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동 시스템의 모델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진동 시스템의 모델링"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의의 시스템을 해석하기 위해 고려되는 주요 물리적이고 동적인 효과 (physical dynamic effects)를 규명하고, 보존 법칙 (conservation law)과 적절한 원리의 적절한 법 칙에 의해서 미분방정식과 대수적 방정식을 작성하고 , 그 방정식들을 계산하기 편리 한 방정식으로 줄이는 과정을 모델링 이라 한다.

동적 시스템 (Dynamic System) 입력

외란(Disturbances) 초기조건 (Initial Conditions)

출력

시스템의 거동 특성 인자 시스템의 응답특성

 기계적인 시스템의 진동해석

-. 수학적 모델(mathematical modeling )에 의한 해석 과정 -. 실험적인 해석 과정

진동 시스템의 모델링

(2)

운동방정식의 해( Solution of the Equation of motion)

실제 시스템의 운동에 뉴턴의 제2법칙을 적용하면, 2계상미분 방정식(2nd – orde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으로 표현할 수 있다.

F kx

x c x

m      

상수들은 관성(inertia), 감쇠(damping), 복원력(restoring elastic forces)과 같은 물리적 변수들을 나타 내며, 시스템의 응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3

(

2

1

x a x a x f t

a      

a1 : 관성(inertia), a2 : 감쇠(damping), a3 : 강성계수(stiffness coefficient)

f(t) :

힘 함수(forcing function)이라 하며,

f(t)0 :

비제차(: non-homogeneous)

f(t) = 0 :

제차( homogeneous) 혹은 자유진동( free vibration)이라 한다.

제차 미분방정식( Homogeneous differential Equation)

pt pt

pt

x t Ape x t Ap e

Ae t

x ( )  ,  ( )  ,   ( ) 

2

3

0

2

1

xa xa xa   

2 3

0 0

2 1

3 2

1 1

pt

pt pt

pt

Ae a p a p a

Ae a pAe

a Ae

p a

1

3 1 2

2 2

2 1

3 1 2

2 2

1

2

, 4 2

4

a

a a a

p a a

a a a

p a   

 

 

t p t

p

A e

e A t

x t x t

x ( ) 

1

( ) 

2

( ) 

1 1

2 2

(3)

Case 1. p

1

p

2 이고 , p1

, p

2 가 실수인 경우 즉

a

22

> 4a

1

a

3인 경우.

이 경우는 감쇠력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이러한 경우를 진동에서는 과감쇠계(Over damped system)이라 한다.

Case 2. p

1

= p

2 이고, p1

, p

2가 실수인 경우 즉

a

22

= 4a

1

a

3 인 경우.

이 경우를 임계감쇠계(critically damped system)라고 한다.

Case 3. p

1

p

2공액 복소수(complex conjugate)인 경우.

이 경우를 부족감쇠(underdmaped system)이라 한다

Case 1. : 서로 다른 실근(Real distinct roots)

p

1

p

2가 양의 수인 경우 해 x(t)는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한다.

p

1

p

2가 음의 수인 경우 해 x(t)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

x   4 x 3 x 0

초기조건

0 ) 3 )(

1 (

0 3 4

0 )

3 4 (

0 3

4

2 2

2

p p

p p

Ae p

p

Ae pAe

Ae p

pt pt pt

pt

t t

p t

t

p

A e x t A e A e

e A t

x

1

( ) 

1 1

1

,

2

( ) 

2 2

2 3

0 ,

2

0

0

x

x

t

t

e

e t

x ( )  3 

3

0.0 0.2 0.4 0.6 0.8 1.0

-15 -10 -5 0 5 10 15 20

x1 x2 x

Displacement (mm)

time (sec)

(4)

t=0:0.1:1;

x1=exp(t);

x2=exp(3*t);

x=3*x1-1*x2;

data=[t',x1',x2',x'];

plot(t,x1,t,x2,t,x);

t

e

p

t c c t

x ( )  (

1

2

)

1

Case 2. 중근인 경우

0 9

6  

x x x  

초기조건

x

0

 0 , x

0

 3 te

t

t

x ( )  3

3

t=0 : 0.1 : 2 ; x=3*t.*exp(-3*t);

data=[t',x'];

plot(t,x);title('Case 2, Double Root');gtext('x');

xlabel('time (sec)');ylabel('x (mm)');grid on;

(5)

case 3. 공액 복소수근(Complex Conjugate Roots)

  ( )

)

( t A

1

e

( i )t

A

2

e

i t

e

t

A

1

e

i t

A

2

e

i t

x

  t eC t C t

x

t 1

cos  

2

sin  )

sin(

)

( tXe

t  

x

t

0 50

2

5  x   x   x

예 초기조건

x

0

 0 . 01 , x

0

 3

0 50 2

5

0 )

50 2

5 (

2 2

p p

Ae p

p

pt

a i

a a a

p a

a i

a a a

a p

156 . 3 2 . 5 0

* 2

50 5 4 4 2 2

4

156 . 3 2 . 5 0

* 2

50 5 4 4 2 2

4

1

3 2 1

2 2

2

1

1 3 22

2 1

 

 

 

 

 

 

 

C t C t

e

t C

t C

e t x

t t

156 . 3 sin 156

. 3 cos

sin cos

) (

2 1

2 . 0

2 1

) 156

. 3 sin(

)

( tXe

0.2

t  

x

t

   0 . 9512

0.2

sin( 3 . 156  0 . 6023

)

x t e

t

t

t=0 : 0.1 : 20 ;

X=0.9512; fi=0.6023 ;

x=X.*exp(-0.2*t).*sin(3.156*t+pi);

plot(t,x);title('Case 3, Complex conjugate Root');

xlabel('Time(sec)') ; ylabel('x (mm)'); grid on;

(6)

상수 계수를 갖는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해

)

1

(

2

1

x a x a x f t a      

p

h

x

x x  

1

0

2

1

  

a x a x a x

x

h

  

)

1

(

2

1

x a x a x f t

a

x

p

       te

t

x x   4 

3

x

0

 0 . 01 , x

o

 0

0

4 

h

h

x

x   x

k

X sin( 2 t   )

  t te

t

f

3 t t

te

t

e

t

dt f e d

dt te

df

3 3

2 2 3

3

, 9 6

3   

t

t

f t e

te t

f ( ) 

3

,

1

( ) 

3

t t

p

k f t k f t k te k e

x

0

( ) 

1 1

( ) 

0 3

1 3

 

t

p

t t

t t p

e t k k

k x

e t k k

k e

k e

te k x

3 0 1

0

3 0 1

0 3

1 3

3 0

9 9

6

) 3 3

( 3

) 3

(

 6 k

0

 9 k

1

 9 k

0

te

3t

 4  k

0

tk

1

e

3t

te

3t

0

13 6

1 13

1 0

0

k k

k

13 ) ( 6

13 1

13 6 13

1 13

1

) (

3 3

3 3

3 1 3 0

t t

t t

t t

p

e te

e te

e k te

k x

169 6 13

1 13

6 13

, 6 13

1

0 1

0

k   k    

k

13 ) ( 6

13 ) 1 2

(sin

3t 3t

p

h

x X t te e

x

x      

 

169 cos 5

2 0

169 sin 6

01 . 0

0 0

X

x

X x

초기조건을 대입하면

13 ) ( 6

13 ) 1 993 . 71 2

sin(

04784 .

0 t te

3t

e

3t

x    

(7)

-. 진동계는 위치에너지 를 축적하여 질량의 운동(진동)형태의 운동에너지로 발산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야 하며,

-. 질량의 운동은 그 운동에너지를 스프링과 같은 위치에너지를 축적하는 요소에 내어주게 된다.

-. 여러 가지 기계와 structural system은 1 자유도계로 이상화시킬 수 있다.

-. 실제계(real system)는 대부분 질량이 분포되어 있지만, 해석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한 지점에 집중된 단일질량으로 근사화시킬 수 있다.

1자유도의 자유진동

(8)

자유 비감쇠 진동(free undamped vibration)

-. 한 질점의 운동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운동학적 양은 변위, 속도, 가속도 벡터 -. 스프링-질량계(spring-mass system)

m

l0

mg

k

m

0 or   

mg k mg

k

정적평형 조건(static equilibrium condition)

질량의 운동량 변화율은 그 질량에 작용한 힘과 같다.

질량에 가해지는 합력=질량

가속도

x 병진운동 dt m

x m d dt

m dx dt t d

F     

 

 

22

) (

 회전운동

dt m m d dt

J d dt t d

M   

 

 

22

) (

운동방정식 유도 과정

1. 질점 또는 강체의 위치를 표시하기에 적합한좌표를 선정

질량 또는 강체의 중심의 선운동 표시에는 선좌표, 강체의 각운동 표시에는 각좌표를 사용 2. 계의정적평형 형상을 결정한 후, 이 정적평형 위치에서 시작해 질점 또는 강체의 변위를 표시 3.자유물체도를 그린다.(모든 작용력과 반작용력을 표시)

4. 자유물체도에Newton의 운동 제2법칙을 적용한다.

(9)

운동방정식을 구하기 위한 다른 방법

D’Alembert의 원리 동적 평형

0 )

( 0

)

( tmx   M tJ F

가상변위의 원리

한 조의 힘들이 작용하고 있는 중에 평형상태에 있는 계가 가상변위를 받게 되면 그 힘들이 하는 전체 가상일은 0이 된다.

가상일은 가상변위 때문에 관성력을 포함한 모든 힘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

스프링 힘에 의해서 행해진 가상일 관성력에 의해서 행해지 가상일

  kx x

W

s

  

  m x x

W

i

    

모든 힘들에 의해서 행해진 전체 가상일을 0으로 놓으면

 

0

0

kx x

m

x kx x

x m

  

(10)

m

x

k

mg m

x m 

m

) (x

k

m xmgkxk

) (  

k x F

s

 0

kx x

m 

 0

x m x k

2

 0

x x

스프링력

정적평형조건 적용

 : 고유진동수[rad/sec]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

0 )

( p

2

 

2

Ae

pt

p

2

2

0

p i

i

p

1

2

 

t B

t A

x  cos   cos  ) sin(   

X t x

 

 

 

A B B

A

X

2 2

,  tan

1

Ae

pt

x

라 가정하고 이를 식(1)에 대입한다

(11)

1자유도의 자유진동

k

m

 2  2

m f k

 2

1 2

1  

0 2 4 6 8 10

-2 -1 0 1 2

Displ acement (m m)

Time (sec)

진동의 고유주기(Natural periodic of Oscillation)

자유응답(free response)

스프링-질량계의 운동을 단순조화운동(sipmle harmonic motion)이라 한다.

(12)

문)

자동차의 바퀴, 타이어, 현가장치는 근사적으로 1자유도 스프링 질량 시스템으 로 모델링할 수 있다. 자동차의 질량은 약 300kg으로 측정되었고, 진동수는 10rad/s이다. 바퀴, 타이어, 현가장치의 강성은 얼마인가?

해) 진동수 

n

, 질량 m, 강성 k 사이의 관계는

이다. 따라서

이다. 이것은 복잡한 장치의 강성을 간단히 측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예제 1

m

n

k

10 rad/s3000 N/m

) kg 300

(

2

2

 

m

n

k

(13)

예제 2

(a)의 경우 운동방정식은

이므로 고유진동수

ω

n

이다. (b)의 경우 운동방정식은 그림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유진동수

n

이다.

k

1

= k

2

= 2k

이기 때문에 고유진동수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고유진동수의 비율은 1:2이다.

k L

m m

½ L

½ L

k

1

k

2

(a) (b)

x

x

그림과 같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를 구하고 비교하 여라. 단,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의 권수에 역비례 한 다고 가정한다.

 0

kx x

m 

k m

n

 

m k k

n

2 1

 

k m

n

 4

m

k

2

x x k

1

x

ma

=

   

 

1 1 2

2

0

2 1

x k k

x m

x k k

x k x

k x

m

(14)

예제- 단위 환산 문제

예) 길이가 250 mm 이고, 단면의 크기가 6

6mm인 강으 로 만들어진 외팔보가 있다고 가정하자. 외팔보의 자유단 에 40kg의 질량이 붙어 있다. 질량을 살짝 움직인 후 놓았 을 경우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라.

풀이) 외팔보의 질량은 매우 작다고 가정한다. 질량 m 에 의해서 외팔보의 끝단에서의 변위는

=

PL

3/3

EI

이다.

작은 진동에 대하여 외팔보는 탄성적으로 거동하기 때문에 스프링 상수 k는

k = F/= 3EI/PL

3 N/m이다.

보의 관성 모멘트 I 는 0.006ⅹ0.0063/12 =1.08ⅹ10-8 m4 이고, 강의 탄성계수 E는 2105 MPa이다.

자유 비감쇠 진동의 운동방정식은

이고, 고유진동수

n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m

 0

kx x m 

   

   

rad/s 55

. 10 2

8 . 64

kg 40 m

25 . 0

m 10 08 . 1 Pa 10 10

2 3

3

5 6 10 4

3

 

m L m EI

n

k

(15)

에너지 보존(conservation of energy)

보존계인 경우에는 모든 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므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미분 방정식

(운동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비감쇠계의 자유 진동에서는 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로 나누어 진다.

운동에너지(kinetic energy) :

-. 질량의 운동에 의한 것이며, 속도에 의하여 질량에 저장된다.

변위 에너지 혹은 위치 에너지(strain energy or potential energy)

-.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중력장 등에서 행하여진 일의 형태로 저장된다.

2

2 1 m x

T  

2

2 1 kx U

보존계에서는 모든 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므로 그 변화률은 다음과 같이 0이 된다.

  0

.   

T U

dt const d

U

T

(16)

예제

     

   

2 0

2 2 1

2 1

2 1 2

. 1 P.E .

K.E

2 2 2

1

2 2 2 2

2 1

 

 

  

kr mr

J

kr mr

dt J d dt

d

eq eq 2

2 1

2 2

1 2

2

Mass

Effective

Mass Equivalent

) 2 (

1

2 ) 1 2 (

1 2

1 2

1

M M mr

J

J r

m J

x m T

 

운동에너지

eq eq 2

2 2 2

2

Stiffness

Effective

Stiffness Equivalent

) 2 (

1 ) 2 (

1

K K kr

r k

U    

위치에너지

)

(

12

2 2

mr J

kr M

K

eq eq

n

  

 

고유 진동수

   

22

0

2

1

 

mr kr  

J

(17)

풀이) 뉴우톤의 운동법칙

전체 유체의 질량 m : (체적밀도=AL)

높이 x에 의해 발생하는 힘 F = 유체의 무게 = (체적밀도중력)= 2xAg

에너지 방법

예제

 

2

2

2 1 2

1

m x

LAx

예) 유체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압력계는 균일한 단면 A를 갖는다.

만일 그림과 유체가 채워져 있는 길이가 L이고 밀도가

로 설정되

었을 때에 야기되는 진동의 주파수와 주기를 구하라. x

x

x

x LA g

Ax

x m F

 

2 2 0

2  0   

x

L x g LA x

g

xA  

 

rad/s]

2 [ L

g m

k

n

 

주기

2 sec 2 2

g L

n

 

   

g Ax x x

g

mx

2 2

Ax

2 2

2

1 2

1

 

 

 

위치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고유진동수

n

0 2

) P.E.

K.E.

(   LA x xA gx xdt

d       2 0

 

 

  x L x g

2

rad/sec

L g

n

(18)

Rayleigh의 방법

-. 주어진 시스템이 에너지 보존계에 있다고 가정.

-. 운동에너지

0 at 최대 변위(maximum displacement) , Maximum at 정적평형상태(static equilibrium point).

-. 위치에너지 는 운동에너지와 역의 관계가 성립된다.

(운동에너지)

max

= (위치에너지)

max

= 주어진 시스템의 총 에너지

-. 최종적으로 구하여진 식(resulting equation)으로부터 쉽게 시스템의 고유진동수를

구할 수 있다.

(19)

축의 비틀림 스프링 상수

축의 내부에 저장되는 토르크

비틀림계( Torsional System)

축은 엔진, 터빈, 그리고 헬리콥터 로터 시스템과 같은 많은 기계 시스템에 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

t

t

T T K

K

GJ T

  

K

t

GJ

 

K GJ M

a

 

t

 

eff

a

M

M

 0

 

K

t

I 

GJ l I

K

t

 

  K GJ

T

t

t

외부에서 가해지는 토르크에 의한 모멘트는

운동방정식

고유진동수

       

tA

1

sin tA

2

cos t   sin t

운동방정식의 해

(20)

g WD hD

dr hr r h hr

d r dV

r dm

r

I ( 2 ) 2 2 32 8

2 4

4 3

2 2

2

     

    

Torsional System

 0

 

K t I 

GJ I I

K

t

 

운동방정식 고유진동수

       

tA

1

sin tA

2

cos t   sin t

운동방정식의 해

32 d

4

J

주기

GJ Il K

I

t n

 

 2  2 2

고유진동수

l WD

d gG g

l WD d G I

f

n

K

t 2

4 2

4

2 4 32 8

2 1 2

1 2

 

D: 원판의 직경, h : 원판의 높이, ρ: 밀도, W : 원판의 무게

원판과 원기둥의 질량관성모멘트

(21)

예제

sec 14 . 2 28 sec

60 

문) 원판이 1분 동안에 28회의 완전 사이클을 하고 있다. 철사를 10º비트는데 T = 0.982kg•cm 가 필요하다. 이때 원판의 질량관성모멘트는 얼마인가?

Ans.) 1cycle당 시간은

t

n

K

I

  2   2

sec

2

/ cm kg

629 . 5 10 180

982 .

0  

 

K

t

T

로부터

2 2

2

s cm kg

654 . 2 0

14 . 629 2

.

2 5    

 

 

 

 

 

K

t

I

(22)

진자 운동

I

mgl

 sin

mg

mg

= I

2

sin ml

mgl

0 sin 

 

g l 

0 sin 

 

l

g

I M a

각속도 l

g

n

각 진동수

l f g

 2

 1

주기 g

l

  2   2

) (sin   

2 0

2

2

r dm md

md I

I

l c

o

    

운동방정식

그림과 같은 진자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라.

(23)

막대 진자의 운동

I

o

mg l

 sin 2

0 2 sin 

 

mg l I

o

 

) sin

(  가 매우 작다고 가정하면    2 0

3

2

  mg l   ml  

2 0

3 

 

l

g

l f g

l g

n

2

3 2

1 2

2 3

    

m l O

I

o

=

mg

O

(24)

극질량 관성 모멘트

y dy

l Al A l

dy A dm

m

l

l l

l

 

 

 

 

 

 

 

 

 

  

2 2

2

2 2

2

md

2

I I

o

c

12 12

8 2 3 2

2 3

3 ) (

2 3

3 3 2 3

2 3 2

2 2

2 2

2

ml Al

l A l

l A A y

dy y A

dy y A Ady

y dm

r I

l

l l

l c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2

3 2

12

2 2

2 2

2

l ml ml ml

ml m

I

o

   

 

 

O I

(25)

자유 감쇠 진동

k c

x m m

x

x k c

mg

점성 댐퍼가 있는 시스템과 자유물체도

x c F

d

 

) (  

mg c x k x x

m   

 0

c x kx x

m   

0 )

( mp 2cpk Ae pt

2  cpk  0 mp

2

   0

m p k

m p c

감쇠력

운동방정식

특성방정식

자유 감쇠 진동(Free damped vibration)

(26)

자유 감쇠 진동의 해

mk m c

m

p c 4

2 1 2

2 2

,

1

   

t p t

p

Be

Ae

x

1

2

일반해

     



 



 

 

 





 

  c m t c m t

t m

c

Ae Be

e x

2

2 2

2 2

괄호 안의 항들의 거동은 근

호 안의 값이 양수, 0, 음수 어 느 값을 가지게 되는가에 따 라 달라지게 된다.

단순히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함수이다.

2

   0

m p k

m

p c 근의 공식 적용

(27)

자유 감쇠 진동 - 무차원 함수

모든 감쇠는 무차원(dimensionless)의 감쇠비(damping factor)

로 표현할 수 있다.

(2-64) 여기서

c

c임계 감쇠비(critical damping coefficient)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65)

(2-67) 진동에 관련된 특성치들을 대입하여 운동방정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2-68) 또한, 근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2-69)

c

c

c

km m

c

c

 2   2

p  

n

 

 

   

2

1

2 , n 1

c

m c m

c     

 

  2 2

0 ) ( )

( 2 )

( tx t

2

x tx 

2

1

2 ,

1

       p

>1이면 p

1, p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실수이다.

=1

이면 p1, p2 는 서로 같은 값을 갖는다.

<1

이면 p1, p2 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허수이다.

판별식

2

 1

(28)

-. 인 경우

-. 이 경우 판별식은 양이고 ,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갖는다.

-. 운동방정식의 해는

-. 비진동(non-oscillatory) 응답을 나타낸다.

과도 감쇠운동 (Overdamped motion)

 1

) (

)

( t e t a 1 e

2

1 t a 2 e

2

1 t x 

0.0 0.5 1.0 1.5 2.0 2.5 3.0 -0.3

-0.2 -0.1 0.0 0.1 0.2

0.3 x

0

=0.3, v

0

=0

x

0

=0, v

0

=1 x

0

=-0.3, v

0

=0

Di sp lace m ent ( m m )

time (sec)

(29)

-. 인 경우

-. 이것은 진동운동과 비진동 운동을 구별하는 값에 해당된다.

-. 근이 반복되기 때문에

-. 해 는 다음 형태가 된다.

-. 이 경우의 시스템의 응답도 아래에

나타난 그림과 같이 진동을 하지 않으며 , -. 초기 속도의 방향에 시스템의

응답 특성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임계 감쇠계(Critically Damped motion)

 1

2

1

p

p

e t

t a a

t

x ( )  ( 12 )

0.0 0.5 1.0 1.5 2.0 2.5 3.0 3.5 4.0 0.0

0.3 0.6 0.9 1.2

v = 0 v = 1 v = -1

Dis pla ce me nt (mm)

Time (sec)

(30)

-. 인 경우

-. 근은 컬레 복소수 쌍이 된다

-. 인 관계를 이용하면, 근은 다음과 같이 된다.

-. 운동방정식의 해

-. 오일러의 관계를 이용하면 이것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부족 감쇠 운동(underdamped motion)

 1

2 2

,

1      i 1   p

1 

2

d

  i d

p 1 , 2     

) (

)

( t e t a 1 e i 1

2

t a 2 e i 1

2

t x 

) sin(

)

( tXe t  

x t d

0 5 10 15 20

-0.8 -0.4 0.0 0.4 0.8

v = 1 v = -1 v = 0

Displac eme nt (mm)

Time (sec)

(31)

대수 감소율(Logarithmic Decrement)

-. 부족 감쇠 진동에서 변위는 조화진동을 하면서 진폭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다.

-.

i

번째 피크의 변위를 정의하는 식

0 5 10 15 20

-1.0 -0.5 0.0 0.5 1.0

Displacement (mm)

Time (sec)

-. 이 방정식은 1자유도계의 부족 감쇠 운동의 감쇠 계수를 실험적으로 구하는데 사용된다.

-. 이것은 연속적인 주기의 진폭을 비교하여 감쇠계 수를 구하는 것이다.

-. 식(2-101)은 i번째 피크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시 간이 인 그 다음에 일어나는 번째 진폭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2 (

1

1

ti d

i

Xe

x

  



d d

i i

e Xe

Xe x

x

t t

i

i 





 

 

2 ( )

2

1

1

1

 

d

i i

x x

1

ln

2

1

1

ln 2

 

 

i i

x x

: 대수 감쇠율(logarithmic decrement)

ti

i

Xe

x  1  

2 

d

t

i

  ( i  1 )

-. 두개의 연속적인 진폭의 비는 상 수(constant)이다

(32)

진동의 단위

 진동 주파수 (frequency):

-. 단위 시간당 진동현상이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로 정의 -. Hz(Hertz, cycle/sec)

 고유 원 진동수(natural circular frequency) : ω [rad/sec]

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진동현상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가속도계를 이용해서 가속도 및 가속도에 의한 진동레벨(vibration level, dB)을 측정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

 진동레벨 : dB(decibel)

m 10

1 ,

20log

m/s 10

1 ,

log 20

m/s 10

1 ,

log 20 )

(dB

12 9

2 6

ref ref

ref ref

ref ref

d a d v v

v

a a

진동레벨 a

(33)

진동의 단위

 소음을 나타내는 dB와 구별하기 위하여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는 진동 레벨을 나타낼 때 dB(V)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 충격도 등을 표현할 때 산업현장에서는 종종 중력가속도 단위인 G를 사용한다.

예) 1G = 중력가속도인 9.8m/s

2

인 가속도를 지닌 진동현상임

dB 160 825

. 10 159

1 log 98 20 10G

dB 140 825

. 10 139

1

8 . log 9

20 G

1

6 6

 

 

경우 인

경우 인

 승용 디젤 차량의 엔진 이 3000rpm 내외로 가동될 경우 엔진 본체에서 측정되는 진동레벨은 대략 140~150dB 의 영역에 속한다.

 운전자가 가장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진동은

대략 100~110dB 수준에 속한다.

(34)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진동 현상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된 시기는 제 1차 세계 대전 시기라 할 수 있다.  탱크의 승무원, 비행기 등의 군사적인 목적

 인체에 작용하는 진동 특성 및 영향은 진폭, 진동 주파수, 지속시간, 진동형태 및 진동축에 따라서 구분된다.

1) 진폭 : 진동의 가속도, 속도 및 변위로 표현되며, 진동 에너지를 결정한다.

dB로 표현

2) 진동주파수 : 인간이 느끼는 진동수 영역은 0.1~500Hz 내외이며, 낮은 진동 주파수와 높은 진동 주파수에 따라 인체의 반응이 달라진다.

3) 진동축 : 인체와 진동의 운동방향에 의해서 결정된다.

 인간이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진동수 범위는 약 0.1~500Hz영역 -.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진동수 범위 : 1~90 Hz영역

-. 1~90Hz 범위에서 진동 가속도 레벨이 60dB 이상일 경우 인체는 민감하게 느낌

-. 65~70dB 범위에서는 수면에 지장을 받음.

(35)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인체 진동의 작용방향

인체 주요 기관의 고유 진동수

참조

관련 문서

용액의 질량이 주어지면 밀도(질량/부피)로부터 부피를 구할 수 있고, 반대로 부피가 주어지면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용액의 양을 포함하고 있는 다른 농도 표기와는 달리

Spool stops at a position where feedback spring torque equals torque due to input current Therefore spool position is proportional to input current. With constant pressures flow

코딩을 통해 아바타와 함께 댄스 동작을 구성해 봄으로써 신 체활동에 포함된 과학원리를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재미있게 실천할 수 있는 동 기부여를 할 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특징과 장점 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생물시료는 포르말린을 희석한 수용액이나 알콜에 넣어 보관합니다.. 우리가 먹는

우리 해녀들의 공동체의식이 모든 어업인들에게 퍼져나갔으면 한다.. 바로

정확한 Tower Crane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 션을 위하여 Laplace 변환을 활용하여 MAPLE을 통해 운동방정식을 정리한 후 기존 1 차 시스템의 비선형성과 Hoisting

이때 트레 드밀 경사를 얼마로 설정하면 목적하는 운동강 도 범위로 운동을 하게 될까?... 걷기 공식에 대입할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