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약_본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의 고급 쓰기 문항의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 설 계를 위해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영역에서 고급 쓰기 문항은 점수 배점이 높고, 제한된 시간에 고급 수준의 주제에 대한 글쓰기 과제를 수행해야 하기에 학습자와 교사의 부담이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해 교사와 학습자가 각각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고 급 작문형 쓰기 문항의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첫째, 교사와 학습자가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해 중점을 두는 부분에 차이가 있었다. 교사는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에서 과제 수행에, 학습자는 언어의 사용에 중점 을 두고 있었다. 특히 중급 학습자는 어휘 및 문법 사용의 정확성, 고급 학습자는 유창성 에 주목하고 있었다. 둘째,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교사들은 학 습자의 기본적 글쓰기 소양의 부족을 들었으며, 특히 글의 전개와 조직에 대한 교육 시, 교사의 어려움이 컸다. 셋째, 학습자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적 지식 부족도 교사가 부담을 느끼는 주요 요인이었다.

주요어_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 인식 조사

* 영남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isak4428@hanmail.net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정성헌*

1. 서론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어 학습자의 양적 증가는 물론이고 학습자 유형의 폭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이에 학문 목적 또는 취업을 위한 공인된 한국

(2)

어 능력을 검정 받고자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에 응시하는 학습자들도 매년 급증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 사회에 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능력을 확인하고 한국 생활과 학문 또는 취 업을 위한 도구적 동기로 TOPIK에 응시하고 있다(지현숙 2016: 208). 1997년에 시작된 TOPIK은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쳐 현재 2종 6등급의 체제로 시행되고 있 으며, 학습자들의 학문 또는 취업 목적을 위해서는 TOPIK Ⅱ 단계에서 중급(3, 4급) 이상의 능력이 요구된다. TOPIK Ⅱ는 듣기, 쓰기, 읽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시자들은 타 영역에 비해 쓰기 영역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크고(정다운 2009; 지현숙 2016: 209), 쓰기 영역 중 고급 학습자(5, 6급) 수준의 작문형 문항 을 가장 어려워하고 있다(Li yan·김정남 2014; 이명화 2018).1

이에 TOPIK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최근 다양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 그간의 연구들은 TOPIK 쓰기 문항들의 채점 기준과 기출 문항 분 석을 바탕으로 주장 진술, 단락 구성, 오류 수정 및 답안 작성에 대한 개괄적인 교 육적 방안을 제시한 연구(김경선 2018; 이명화 2018), TOPIK 홈페이지(http://

www.topik.go.kr)에서 공개된 모범 답안을 분석하여 글쓰기 모형을 중심으로 한 형식적인 측면의 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서유연 2018) 등이 있다.2 이들 연 구는 제시된 기출 문항과 채점 기준, 모범 답안의 분석을 바탕으로 작문형 글쓰 기 문항에서 요구하는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으나, 학습자에게 실제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효과의 타당성 을 검증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를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요인이 반 영될 필요가 있다. 즉,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들이 작문형 쓰기 문항을 접 할 때 겪는 어려움과 그 원인, 학습자의 수준별 곤란 요인들에 대한 세밀한 분석

1 2017년 국립국제교육원의 20주년 기념 정책 포럼 자료에 의하면 TOPIK Ⅱ 쓰기 영역의 평균 점수(49

~52회차 기준)는 20점대(23.26~27.20)로 듣기(60점대 초반), 읽기(50점대 중후반)에 비해 낮다(이명 화, 2018 재인용).

2 TOPIK 쓰기 영역의 채점 기준과 모범답안은 TOPIK 홈페이지(http://www.topik.go.kr)에 제시되어 있으며, 문제 은행 구축을 위해 2015년도 제38회차 이후로는 기출 문항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단, 수 험생의 편의를 위해 연간 6회 실시되는 시험 중 임의로 1회차 분만 공개되고 있다.

(3)

이 선행될 때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교사의 수업 전략, 학습자의 쓰기 전략이 도 출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TOPIK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의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을 설문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해당 문항에서 제시 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어려움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 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별 교육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 TOPIK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교사의 수업 전략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한다.

2. TOPIK 고급 쓰기 문항의 구성

TOPIK Ⅱ의 쓰기 영역은 총 4개의 문항으로 출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표 1>과 같다. 그중 고급 쓰기 문항은 5~6급 수준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 항이며 600~700자 원고지 분량의 글쓰기를 해야 한다. 아울러 ‘내용 및 과제 수 행’, ‘언어 사용’은 물론이고 ‘글의 전개 구조’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평가가 이루어 진다.

TOPIK 고급 쓰기 문항에서 다루는 주제는 대체로 사회적 주제이며, 주어진 사 회적 주제와 하위 과제에 맞게 논술문을 구성해야 하는 문항이다. 현재까지 공개 된 기출 문항의 주제와 하위 과제는 <표 2>와 같다.

아울러 TOPIK Ⅱ에서 쓰기는 듣기와 함께 110분의 시험 시간이 주어진다. 듣 기의 음성 녹음이 대략 55~60분 정도로 구성되어 있고 듣기 답안지의 작성 시

표 1. TOPIK Ⅱ 쓰기 영역의 구성

문항 번호 수준 배점 문항 유형 평가 범주

51

3~4급(중급)

10 완성형(괄호 채우기) 내용 및 과제 수행 언어 사용

52 10 완성형(괄호 채우기)

53 30 작문형(200~300자 쓰기)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 구조 언어 사용 54 5~6급(고급) 50 작문형(600~700자 쓰기)

(4)

간까지 감안하면 쓰기 시험을 위해서는 대략 40~50분 정도의 시간이 주어진다 고 볼 수 있다. 또한 응시자 개인별 차이가 있겠으나 51~53번 문항을 풀기 위해 서 15~20분 정도의 시간이 요구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54번의 고급 쓰기 문항을 풀기 위해서는 20~25분 안에 내용을 구상하고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짧은 시간 안에 일정한 분량의 글을 생성해내야 하는 속도 평가라는 점에서 특별한 전략이 필요한 문항이라 할 수 있다.

고급 쓰기 문항의 채점 기준은 <표 3>과 같다.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 구조’, ‘언어 사용’의 3가지 평가 범주별 채점 근거가 제시되어 있으며 각 채점 근 거를 토대로 응시자의 등급을 구분하게 된다. 주목할 점은 항목별 배점 기준인데

표 2. TOPIK 고급 작문형 기출 문항의 주제 및 하위 과제

회차 주제 및 하위 과제

35

주제 경제적 여유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하위 과제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경제적 조건과 행복 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행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가?

36

주제 동기가 일에 미치는 영향 하위

과제

•동기는 일의 시작 단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동기가 일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37

주제 현대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 하위

과제

•현대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는 어떤 사람인가?

•그러한 인재가 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41

주제 역사 교육 하위

과제

•역사를 알아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역사를 통해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47

주제 칭찬의 영향과 방법

하위 과제

•칭찬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효과적인 칭찬의 방법은 무엇인가?

52

주제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방법

하위 과제

•의사소통은 왜 중요한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5)

타 항목에 비해 ‘언어 사용’에 대한 점수가 2배 높게 배정되어 있다. 그러나 ‘언어 사용’의 비중이 높다고 해서 고급 쓰기 문항의 채점에서 언어 사용의 정확성·유 창성을 가장 중시한다고 볼 수는 없다. 주어진 문제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글, 즉 질문과 상관성이 떨어지는 글이 아무리 전개 구조와 언어 사용에 탁월하게 쓰였다고 하더라도 높은 점수를 부여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문항에서 일정한 점수를 얻기 위해서 응시자들은 20~25분의 짧은 시간 동안 주어진 과제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글의 전개 방식을 고려해서 생성해 내야한다.

그런데 본론에서 과제에 대한 대답을 도출하기까지 학습자들은 쓸 내용을 구 상하고 글의 서론을 시작해야 하며, 서론과 본론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최소한 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울러 본론의 2~3가지 과제에 대한 내용 간의 연결성 과 응집성을 고려한 서술, 결론부의 시작과 마무리까지 일련의 과정에 대한 연습 과 전략도 요구된다.

3 <표 3>의 채점 기준은 한국어능력시험 홈페이지(http://www.topik.go.kr)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표 3>과 같이 평가범주별 평가 항목 및 등급 구분만 제시되어 있고 평가범주별, 등급별 세부적인 채점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표 3. TOPIK 고급 쓰기 문항의 채점 기준3

구분 채점 근거 점수 구분

내용 및 과제 수행 (7점)

1) 주어진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였는가?

2) 주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는가?

3) 주어진 내용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하였는가?

6~7점 3~5점 0~2점

글의 전개 구조 (7점)

1) 글의 구성이 명확하고 논리적인가?

2) 글의 내용에 따라 단락 구성이 잘 이루어졌는가?

3) 논리 전개에 도움이 되는 담화 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조 직적으로 연결하였는가?

6~7점 3~5점 0~2점

언어 사용 (8×2=16점)

1) 문법과 어휘를 다양하고 풍부하며 적절한 문법과 어휘를 선 택하여 사용하였는가?

2) 문법, 어휘, 맞춤법 등의 사용이 정확한가?

3) 글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격식에 맞게 글을 썼는가?

7~8점 (x2)

4~6점 (x2)

0~3점 (x2)

(6)

고급 쓰기 문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상술한 각 단계별로 전략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학습자와 교사들이 각 단계별로 느끼는 곤란 요인은 무 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와 교사가 학습 목표에서 가지는 인식에 대한 간극이 존재할 경우, 교육방안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로 각 단계에서 느끼는 어려움도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이루어진다면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에서 학습자 의 실제적인 교육 방안 구상이 가능할 것이다.

3. 조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방법과 절차

본고에서는 <그림 1>의 절차로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곤란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 3명과 한국 어 학습자 5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4 예비 조사는 면접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을 풀거나 가르칠 때의 곤란 요인에 대해 교 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을 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질문에 대한 이해’,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 생성’, ‘서론, 본 론, 결론의 구성 및 연결’, ‘어휘 및 문법 사용의 정확성 및 유창성’ 등의 항목에 대 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대부분의 피조사자들이 곤란 요인으로

4 예비 조사에 참석한 학습자는 모두 TOPIK 4급 자격을 보유하고, A대학교 한국어교육기관의 5급 과정 을 이수 중인 학습자들이었으며 한국어 연수 이후, 국내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 자였다. 교사는 한국어교육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강사였으며 중급과 고 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TOPIK 쓰기 영역에 대한 강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예비

조사

설문 문항작성

설문 조사

설문 결과분석

그림 1. 조사 절차

(7)

1~2가지의 특정 원인이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 응답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가 느끼는 어려움에도 차이가 있었다.

예비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표 4>와 같이 관련 항목을 정리하고 구분해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각 항목은 고급 쓰기 문항을 풀기 위한 절차들이며 다양한 응답을 얻기 위해 객관식 질문 외에 주관식 질문을 제시하여 학습자와 교사들의 곤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TOPIK Ⅱ 단계에 응시하는 중급(3, 4 급)과 고급(5, 6급) 수준의 학습자들에게서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곤란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이 고급 쓰기 문항을 푸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표 4>의 항목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 을 3개까지 중복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중급과 고급 수준의 학습 자들이 해당 문항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실제적인 수준 별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위해서는 <표 4>의 항목에 대해 교사 입장에서 ‘학 습자들에게 가르치기에 어려운 영역’과 그 이유, ‘중점적으로 피드백하는 영역’에 대한 질문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양하고 상세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제시한 항목 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였고, 주관식 질문도 제시하였다.

표 4.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곤란 요인 조사 내용

번호 내용 쓰기 능력 구분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는 것

내용 생성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것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글의 처음 부분을 시작하는 것

단락 구성

서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본론(중간) 내용을 구성하는 것

결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서론과 본론, 결론 부분을 잘 연결하는 것

어휘와 문법을 틀리지 않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언어 표현

고급 어휘를 다양하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것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학습자 참여자는 대구 지역 A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에서 한국어 연 수를 받고 있으며 한국어 연수 이후, 국내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학문 목 적 학습자들로 총 76명이었다. 그 중 중급에 해당하는 학습자 38명은 현재 중급 (4급) 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며 한국어 학습 기간은 대부분 8~10개월 정도였다. 중급 학습자들은 본 학기에 처음으로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에 대한 수업을 받은 학습자였다.

표 5. 학생 참여자 현황

국적 한국어교육기간

중급(4급) 38명

베트남 26명, 중국 5명 몽골 5명, 일본 2명

8~10개월: 32명 10~12개월: 6명 고급(5급)

38명

베트남 22명, 몽골 8명 카자흐스탄 3명, 일본 3명, 중국 2명

16~18개월: 36명 18~24개월: 2명

또한 고급(5급) 학습자들은 대부분 한국어 교육기간이 16~18개월의 학습자 38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4급 과정에 이어 2학기째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 에 대한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이었다.

TOPIK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에서 교사들의 곤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대 구 지역 대학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총 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 사에 참여한 교사들의 소속 기관은 총 3곳이며, 기본 정보는 <표 6>과 같다. 조사 에 참여한 교사 16명 모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 이상의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박사 과정 수료 학력이 10명, 석사 졸업이 6명이었다. 강의 경력 10년 이상의 교 사는 10명, 8년 경력 2명, 7년 1명, 5년이 3명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전 원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에게 TOPIK을 가르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13명)은 TOPIK 쓰기 영역을 2년 이상 강의한 경험이 있고 3명은 1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9)

표 6. 교사 참여자 현황

참여자 구성

강의 경력 10년 이상: 10명, 7~8년: 3명, 5~7년: 3명 최종 학력 박사 수료: 10명, 석사 졸업: 6명

4.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곤란 요인

1) 학습자의 곤란 요인

(1)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영역

중급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에서는 4급과 5급 학습자들이 고급 쓰기 문항에서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이며, 비교를 위해 그 중 가장 높은 응답수를 보인 상위 세 항목에 진하 게 표시했다.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휘와 문법의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중급 학습자들은 어휘의 다양성보다는 정확성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송운옥(2014: 82)에서 중급 수준의 결혼 이주 여성 들에 대한 실험 결과와 비교할 때, 쓰기 학습에서 언어의 정확하고 적절한 사용 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학문 목적 학습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한 국어 학습자의 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5

그 다음으로 중급 학습자들은 질문에 대한 대답의 내용을 생각해내는 데에 어 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는데, 고급 쓰기 문항이 고급 수준의 주제를 다루고 있 으므로 중급 수준의 학습자가 해당 문항의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휘량의 부족을 느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당수의 학습자들이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는 데 어

5 송운옥(2014)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피조사자들은 공통적으로 쓰기 학습에서 정확한 문법의 사용을 가장 힘 들어하고, 이와 관련된 교사의 피드백 요구도 가장 컸다.

(10)

려움을 느낀다는 결과와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학습자들의 부족한 어휘 지식은 질문에 포함된 어휘 이해뿐만 아니라,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글의 처음 부분을 시 작하는 데에 대한 어려움도 크다고 응답하여, 고급 쓰기 문항의 글의 유형인 논 술문의 형식에 대한 지식 및 훈련도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들은 어휘 및 문법의 사용, 내용의 생성과 글의 시작 등에 대한 부담이 큰 반면에 글의 전개구조와 긴밀성, 단락 구성의 짜임새에 대해서는 부담 이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중급 학습자들이 글의 전체적인 구조를 다루고 단락을 구성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속도 평가 인 고급 쓰기 문항을 접할 때 주어진 시간 안에 질문에 대한 내용을 생성하고 글 의 처음을 시작하는 데 시간을 소비하기에 글의 전개 구조와 구성까지 고려할 여 력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 기타의 응답으로 ‘무엇을 써야할지 고민 하고 쓰는 데에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학습자도 있었으며 주관식 설 문 문항에서 짧은 시간동안 일정한 분량을 채우기 힘들다는 응답이 다수 있었다.

고급 학습자들에 대한 조사 결과, 중급 학습자들과 마찬가지로 언어적 지식 부 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중급 학습자들이 어휘 및 문법의

표 7. 학습자의 어려운 영역 조사 결과

순위 항목 중급 학습자

응답 수

고급 학습자 응답 수

1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는 것 11 5

2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것 14 26

3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글의 처음 부분을 시작하는 것 12 17

4 서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6 8

5 본론(중간) 내용을 구성하는 것 12 7

6 결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2 2

7 서론과 본론, 결론 부분을 잘 연결하는 것 9 10

8 어휘와 문법을 틀리지 않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27 18

9 고급 어휘를 다양하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것 20 26

10 기타 1 1

(11)

유창성보다는 정확성에 부담이 큰 반면에 고급 학습자들은 다양하고 유창한 어 휘 사용에 대한 부담이 컸다. 또한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데 부담 이 가장 큰 것이 중급 학습자와 다소 차이를 보인 부분이었다. 이와 관련해 주관 식 응답으로 ‘질문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다수’ 있어서 중급뿐만 아니라 고급 학습자들도 내용적 지식의 부족에 따른 어려움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급 학습자들도 글의 처음 부분을 시작하는 데에 대한 어려움이 크다는 점, 기타 응답으로 시간 부족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이 중급 학습자와 공 통적이었다. 반면에 고급 학습자들이 중급 학습자에 비해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 는 데에 대한 부담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는데 이는 고급 학습자들의 어휘량이 중급 학습자에 비해 많은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2) 학습자들의 교육 요구가 큰 영역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영역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전반적으로 어휘와 문법의 사용 교육에 대해서 학습자의 수준에 상관 없이 높은 요구를 보였다. 다만, 중급 학습자들은 어휘와 문법 사용의 정확한 사 용을 위한 교육 요구가 유창성보다는 높았고 고급 학습자들은 유창성에 대한 요 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표 7>의 결과와도 일치하 는 바,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고급 쓰기 문항에 접근할 때 과제의 수행이나 글 의 전개구조보다 어휘 및 문법의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적 지식의 사용 외에 학습자들의 교육 요구가 높았던 영역으로 중급 학습자의 경우,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것’과 같은 내용 생성 능력 에 대한 요구가 컸고, 고급 학습자의 경우, 내용 생성 능력과 함께 ‘본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등의 단락 구성 능력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중급 학습자들에 비해 일정한 내용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 고급 학습자들에게 과제 수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본론 영역의 구성에 대한 기술 습득이 더 요구된다는 것이다.

<표 8>의 결과에서 또 특징적인 것은, 고급 학습자들의 경우 일정한 언어적 지 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급 학습자와는 달리, 글의 전개구조나 구성, 효

(12)

율적인 과제 수행을 위한 기술 등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으로 보았으나 상대적으 로 어휘 및 문법의 사용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이었다. <표 7>에서 학습자 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와 종합해 볼 때, 학습자들은 한국 어능력시험 쓰기 문항을 대할 때, 내용 생성이나 단락 구성에 비해 언어 사용 측 면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숙달도에 상관없이 나타나고 있다 는 점은 향후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쓰기 교육의 방향 설정에 시사하는 바가 있 다. 우선, 쓰기 교육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절한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유창하 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학습자의 숙달도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시될 필요 가 있다. 아울러 쓰기 과제 수행에서 언어 사용 측면뿐만 아니라, 단락 구성이나 내용 생성 능력의 중요성도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단, <표 8>의 결과는 한국 어능력시험의 쓰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것으로, 위 결과를 일반 적인 쓰기 교육에서 적용시키는 데에는 향후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표 8. 학습자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영역 조사 결과

항목 중급 학습자

응답 수

고급 학습자 응답 수

1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는 것 0 0

2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것 7 5

3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글의 처음 부분을 시작하는 것 2 5

4 서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0 2

5 본론(중간) 내용을 구성하는 것 4 6

6 결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0 0

7 서론과 본론, 결론 부분을 잘 연결하는 것 4 2

8 어휘와 문법을 틀리지 않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12 7

9 고급 어휘를 다양하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것 9 11

10 기타 0 0

(13)

2) 교사의 곤란 요인

(1) 교사들이 어려워하는 영역

앞 절에서 살펴 본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어려움들은 학습자의 개별 특성에 기인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교사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절에서는 교사가 고급 쓰기 문항을 교육할 때의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중급 학습자들과 고급 학습자들에 대한 교육 시,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운 영역에 대해 물었으며 이에 대해 3개까지 중복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표 9>와 같이 교사들이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에서 느끼는 어려움 은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즉, 본 조사에 참여한 교사들 은 고급 쓰기 문항을 가르칠 때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에 대한 교육에서 동일한 영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내용적 지식을 가르칠 때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 는 것’은,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수업에서 공통적으로 교사들이 가장 어 려움을 느끼는 영역이었다. <표 7>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고급 쓰기 문항에 대 해 학습자들은 언어적 지식의 활용에, 교사들은 내용적 지식의 교육에 어려움을

표 9. 교사의 가르치기 어려운 영역 조사 결과

항목 중급 학습자

대상 응답 수

고급 학습자 대상 응답 수

1 주어진 질문을 이해하는 것 4 3

2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각해 내는 것 14 14

3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글의 처음 부분을 시작하는 것 10 9

4 서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4 4

5 본론(중간) 내용을 구성하는 것 7 6

6 결론 내용을 구성하는 것 2 3

7 서론과 본론, 결론 부분을 잘 연결하는 것 0 2

8 어휘와 문법을 틀리지 않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5 3

9 고급 어휘를 다양하고 유창하게 사용하는 것 1 3

10 기타 1 1

(14)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Pham Thi Tuyet·Hoang Thi Yen(2018: 325)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글을 쓸 때 글 내용과 관련된 아이디어 를 생성해내는 것이 가장 어렵다는 결과와도 일치하는 바, 내용적 지식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방증한다.

다음으로 교사들은 글의 시작과 본론 구성에 대한 교육에서도 중급과 고급 학 습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어려움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이는 장르적 글쓰기의 모 형과 형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고급 쓰기 문항에서 요구하 는 논술문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교육적 지식과 훈련이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요 구된다고 하겠다.

교사가 고급 쓰기 문항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영역에 대한 조사와 함께 그 원인 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 10>에서 알 수 있다. 교사 요인(1~3), 학습자 요인(4

~6), 교육 환경 요인(6), 기타의 원인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대체로 학습자 요인, 교육 환경 요인을 가르치기 어려운 주요 원인으로 응답했다.

특히, ‘학습자들의 기본적인 글쓰기 실력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한국어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글 의 형식 교육과 함께 기본적인 글쓰기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준별 체계적인 교육도 필요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아울러 ‘학습자들의 주제 관련 내용적 지식의

표 10.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이 어려운 원인 조사 결과

항목 응답 수

1 교사가(내가) 학부나 대학원에서 이론은 배웠으나, 실제적인 쓰기 지도 방안에 대

한 지식이 부족하다. 3

2 교사가(내가) 질문에서 다루는 주제 관련 내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0 3 주어진 문제에서 어떤 부분을 우선적이고, 중점적으로 가르쳐야 하는지 모른다. 4 4 학습자가 질문에서 다루는 주제 관련 내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11

5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 13

7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자신감이 부족하다. 4

6 체계적인 쓰기 능력을 훈련할 쓰기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 12

8 기타 1

(15)

부족’에 대한 응답도 높았다. 앞서 <표 9>에서도 교사들이 가장 교육하기 어려워 하는 영역이 ‘내용적 지식’에 대한 영역이므로, 한국어능력시험을 대비한 한국어 교육에서 내용적 지식에 대한 다양한 교육 방안이 절실하다고 본다.

또한 교육 환경적 요인으로, ‘체계적인 쓰기 교육을 위한 수업 시간 부족’도 고 급 쓰기 문항 교육이 어려운 주요 요인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요인은 한국어교 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으나, 윤지원(2013: 114)에서 지적한 바 와 같이, 일반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쓰기 교육은 독립된 교과목으로 제시 되지 않거나 쓰기 수업 시간의 비중이 낮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도 필요하다. 특 히 본 조사에 참여한 교사들이 특정 기관이 아닌 세 곳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다 는 점도 대부분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기본적 글쓰기 소양 을 기르는 교육의 보완 필요성을 방증한다.

또 주목할 만 한 점은, 교사 요인이다. 교사들이 고급 쓰기 문항 교육에서 중점 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부분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응답 수는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낮기는 하나, 주관식 응답에서 다수(8명)의 응답자가 ‘교 사들이 채점 기준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채점 기준을 모르면 단순 오류 수정 에 그치기 쉽다.’는 응답을 했으며, 일부 응답에서는 학습자들에게도 간단하게나 마 채점 기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급 쓰기 문항은 20여 분간 고급 수준의 주제로 구성된 과제에 대해 글감을 생 각해 내고 글을 구성해야 하는 속도평가이므로 효율적인 쓰기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교육 시, 채점 기준을 토대로 짧은 시간에 본론에 서 주어진 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기까지 서론과 본론의 구성 전략에 대한 교육 이 요구된다.

그 외 윤지원(2013: 109-110)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교사들의 쓰기 능력 및 쓰기 지도 능력에 대한 부족도 적지 않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쓰기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문종에 따른 장르적 글쓰기 교육 방안뿐만 아니라 글의 전개와 조직 능력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재교육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16)

(2) 교사가 중점적으로 피드백하는 영역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서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평소 글쓰기에 대한 태도와 능력에 많은 영향을 준다. 언어 학습에서 교사의 쓰기 피드백은 학습자의 초고와 재고 수정을 위한 1차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쓰기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지적 발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크다(최연희 2009: 288). 이에 본고에 서는 교사가 한국어능력시험의 고급 쓰기 문항 교육 시 중점적으로 피드백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였다.

고급 쓰기 문항을 가르칠 때 한국어 교사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피드백하는 영 역은 <표 11>과 같이 ‘과제 수행’에 대한 영역이었다. 문항에서 제시한 과제를 수 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평가 문항에 대한 교육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과제 수 행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간극이 존재했다. <표 7>과 <표 8>에서 확인한 바 와 같이 학습자들은 과제 수행에 필요한 본론의 구성과 본론 내용 조직의 전 단 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글의 시작과 서론 구성 보다는 어휘 및 문법의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고급 쓰기 문항에서 일정한 성과를 내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 어떠한 부분에 초점을 두고 글을 써야하는지에 대한 인식 이 부족한 데 원인이 있다.

아울러, 중급 학습자들의 경우, 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어휘 및 문법 사용의 정

표 11. 교사가 중점적으로 피드백하는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항목 중급 학습자

응답 수

고급 학습자 응답 수

1 어휘 및 문법의 정확한 사용에 대한 부분 5 2

2 어휘 및 문법의 유창하고 다양한 사용에 대한 부분 0 0

3 서론, 본론, 결론의 각 단락 구성(비중, 단락 간 연결 등)에 대한 부분 0 2

4 질문에서 요구하는 내용의 초점화에 대한 부분 3 4

5 질문에서 요구하는 과제의 수행에 대한 부분 8 8

6 원고지 사용에 대한 부분 0 0

7 기타 0 0

(17)

확성에 대한 교사 피드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표 11>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언어적 지식의 부재에 가장 부담을 느낀다는 상술한 결과와도 관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한국어능력시험 채점 자들은 언어 사용보다는 글의 전개 구조에서 가장 엄격하게 평가하고 있다(안수 현·김정숙 2017: 193).6 이에 한국어능력시험의 채점 기준과 이를 바탕으로 한 초점화 교육이 교사에게도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주장하는 바이다.

또한 <표 11>에서 내용 전개 및 조직에 대한 피드백은 중급과 고급 학습자 대 상 교육에서 공통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부분 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내용 전개와 조직에 대한 평가가 소극적으로 이루어지 며, 평가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는 박진욱 외(2014: 333)의 결과와 일치한다. 문 종에 따른 형식과 결과물에 초점을 둔 결과 중심 쓰기 교육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글의 구성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하겠다.

5. 결론

고급 쓰기 문항의 중요성이 큰 이유는 우선 고급 수준(5~6급)의 학습자의 당 락을 좌우할 만큼 점수 배점이 높으나, 주어진 짧은 시간에 제시된 쓰기 과제를 수행하기에 쉽지 않은 난이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급 쓰기 문항과 관련된 과제 해결 능력은 곧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과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최근 고급 쓰기 문항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위해 기출 문항이나 모범 답안 분석 등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급 작문형 쓰기 문항에서 일 정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쓰기 과정에 더욱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모범 답안과 같은 정도의 쓰기 결과물을 도출하기까지 학습자가 어떤 단계를 거

6 안수현·김정숙(2017)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들의 특성 변인과 평가 요 소 특성에 집중하여 실제 채점자 20명의 답안지 150매를 분석하였는데, 채점자들은 언어 사용에서 가 장 관대하게, 글의 전개 구조에서 가장 엄격하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18)

쳐 쓰기 과제를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실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쓰기 학습의 목표 및 주안점에서도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교사와 학습자의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곤란 요인 조사는 해당 문항의 효율적 이고 실제적인 교육 방안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적 배경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해 가지는 어려움들을 조사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해 교사와 학습자가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에 차이 가 있었는데, 교사는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피드백을 주로 하나, 학습자는 언어 사용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고급 쓰기 문항에 서 언어 사용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영역도 언어 사용과 관련된 것이었다. 또한 중급 학습자는 어휘 및 문법 사용의 정확성 에, 고급 학습자는 유창성에 주목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기본적 글쓰기 소양이 부족한 것이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이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이었다. 본 조사에서 고급 쓰기 문항의 교육이 어려운 이유 로 학습자 요인이 가장 컸다. 특히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글의 서두를 시작하고 본론을 구성하는 글의 전개와 조직과 관련된 영역에서 교사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기본적 글쓰기 능력 부족과 함께 내용적 지식의 부재도 교사의 부담이 큰 요인이었다. 본 조사에서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질문에 대한 대답 내용을 생 각해 내게 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했으며, 내용적 지식의 부재는 교사와 학습자 양측에서 모두 교육하거나 문제를 풀 때 어려운 영역이었다.

넷째, 내용 전개 및 조직에 대한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 내용을 구성하고 조직 하는 것은 단락 차원의 글뿐만 아니라 장문의 글을 완성할 때 필수적인 글쓰기 능력이다. 본 조사에서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글쓰기 소양을 가지지 않 은 것이 쓰기 교육에 부담을 느끼게 하는 주요인이라고 응답했으나 실제 교사의 피드백에서 내용 구성 및 조직의 비중은 적었다.

본고에서 상술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의 교

(19)

육 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고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 육 시, 주어진 쓰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 수행과 과제를 수행함에 필요한 서론과 본론의 조직 및 전개의 중요성을 학습자들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조 사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글을 쓸 때, 내용 생성이나 글의 전개와 조직보다는 언어 사용 측면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주어진 쓰기 과제를 수행함에 과제에 적절한 내용을 생성하고 이를 문종에 맞게 구성하는 능력이 일차적으로 요구되기에 이에 대한 훈련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요인들은 한국어능력시험의 채점기준에도 반영되어 있으 며, 실제 채점자들은 언어 사용에는 관대하고, 글의 전개나 조직에 엄격하게 채 점한다는 점에서 고급 쓰기 문항 교육 시, 채점 기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교사 와 학습자에게 요구된다.

둘째, 논술문에 대한 장르적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고급 쓰기 문항이 속도 평가인 점을 감안했을 때, 짧은 시간 안에 주어진 쓰기 과제를 완료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집중적인 연습과 훈련이 요구된다. 해당 문항에서 일정한 점수를 확 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질문의 대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본론까지의 구 성이 완료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론 구성 방법은 물론이고, 본론이 나오기 전 단계인 글의 서두를 시작하고 서론을 구성하는 과정, 서론과 본론의 자연스러운 연결 과정에 대한 글의 형식 훈련도 필요하다.

서론의 구성에는 주어진 질문의 정보를 활용하여 주제 관련 용어의 개념 설명, 최근 사회 변화와 요구에 대한 진술 등 주제에 따른 형식적인 상용 표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아울러 서론의 마지막에 문제 상황 및 인식에 대한 질문, 이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담긴 표현 제시로 서론과 본론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훈련 시킬 수 있다. 주어진 과제에 대한 2~3개의 대답 내용이 포함된 본론을 구성할 때는 주장에 따른 근거나 사례 표현, 여러 사항에 대한 나열 및 진술 등에 대한 형 식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논술문의 장르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 모형을 제시하는 이러한 훈련은 학습자와 교사의 어려움을 고려했을 때, 고급 쓰기 문항 교육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는 단순히 한국어능력 시험 쓰기 문항에 대한 요령 습득이 아니라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대학 기관에서

(20)

수행하게 될 전공 관련 서술형 문항의 대답 내용을 구성하는 것과도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는 부분이다.

셋째, 내용적 지식의 확장과 활용을 위한 글쓰기 훈련이 필요하다. 본고의 조 사에서 학습자들이 고급 쓰기 문항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적 지식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지도 시 주요 곤란 요인이기도 하였다.

내용적 지식이 단기간에 습득될 수 없는 만큼 평소 한국어 교육 시 고급 수준의 한국어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주제들에 대해 다양한 활용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능력시험을 대비해, 사회적 주제와 관련된 주요 용어 및 표현들에 대한 교 육도 쓰기 수업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에서 가장 비중이 큰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해 학습자와 교사의 어려움 및 그 원인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수준별로 학습자에게 고급 쓰기 문항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설계하는 데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의 피조사자 수로, 조사 결 과를 일반화하고 교육 방안을 적용하는 데에는 검증과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본 고의 조사는 한국어능력시험의 고급 쓰기 문항을 위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므로 본고의 결과가 일반적인 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까지 이어지기 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본고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술한 사항을 보완 하여 한국어능력시험의 교육 방안 및 그 효과,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다 양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교신: 정성헌(영남대학교)(isak4428@hanmail.net, 전화: 053-850-5673)

Correspondence: Jeong, Seong Heon(Yeungnam University)(isak4428@hanmail.net, phone: 053- 850-5673)

2018.11.14 접수, 2018.11.19 심사, 2018.12.19 게재확정

참고문헌

김경선, 2018,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영역 교육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제

(21)

25차 국제학술대회, 베트남 하노이대학교, 2018년 5월 19일, 42-54.

박진욱 외, 2014, 한국어교육: 한국어 쓰기에서 내용 전개 및 조직 능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우리어문연구, 49, 317-352.

서유연, 2018, TOPIK 모범답안 텍스트 구조 분석을 통한 주장하는 글쓰기 모형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441-454.

송운옥, 2014, 교사 피드백 유형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수현·김정숙, 2017,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평가의 채점 특성 연구, 한국어교육, 2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3-196.

윤지원, 2013,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0(1), 99~129.

이명화, 2018,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교수-학습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제 25차 국제학술대회, 베트남 하노이대학교, 2018년 5월 19일, 227-248.

정다운, 2009,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지현숙, 2016,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국어교육연구, 38, 193- 221.

최연희, 2009, 영어 쓰기 교육론: 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Li yan·김정남, 2014,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을 위한 제안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작문 문항의

“주장하기”글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36, 287-321.

Pham Thi Tuyet·Hoang Thi Yen, 2018, 한국어 작문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습 활동의 개발 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제25차 국제학술대회, 베트남 하노이대학교, 2018년 5월 19일, 314-326.

국립국제교육원, http://www.topik.go.kr.

(22)

A Study on Teachers and Learners’s Perception about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in TOPIK

Jeong, Seong Heon*

Abstract_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erceptions of tearchers and learn-

ers about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in order to design a practical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in TOPIK. Ad- 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have a high score point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write Advanced level topics in limited time, which is a burden on teache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difficulty and the emphasis on the part of the teachers and learners about the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questionnaire are as the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teachers and learners put emphasis on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In the education of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the teacher focused on

‘Task performance’ and the learner focused on ‘language usage’. Especially inter- mediate learners were paying attention to ‘accuracy of vocabulary and grammar usage’, and advanced learners were paying attentioned to ‘fluency’. Second, the most difficult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Advanced Level Writing Ques- tion is because of the lack of learner’s basic writing ability. Especially, the teach- er’s difficulties ware great in the education about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ext. Third, the lack of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the topic was also a major factor for teachers to feel burden.

Keywords_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dvanced Level Writing Question,

Survey of Perception

* Yeungnam Universit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isak4428@hanmail,net

참조

관련 문서

◦ 읽기와 쓰기 동작이 자유로운 편이어서 RAM과 ROM의

의미론의 연구 내용과 영역에 대해 말해 보자.. 의미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 어떤 개념에 대하여 약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서 보다 강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 숚으로 척도를 배열하고 강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 긍정적인 응답자는 당연히

Customer 테이블의 Primary Key 인 custid의 경우 테이블생성시 clustered index가 생성 PK가 없을경우 정상수행.. 자동 생성된 경우

다음 각각의 경우에 대해, GDP와 GDP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영향을 결정하시오.. 서영은 청주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남편 우재와

• 어떤 상품에 대해 처음부터 지식이나 관심이 없는 소비자로 하 여금 이에 대한 욕구를 가지게끔 하려는 과제를 가진

[r]

ㅇ 그러나 한편으로, 무역에 따른 고급 커피에 대한 수요 증가가 생산자인 농민의 역량개발 , 지속가능한 공급 망 구축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증가하고 있는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