-2] 식품 산업 종사자 현황

14) 식품산업 수요에 기반한 인력양성 목표 설정을 위한 식품산업 인력수급 전망 및 교육수요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4.

(43)

[그림 Ⅱ-3] 산업별 종사자 비중

인력 전망

◦ 13년 이후 5개년간 식품제조업 5.9천명, 외식업 157.0천명 등 총 162.8천명의 신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식품제조 부문 1.2천명, 외식부문 31.2천명 등 32.5천명의 신규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식품 직업 인력수요 전망의 세부 내용은 <표 Ⅱ-3>과 같음.

<표 Ⅱ-3> 식품 직업 인력수요 전망

(단위: 천명, %)

구분 ’10 ’13(E) ’14(E) ’15(E) ’16(E) ’17(E) ’18(E) ’13~’18년 증감 CAGR 식품

제조업 278.7 293.7 294.9 295.9 297.3 298.5 299.7 5.9 0.4%

외식업 1,609.1 1,731.0 1,760.2 1,790.4 1,822.6 1,854.8 1,888.0 157.0 1.8%

소계 1,887.8 2,024.8 2,056.7 2,087.3 2,127.2 2,156.8 2,187.7 162.8 1.6%

(44)

라. 식품 분야 산업계관점 요구조사 필요성

식품 업계가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작업의 필요성

◦ 식품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학부출신 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역량의 종류 및 수준에 대한 사전 연구 및 기초자료 부재로 인해 대학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 수 없 는 실정.

◦ 인력양성과 산업현장 간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 산업의 기초인력에 대한 요구를 전달하고, 식품 관련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 점검 및 개선에 도움을 주 기 위해 요구분석 실시.

마. 식품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기준

◦ 산업계 요구분석은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 의’를 바탕으로 ‘전문직무역량 및 필수함양수준’과 ‘교과목 목록 및 중요도’를 도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식품 분야 요구분석에서는 ‘연구, 생산, 품질・안전관리’의 3가지 직무군을 기준으 로 세부내용을 분석함. 식품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 비추어 볼 때, ‘영양학’과 관련된 내용이 다소 빠져있음. 이는 식품영양학과의 교육과정이 식품산업계로의 진출에 부적절하다는 것이 아니라 영양학과의 교육과정에 이번 요구 분석의 내용이 추가된다면, 졸업생들의 진로선택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함.

◦ 이번 요구분석에서는 식품 분야에 취업하여 직무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기본 지식 및 역량을 제시하고 더불어 식품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개설되거나 또 는 수강하도록 권장되어야 하는 교과목을 제시하고자 함.

(45)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연구

연구개발 기획

연구 전략수립 – 시장분석, 기술동향분석, 내부역량분석을 바탕으로 중・장기 연 구전략 수립 및 기술로드맵 작성, 연간 연구계획 수립 연구 과제평가 – 연구계획서 평가, 연구결과의 평가

연구방법론 연구 –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탐색 및 교육 연구지원 – 연구 인적자원 관리, 연구 물적자원 관리, 연구장비의 구입 및 유

지, 연구비용의 회계처리, 연구시설 안전관리 등

기초연구 (효능검증

등)

관능검사 – 외관, 향, 맛, 텍스쳐 연구(객관적 관능평가, 소비자 기호도) 안정/안전성 평가 – 안정성 검증: 화학적, 물리적, 미생물적 안정성 평가

– 안전성 검증: 품질규격 적법성, 법적 규제 외 안전 관련 성분 분석 효능검증 – in vitro, in vivo, 임상평가

소재개발 및 원료연구

스크리닝 및 선정

– 타겟 기능성 리스트업, in vitro 스크리닝 분석법 선정 및 셋업, 소재 후보 선정

– 원산지, 수급 가능여부

제조 공정 – 추출, 분리, 정제, 농축, 살균, 발효, 건조, 포장 등 조성물 연구 – 성분분석, 영양성분분석, 배합비 선정 등

기능성 평가 – 세포실험 기능성 평가, 전임상 동물실험 기능성 평가, 인체임상 효능검증, 논문발표

안전성 평가 – 식품원료 DB, 식품 및 식품첨가물 품목신고, 국내・외 섭취현황, 독성시험

원료 표준화 – 원물 품종, 원산지, 제조공정, Material Balance, 지표성분 분리 동정, 성분분석

제형 연구 – 식품물성을 고려한 제형 연구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에 대한 요구분석결과

◦ 식품 분야의 직무는 ‘연구, 생산, 품질・안전관리’ 등 3개의 직무군으로 분석함.

◦ 식품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무단위와 상세내용에 대한 분석은 <표 Ⅱ-4>와 같음.

<표 Ⅱ-4> 직무단위 구분 및 직무상세내용

(46)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관능 연구 – 맛, 향 등의 기호성 연구

인허가 획득 – 식품 원료 또는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원료 인정, 식약처 허가 프로세스

공정연구

공정개발 – 신규공정 개발동향 분석, 단위공정의 기술개발, 신소재/신제품 생산공정개발, 수율분석

공정개선 – 기존공정 분석, 공정개선 계획수립 및 실행

설비분석 – 생산설비 Capa 분석 및 개선 계획 수립, 신규설비 도입 검토 및 추진

제품개발

제품개발

– 아이디어 수집, 시장조사, 가배합(규격, 원료가격), 최종 콘셉트 평가

– 원료 검토 및 선정(Spec, 원산지, 시험성적서, 수입신고필증, 품 목제조보고)

– 신규 원료, 설비, 기술의 진보 및 안전성 평가 – 제품 배합비, 제조공정도, 제품 규격서, 원료 가격

포장연구

– 포장재 조사 – 포장디자인

– 저장 안정성, 유통기한 설정 테스트

분석연구 – 효능/효과 평가, 안전/안정성 평가 – 원료분석 및 제품분석(이화학, 미생물)

현장테스트 – Pilot test, 스케일업, 공정표준화 – 포장 적합성 테스트

법적사항검토 – 원료, 첨가물 적법성 검토 – 표시, 광고 등 표기사항 검토

지적재산권 확보 – 적용기술 특허 등록

– 개발 된 기술의 지적재산권화(논문, 특허, 기술 홍보)

생산 생산기획

생산전략수립

– 공장운영 및 생산기술 지원, 생산성향상전략 수립, 선진경쟁사 기술현황 비교분석

– QCDE관점의 생산성 향상 전략을 수립

생산계획수립 – 판매계획 입수, 재고 및 결품현황 파악, 생산수량/일정계획 수립, 원료 및 포장재 수급계획 수립

공정 및 설비 개발

– 신제품(신규식품유형) 제품생산 공정검토 – 생산설비 보전 및 개선활동

(47)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 공정개선 계획 및 실행

– 신기술 동향 파악 및 개선 실행 생산혁신활동 – 현장 개선 활동 지원

생산지원

구매관리 – 원료 및 포장재 구매 및 공급

환경관리

– 환경영향 분석, 오염물질 특성파악 및 관리, 정기진단, 관련법규 준수/내규관리

– 오폐수관리

안전관리

– 안전위해요소 파악 및 보완, 안전정기점검 및 안전교육 – 산업안전관리

– 보안관리

물류관리 – 창고, 운송 등 관리

SCM – OEM관리, 외주생산 및 인원관리, 거래선 경영환경분석(QCDE)

생산관리

제조원가관리 – 제품 원가 분석, 신제품 사전원가관리

공정관리 – 생산라인/설비Capa 및 부하량 산출/평가, 공정개선 및 투자품 의 실적집계/입력

생산설비/

자원관리 – 생산설비 매뉴얼 제정 및 정비, 고정자산 및 유휴자산 관리, 생산 설비 보전계획

생산실적관리 – 생산실적집계(수율, 인원, 유틸리티 등), 적정재고/결품율관리, 생산라인배정 및 생산

품질・

안전 관리

품질경영 (QM)

품질관리(QC)

– 품질요소파악, 도구활용, 측정, 샘플링 등 품질개선활동 – 공정검사

– 제품관리, 작업표준 및 지시서 개정

– 제품 검사기준, 작업표준, 입고 규격 및 사양서의 표준 관리 – 검사방법 표준화, 내부 업무과정 매뉴얼화 및 관리 – 원료 및 포장재, 제품 품질 분석

품질보증(QA)

– 제품 QA, 외주가공품 QA, 내용물 QA, 원료 QA, 첨가물 QA, 포 장재 QA, 미생물 QA, 기타(잔류농약 등)

– 외주협력업체 관리 – 사내표준화

– 인증업무(ISO 9001, HACCP 등) – 리스크(잠재적 위해요인)관리 – 품질시스템 구축과 모니터링활동

(48)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정의 세부내용

품질개선(QI)

– 품질설계 – 공정설계 – 유통기한설정 – 이물관리

– 내부감사(모니터링) – 지속적 개선활동 – 고객만족(반품처리)

법규관리

– 식품법규 개정 관리

– 인허가, 품목제조보고서 등 법규관리 – 표시기준, 시설관리 등 관리

식품안전

위생관리

– 시설, 원료/제품, 종사자 등 위생관리 – 세척/소독, 방충방서, 보관 등 위생관리 – 위생관리 점검 및 개선활동

식품안전경영

– HACCP 시스템 운영 및 개선활동

– 글로벌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운영 및 개선활동 – 위해정보 수집 및 대응전략 수립

나.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역량함양단계에 대한 요구분석결과

◦ 1단계에서 분석된 직무군과 직무단위를 기준으로, 해당 직무에서 요구되는 직무역 량과 각 역량들의 함양단계를 분석.

◦ 분석된 상세내용은 다음 <표 Ⅱ-5>과 같음.

참조

관련 문서

산업체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개선 실적 또한 평균 3.5점으로 개선실적이 있 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산업계 경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좀 더 보완할

◦ 일부 대학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전임 교수에 대한 산업체 경력자 비율이 낮은 이유 는 업체 경력 보다는 강의 경력 및 논문 실적 등을 우선시 하는 전임 교수의 일반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와 실제 대학졸업자의 보유 역량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가장 심한 영역은 원가 관리와 건축 관련 법규의 이해 등으로 향후 이 분야에 대학 교육

문서작성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가 뜻한 바를 글로 나타내는 능력 경청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 대학에서 산업계 요구 교과목의 운영 중요도 개선을 위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 목 개설뿐만 아니라 해당 교과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수강을 독려할 수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