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간 호 학 과정 지 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연세대학교 대학원간 호 학 과정 지 수"

Copied!
7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정 지 수

(2)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지도교수 허 혜 경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6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3)

정지수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심사위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4)

감사의 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빌립보서 4:13)’

할 수 없을 것 같았던 나에게 하나님의 능력을 덧입혀 주셔서 논문이 나오기까지 함 께하여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드리고 영광을 올려 드립니다.

논문을 쓰면서 큰 가르침과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인사드립니다.

항상 저의 부족함과 어려움을 통찰력있게 바라보시며 갈팡질팡할 때 명확한 지침을 주시고 흔들릴 때 붙잡아 주시고 지칠 때 위로해 주시고 격려해 주시며 이끌어 주신 허혜경 교수님과 논문의 논리성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해 주시고 조언해주시며 담임반 교수님으로 항상 제 걸음을 기도로 응원해주신 신윤희 교수님, 그리고 세밀하고 섬세 한 조언으로 방향을 제시해주시고 문헌까지 직접 찾아주시며 이끌어주신 노영숙 교수 님께 감사드리고 훌륭한 교수님들을 통해 성장시켜 주신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또한 좋은 논문 쓰라고 격려해주시고 학생들 교육에 도움을 주신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TS 센터장 차경철 교수님과 기본소생술 교수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Nursing is art & science’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시고 간호학의 나아갈 방향 을 고민하게 해주신 우리 교수님들, 볼 때마다 건강을 챙겨주시고 많은 응원을 아끼 지 않으셨던 서미혜 교수님, 안양희 교수님, 임영미 교수님, 박소미 교수님, 김기연 교 수님, 김기경 교수님, 송희영 교수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교수님들의 격려로 무사히 논문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뻔 선배님이자 본 논문에 여러 형태로 도움을 주 신 최향옥 선배님과 항상 내 몸을 걱정해주시며 이것저것 챙겨주신 최지혜 선배님 정 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언제든 학과 사무실에 찾아갈 때마다 반갑게 맞아주며 맛난 것을 챙겨주고 격려해 준 문선영, 황윤정, 김수경, 고진화 사랑하는 후배님들 정말 감 사합니다.

‘Nursing is art & science’를 향해 지금도 일선에서 함께 애쓰며 저의 롤 모델이 되어주시는 김영신 간호국장님, 정혜경 간호부장님, 심재숙 간호부장님, 김연주 간호

(5)

부장님, 김앵도 간호과장님 감사합니다. 또한 병동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많이 신경써주신 김숙경 과장님과 갑작스런 스케쥴 요청에도 기꺼이 배려해 주고 격려해 주신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응급중환자실 동료 선생님들, 친언니, 동생 이상으로 항상 걱정해주고 응원해준 황선영 선생님, 이지영 선생님 정말 사랑하고 감 사합니다. 그리고 우리 대학원 동기 송정희 선생님, 김소영 선생님, 신동은 선생님, 이 근숙 선생님, 노지희 선생님, 3년 동안 같은 배움의 길에서 함께할 수 있어 너무 행복 하고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많이 힘들고 지쳐서 기도조차 나오지 않을 때 하나님을 다시 바라보게 하시고 위로 의 선물로 저에게 보내주신 대학교회 김한성 목사님, 장익 목사님, 민돈후 목사님, 임 이삭 전도사님과 우리 찬양팀 친구들, 그리고 볼 때마다 ‘선생님, 힘내세요.’ 응원해 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후배님들과 특히 연구에 참여해준 간호학과 2학년 들에게 무한한 사랑을 보냅니다.

말하지 않아도, 표현하지 않아도 나의 어려움을 알고 묵묵히 기도로 지원해 주고 나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는 우리 가족들 아버지 정영관님, 어머니 이영희님, 정 수미, 이광일, 정지현, 정혜진, 정대호와 이모 힘내라고 응원해 준 우리 이쁜 조카들 이민서, 이민채, 이민하 나의 사랑하는 가족들 정말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나의 환자들에게 더 좋은 간호를 해주고 싶어서 시작했던 대학원 공부였지만 실무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전체를 바라보는 통찰력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경험하게 되어서 생각의 넓이와 사고의 시야가 더욱 확장되는 시간을 경험하게 하시고 논문을 쓰는 인고의 시간을 통해 생각의 깊이가 한층 깊어지는 시간을 경험하도록 좋은 교수 님들과 선후배님들을 통해 좋은 배움을 갖게 해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이 시간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부르심의 소명에 더욱 가까이 가길 원하며 이 논문을 하나님께 올려드립니다.

2013년 6월 정지수 올림

(6)

차 례

그림차례 ··· ⅲ 표 차 례 ··· ⅳ 부록차례 ··· ⅴ 국문요약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 가설 ··· 4

4. 용어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 ··· 7

2.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 효과 ··· 8

3.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성 효과 ··· 10

Ⅲ. 연구 방법

··· 12

1. 연구설계 ··· 12

2. 연구대상 ··· 13

3. 연구중재: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 ··· 13

4. 연구도구 ··· 16

5. 연구진행 절차 ··· 19

6. 자료분석 ··· 22

(7)

Ⅳ. 연구 결과

··· 23

1. 실험군과 비교군의 동질성 검증 ··· 23

2. 가설검증 ··· 25

Ⅴ. 논의

··· 34

Ⅵ. 결론 및 제언

··· 40

1. 결론 ··· 40

2. 제언 ··· 42

참고문헌 ··· 43

부 록 ··· 49

영문요약 ··· 59

(8)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설계 ··· 12

그림 2. 연구진행 절차 흐름도 ··· 21

그림 3-1.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지식의 시점별 변화 ··· 32

그림 3-2.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의 시점별 변화 ··· 32

그림 3-3.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시점별 변화 ··· 32

(9)

표 차 례

표 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 구성 ··· 15

표 2-1. 실험군과 비교군의 일반적 특성 동질성 검증 ··· 23

표 2-2.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 ··· 24

표 3.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지식 평균 비교표 ··· 25

표 4.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평균평점 비교표 ··· 26

표 5-1. 2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 27

표 5-2. 6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 28

표 5-3.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술기 정확도 평균 비교표 ··· 29

표 6-1.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표 ··· 31

표 6-2. 실험군과 비교군의 2주-6주 사이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의 평균차이 비교표 ··· 33

(10)

부 록 차 례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 49

부록 2. 설문지 ··· 51

부록 3.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체크리스트 ··· 55

부록 4.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 사전조사 빈도분석표 ··· 56

부록 5.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 2주후 사후조사 빈도분석표 ··· 57

부록 6.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 6주후 사후조사 빈도분석표 ··· 58

(11)

국 문 요 약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본 연구는 심정지 응급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정확하고 효과적인 심 폐소생술을 적용하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 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교육효과와 지속성을 알아 보기 위해 비교군 시계열 연구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하고 있는 Y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18명과 비교군 17명, 총 35명으로 구성하였 으며, 자료수집은 2013년 3월 19일부터 6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중재인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은 이론 강의 30분, 술기 훈련 120분후 시뮬레이션 구동실습과 디브리핑을 연속해서 2회 반복 180 분으로 총 330분의 교육으로 구성되며, 대상자들에게 이론 강의 교육 후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을 사전조사 하였고, 이름 순서대로 짝수와 홀수로 실험군 과 비교군을 무작위 배정한 후 실험군에는 기본소생술 술기훈련 후 시뮬레이션 구동 실습과 디브리핑을 연속해서 2회 반복하여 제공하고 비교군에는 기본소생술 술기훈련 후 시뮬레이션 구동실습과 디브리핑을 1회 제공하여 교육 2주후 사후조사 1을 실시하 였고 교육 6주후 사후조사 2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심폐소생술 지식의 측정도구는 대한심폐소생협회(2011)의 ‘보건의료인을 위한 기본소생술 예습문제’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18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개 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의 측정도구는 Roh 등(2012)과 박정 미(2006)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17문항으 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측정도구는 대한심폐소생협 회(2011)의 성인기본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술기평가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 완하여 심폐소생술 수행관찰 평가 23항목과 술기 정확도 3항목, 총 26항목으로 개발 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2)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repeated measure AN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가설 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ANCOVA 분석결과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2. 연구가설 2: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ANCOVA 분석결과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3. 연구가설 3: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ANCOVA 분석결과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4. 연구가설 4: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6주후 심폐 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이 더 높게 유지될 것이다.”는 반복측정 분산분 석결과 모두에서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심폐소생술 지식 (F=3.88, p=.03), 자기효능감(F=3.96, p=.03), 수행능력(F=61.92, p=.00)은 시간의 경 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 하여 2주에서 6주 사이의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차이평균값 비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이와 같이 가설이 모두 지지받지 못하였으나 본 결과들을 통해 시뮬레이션기반 기 본소생술 반복교육이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복교육의 제공시점, 전체 교육시간과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마스터리 수 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응급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통해 심정지 상황에서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핵심되는 말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13)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심정지는 개인과 가족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초래하며 심정지 로부터 소생되더라도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타인에게 의존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경우가 많아 심정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치료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보건문 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 이상이 경과하면 뇌손상이 발생하 기 시작하여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사람이 빠른 시간 내에 응급의료체계에 알리고 심폐소생술을 하여야 한다(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간호사는 항상 환자의 바로 옆에서 그들을 돌보는 위치에 있으므로 병원 내에 응급상황이 발생 할 경우 최초 발견자가 되기 쉬우며, 병원 내 심폐소생술 최초 시행자가 간호사인 경 우가 49.6%로 가장 많아(김성숙, 김복자, 2006)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능력은 심정지 환자의 성공적인 결과에 중요한 요소이다(Madden, 2006). 간호학생은 향후 간호사로 서 심정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일차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위치에 있어 심정지 상황과 가까이 있기 때문에 간호학생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더욱 중요하다.

심폐소생술 교육에는 비디오 시청, 포스터 사용, 전화를 통한 교육, 마네킹을 사용 한 자가학습법,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방법, 시뮬레이션 기법 등 다양한 교육방법이 활 용되고 있으며(Hamilton, 2005), 일부 선행연구에서 비디오 시청과 포스터 사용, 마네 킹을 사용한 방법 등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실제로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심폐소생술을 직접 실시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었다(Carrero, et al., 2009; Shavit, et al., 2010). 또한, 백미례와 이인수(2001)는 심폐소생술 교육 후 시 간이 흐를수록 심폐소생술 교육내용에 대한 기억이 점차 망각되어 정작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야 하는 응급 상황 시 제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어려우므로 복습 또는 재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하였고, 미국심장협회는 심폐소생술 교육효과의 유지를 위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후 2년 이내에 재교육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심

(14)

폐소생술 교육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여러 연구(권말숙, 2010; 김수홍, 김상희, 심정신, 2007;

김혜숙, 최은영, 2012; 박요섭 등, 2006; 박종우 등, 2006; 안재윤 등, 2009; 홍정석 등, 2009;

Chamberlain, et al., 2002; Delasobera, et al., 2010; Lee, et al., 2007; Lo, et al., 2011; Madden, 2006; Smith, Gilcreast, & Pierce, 2008)에서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이 빨리는 4주 후부터 길게는 6개월 후까지 심폐소생술 교육효과가 빠르게 감소하여 교 육효과가 지속되는 기간이 연구자마다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2년 이내에 재교육 이 부적절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효과의 빠른 감소는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에 의하면 인간의 기억은 시간이 흐름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학습 후 10분 후부터 망각이 시작되어 하루만 지나도 70% 이상이 망각되기 때문으로 감소하는 기 억을 장기기억으로 영구히 보존하여 학습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복학습이 필 요하다(김소연, 2010). 또한 심폐소생술이 지식을 바탕으로 한 실기의 수행이라는 점 에서 일회성 교육은 교육효과를 지속하는데 한계가 있고,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내면화되고 실기가 정착되려면 반복연습이 필수적이며 지식과 수행능력이 더 오래 지 속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개선된 교육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김혜숙, 최은영, 2012).

심폐소생술의 반복교육은 의학과 학생에게 이론 강의와 술기실습 8개월 후에 강의 식 재교육 적용에서는 술기 정확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박요섭 등, 2006) 간 호사를 대상으로 이론 강의와 술기 훈련을 4개월마다 재교육했을 때 지식의 지속성은 없었으나, 8개월 후에 술기의 지속성을 보였으며(오수일, 한상숙, 2008), 기본 인명구 조술 자격증 과정을 이수한 간호학생에게 매달 음성 피드백 마네킹을 이용하여 6분의 실습을 반복교육하여 제공한 결과, 12개월 후에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여 (Oermann, Kardong-Edgren, & Odom-Maryon, 2011) 술기실습 교육을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심정지와 같이 작은 실수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 상황에의 대처 교육에 매우 유용한 교육방법으로(Hamilton, 2005), 국외에서는 의료인 및 의료종사자들의 의학적 실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시뮬레이 터를 이용한 교육이 강조되고 효율성을 지지받고 있다(Monhan, 2002). 특히, 임상적 노출이 적은 학생과 신규 의료인에게 윤리적 문제없이 급성기 환자 관리를 학습할 수

(15)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술기를 능숙하게 성취할 수 있도록 자신의 수행에 대 한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한다(Perkins, 2007).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은 지식, 태도, 술기 교육에 효과적으로 (Mundall, Kennedy, Szostek, & Cook, 2013; Norman, 2012) 전통적 기본소생술 교육 보다 지식, 수행자신감과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권말숙, 2009; 고종현, 2007; 김윤희, 장금성, 2011; Lee, et al., 2007; Lo, et al., 2011; Wayne, et al., 2006) 교육효과의 지 속성에서도 효과적이었다(Delasobera, et al., 2010).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의 반복교육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 없었지만 시뮬레이션 상황에의 반복노 출이 시뮬레이션 교육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제안되었고(Cant

& Cooper, 2010), 초심자인 간호학생들은 한번의 시나리오 구동과 디브리핑으로는 학 습내용을 많이 놓치기 때문에 반복적인 실습과 디브리핑으로 학습효과를 더 크게 얻 을 수 있다고 하였으며(Kardong-Edgren, Sartkweather, & Ward, 2008), 간호사에게 중환자간호 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을 반복 적용하여 술기와 팀워크의 향상이 보고된 바 있다(Abe, Kawahara, Yamashina, & Tsuboi, 2013).

또한 간호학생이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효과를 확인한 선행 연구들은(권말숙, 2010; 김수홍 등, 2007; 김혜숙, 최은영, 2012; 오수일, 한상숙, 2008;

홍정석 등, 2009; Madden, 2006; Smith, et al., 2008) 비교군 없이 단일군 실험설계로 효과를 입증하여 비교군 연구설계로 그 효과를 입증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소생술 술기교육에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을 더하여 연속해서 2회 반복 적용한 후에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 는 교육효과와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1회 교육만을 제공받은 비교군과 비교하여 확인 하고자 하며, 이는 추후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을 보다 장시간 지속 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6)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심 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파악하고 6주후 교육효 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연구 가설

1) 제 1가설;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2) 제 2가설;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3) 제 3가설;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4) 제 4가설;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6주후 심폐 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이 더 높게 유지될 것이다.

(17)

4. 용어 정의

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

이론적 정의 : 건강관리 영역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은 기계적 조작을 통하여 발생 가능한 상황을 인위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교육기기나 방법으로 시뮬레이터를 교육에 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Cooper & Taquetti, 2004).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은 기본소생술 이 론 강의 후 심폐소생술 실습모형(Little Anne, Laerdal, Stavenger, Norway)을 이용한 술기 훈련 후에 심실세동 시나리오를 가지고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SimMan, Laerdal, Stavenger, Norway)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후에 디브리핑을 실시하고 연속해서 다시 시뮬레이션 실습과 디브리핑을 반복학습하는 기본소생술 교육을 말한다.

2) 교육효과

(1) 심폐소생술 지식

이론적 정의 : 심정지 환자의 반응 및 의식 확인, 응급의료체계에 신고, 가슴압 박, 기도유지와 인공호흡, 순환재평가 및 자동제세동기 적용법에 관한 인지적 이 해를 말한다(박정미, 2006).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한심폐소생협회(2011)의 ‘보건의료인들을 위한 기본소생술 예습문제’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심폐소생술 지 식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이다.

(18)

(2)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이론적 정의 : 기본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을 의미 하며 기본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의 지각정도를 말한다(강경 희, 이인숙, 2005).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Roh, Issenberg, Chung, & Kim (2012)과 박정미 (2006)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이다.

(3)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이론적 정의 : 심정지 환자의 반응 및 의식 확인, 응급의료체계에 신고, 가슴압 박, 기도유지와 인공호흡, 순환재평가 및 자동제세동기 적용으로 구성된 영역의 동작 및 수행의 정신 운동적 영역으로 수행의 절차 및 시간과 술기의 정확도를 말한다(박정미, 2006).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 기본소생술의 절차와 시간은 대한심폐소생협회(2011)의 성인 기본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술기평가지를 토대로 수정․보완한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체크리스트로서 수행관찰 평가와 술기 정확도로 구성된다. 술기 정확도 는 마네킹에 연결된 컴퓨터에 의해 출력된 분당평균압박수, 분당평균압박깊이, 호 흡 정확도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능력이 높은 것 이다.

3) 교육효과 지속성

이론적 정의 : 교육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망각이 급격히 진행되며 그 후에는 일 정수준을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이향련, 1993).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육 2주후와 교육 6주후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점수의 차이를 의미하며 점수 차이가 적을수록 지속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19)

Ⅱ. 문헌고찰

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은 멀티미디어 기술, 모형,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 등을 포함하는 여 러 가지 교육형태로서 의학 및 간호학에서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교육전 략이며,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비디오 또는 마네킹과 같은 장비사용과 역할극과 같은 방법을 통해 비판적 사고, 의사결정, 시술을 할 수 있 도록 설계된 실제 임상현장을 모방하는 일련의 활동으로(Jeffries, 2005) 정의된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주요 장점은 첫째, 교육 일정의 조정이 용이하며 둘째, 교육 환 경이 안전하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실수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용납되거나 교육 목표에 따라 조장될 수 있으며 셋째, 학습자의 수행능력을 객관적으 로 평가할 수 있고 넷째, 즉각적인 디브리핑이 가능하므로 개인의 학습뿐 아니라 단 체 학습에도 효과적이며 여러 분야의 의료종사자들에게 팀 훈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팀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Kneebone, 2003).

시뮬레이션 교육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제한점이 있는데 시뮬레이션 센터를 구축하 는데 필요한 시설, 인력, 그리고 장비와 관련된 비용의 문제와 시뮬레이터를 통해서 얼마나 실제적인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느냐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시뮬레 이터 또는 시뮬레이션 환경에 익숙하지 않음으로써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는 등 의 제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교한 시나리오와 교육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심폐소생술은 자주 발생하는 사건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 후 교육장소에서 훈련받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게 하는 데에 제한이 있으므로(Mundell, et al., 2013)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은 시뮬레이션 마네킹을 통하여 실제의 응급상황과 유사하게 상황을 설정함으로써 응급상황을 경험하도록 하여 지식과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고 실제 심정지 상황에서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심폐소생술 교 육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Perkins, 2007).

(20)

2.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 효과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은 심정지 환자에게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신 감과 술기에 대한 능력을 의미하며 심폐소생술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세 가 지 측면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심정지 환자는 4-5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시작되므로 심정지 발생을 처 음 목격한 사람이 즉시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 때보다 심 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3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고, 심정지 후 목격자에 의해 4분 이내에 기본소생술이 시작되고 8분 이내에 전문소생술이 시작되면 심전도상 심실세동 환자의 43%가 생존하므로(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심폐소생술의 정확한 수행능력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 지식은 자신감과 술기에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 지식이 기초가 되어야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론적 근거에 의한 술기를 실시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지식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권말숙, 2009; 김윤희, 장금성, 2011; 김진영, 전성숙, 김동희, 최송 실, 2008; 백지윤, 2006; 오수일, 한상숙, 2008; 최향옥, 2006; Delasobera, et al., 2010;

Madden, 2006; Moule, Wilford, Sales, & Lockyer, 2008; Smith, 2008)에서 심폐소생 술 원칙, 기본소생술, 전문심장소생술에 대한 총 지식의 평균을 살펴보면 100점 만점 에서 69.38-91점 사이의 점수를 보였으며, 지식점수가 낮은 문항은 인공호흡, 맥박확 인, 흉부압박,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 기도폐쇄처치이었고 의식확인, 호흡확인, 기도유지, 구조요청은 지식점수가 높았다.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 후 심폐소생술 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권말숙, 2009; Moule, et al., 2008),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심폐소생술 실습 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군의 지식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 었으며(이숙희, 채명정, 김금란, 김은정, 하숙현, 2010),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전문소생술을 교육에서도 지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백지윤, 2006). 그러나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이론교육과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 과 정과 시뮬레이션 교육 간의 지식 비교에서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 과정을 교육받은

(21)

군에서 지식점수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Delasobera, et al., 2010), 각각 의료종사자 와 의학과 학생에게 시뮬레이션 교육 적용에서도 심폐소생술 지식에 대한 유의한 차 이가 없어(Hoadley, 2009; Lo, et al., 2011) 심폐소생술 지식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의 효과는 일관적이지 않았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조직하고 실행해 나 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 즉 확신이나 기대로서(Bandura, 1997),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란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해 자각하는 자 신감을 말하며 자신감이 높을수록 지식과 술기능력도 높아질 수 있다(강경희, 이인숙, 2005).

그러나 Nyman과 Sihvonen (2000)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자신감과 술기 능력 측정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가 평가에서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매일 응급상황에 노출되었을 경우 자신감은 높았지만 술기능력은 높지 않아 자신감과 술기 능력을 함께 평가해야함을 보여주었다. Lo 등(2011)도 의학과 학생에게 전문소생술 과 정 후 인간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하여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행능력은 교육 직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지속성에서는 교육 1년 후 수행자신감 은 유지되었으나 수행능력은 감소되어 심폐소생술 자신감과 수행능력이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컴퓨터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과 마네킹기반 시 뮬레이션 실습 간에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간호사들은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이 업무 수행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였으며(Roh, Lee, Chung, &

Park, 2013) 병원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제공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도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신규간호사에게 시뮬레이션 실습을 제공하는 것이 업무적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Leigh, 2008).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광범위하며 기본적인 능력을 포함하여 개인의 특성과 상황 이나 다양한 임상 장소에 따라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를 의미하며(이원웅 등, 2009) 심폐소생술은 술기이므로 술기수행능력을 수행평가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의 수행능력은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 후 간호 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권말숙, 2009; Moule, et al.,

(22)

2008),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점수가 전통적 기본소생술 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이숙희 등, 2010), 간호사에 게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전문소생술 교육에서도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백 지윤, 2006).

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수행 자신감에 효과적이나(권말숙, 2010; 김혜숙, 최은영, 2012; 김수홍 등, 2007; Madden, 2006),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이 전통적 심폐소생술 교육보다 지식, 수행능 력에 효과적이었고(권말숙, 2009; Moule, et al., 2008), 간호사 대상으로 실시한 시나리 오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적용에서 지식과 수행능력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으며(Smith, et al., 2008), 보건계열 학생의 술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고(고종현, 2007), 의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소생술 과정 이후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한 군에서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Lo, et al., 2011).

3.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성 효과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는 궁극적으로 심정지 상황 발생 시에 심폐소생술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교육효과의 지속성 유지가 중요하다.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성 효과 연구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전통적 기본소생술을 실시하여 교육 직후, 교육 4주후, 8주후, 6개월후, 1년후를 조사한 결과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8주에서 6개월 사 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행능력은 교육직후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 소하였다. 특히 환기량은 교육 직후부터 유의하게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가슴압박 은 교육직후에서 4주 사이와 4주에서 8주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김혜숙, 최은 영, 2012). 간호학생은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 과정 교육 4개월 후에 지식과 수행능 력 모두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권말숙, 2010), 기본소생술 술기훈련 교육 10주후에 지식과 수행능력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지식과 술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adden, 2006).

(23)

일반인을 대상으로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 과정 이수 6개월 후 수행능력을 조사한 결과 가슴압박 깊이는 유지되었으나 손의 위치는 80%에서 47%로 압박속도는 63%에 서 5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도확보와 환기량은 유지되었으나 호흡 정확도는 68%에서 35%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Chamberlan, et al., 2002).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을 적용한 지속성 연구로 Ackermann (2009)은 간호학생에게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지식과 술 기능력 및 3개월 후 지속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나 Lo 등(2011)은 의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소생술 과정 교육 후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한 군과 전문소생술 과정 만 교육한 군을 비교한 결과 1년후 수행자신감과 수행능력이 두군 간의 차이가 없었 고, Smith 등(2008)의 연구에서도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나리오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직후,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후 지식과 수행능력을 조사한 결과 지식은 보 유하였으나 수행능력은 교육직후부터 빠른 감소를 보였다.

심폐소생술 반복교육에서 간호사에게 제공한 4개월 간격의 이론과 술기훈련 반복교 육의 지속성에는 지식에 효과가 없었으나 술기의 지속성에는 효과적이었으며(오수일, 한상숙, 2008), 의학과 학생에게 심폐소생술 이론과 술기실습 교육 8개월 후 강의 재 교육 실시에서는 술기절차는 유지했지만 술기 정확도에서 감소를 보였고(박요섭 등, 2006), 매달 육성 피드백 마네킹을 이용한 재교육에서는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향상 을 보여(Oermann, et al., 2011) 반복교육의 방법과 반복교육의 시기가 효과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은 전통적 교육보다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나 교육의 지속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술기 중심의 심폐소생술 반복교육이 수행능력의 지속성에 효과를 보였으며, 반복교육 의 제공시점이 처음 교육과 가까운 시기에 제공되었을 때 수행능력의 지속성에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을 연 속해서 2회를 제공한 후에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한 교육효과와 지속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24)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이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한 비교군 시계열 연구설계이다.

사전조사 실험처치 2주후

사후조사1

6주 후 사후조사2

실험군 {1 X1 {2 {3

비교군 {1 X2 {2 {3

X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 X2: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단일교육

{1: 사전조사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2;: 사후조사1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3: 사후조사2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그림 1. 연구설계

(25)

2. 연구대상

1)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연구대상자는 W시 Y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아래의 선정기준에 맞는 35명을 선정하여 2회 연속해서 반복교육을 받는 실험군 18명, 단일교육을 받는 비교군 17명을 무작위 배당하였다.

(1)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이 없는 자 (2) 연구목적에 동의한 자

2) 대상자 산출기준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대상자 수는 G-power 3.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repeated measure ANOVA 방법으로 3회 반복 측정, 효과크기(d) 0.5, 유의 수준(α) 0.05. 검정력(1-ß) 0.90로 산정한 결과 총 표본 수 32명으로 산출되어 본 연구 에서 표본수를 충족하였다.

3. 연구중재: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은 이론 강의 30분, 술기 훈련 120분, 브리핑 20분, 시뮬레이션 구동 실습 10분, 수행관찰 10분, 디브리핑 60분으로 구성되었으며(표 1. 참 조)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은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을 실시 한 후에 첫 번째 디브리핑을 실시하고 연속해서 같은 심실세동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을 반복한 후에 두 번째 디브리핑을 첫 번째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후 마지막에 알고리즘을 확인하는 교육이다.

교육에서 이론 강의는 기본소생술 교수자(instructor) 자격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가 30분 동안 진행하였으며 기본소생술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후 알고리즘에 따른 수행

(26)

절차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동영상을 보면서 알고리즘대로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 주었다.

술기 훈련은 기본소생술 술기 훈련으로 기본소생술 교수자 자격이 있는 응급의학과 의사 1명, 간호사 2명, 응급구조자 3명이 각각 간호학생 6명에게 120분 동안 진행하였 으며 심폐소생술 실습모형(Little Anne, Laerdal, Stavenger, Norway)를 이용하여 성 인 1인 구조자 기본소생술 술기를 시범보인 후 실습하였고, 교육용 자동제세동기 (Laerdal AED Trainer2)를 이용하여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을 시범보이고 실습하였다.

술기 훈련 시 교수자 한명이 6명의 학생을 담당하였고 실습모형 1대당 3명의 학생이 실습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은 20분 동안 시뮬레이션 실습실 및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 (SimMan, Laerdal, Stavenger, Norway)에 대한 소개와 심실세동 시나리오 진행에 대 해 브리핑한 후에 시뮬레이션 실습을 2인 1조로 1인당 구동실습 10분, 수행관찰 10분, 총 20분간 실습을 수행하였다. 이때 이용된 시나리오는 2010년 미국심장협회 가이드 라인을 근거로 강혜원과 허혜경(2010)이 사용한 샌프란시스코 시뮬레이션 교육 협력 기구의 작성양식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해 본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2인에게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 였다.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 실습이 끝나고 바로 디브리핑실의 독립된 공간에서 진행하 였으며 3조의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 6명씩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디브리핑은 구조 화된 가이드라인(허혜경, 박소미, 2012)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며 자신의 실습경험을 나 눈 후 한명의 실습학생의 시뮬레이션 수행 동영상을 보고나서 스스로 수행한 절차를 되돌아보고 환자에게 기대하였던 것과 잘한 것과 부족하게 하였던 수행부분을 되돌아 보고 알고리즘을 다시 한번 확인하여 해당 시나리오에서의 수행절차 및 정확한 방법 에 대해 다시 설명하였다.

(27)

절차 구조 내용 방법 시간 장소

이론 강의

개요 y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과 절 차에 대해 설명함

강의

동영상 30분 강의실

알고리즘

y초기 환자평가 및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y맥박확인

y기본소생술 시행

y즉각적이고 적절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y효과적인 인공호흡의 시행

y환자재평가

y동영상을 보면서 알고리듬대로 수행 하는 방법을 보여줌

술기 훈련 기본소생술 술기 훈련

y성인 1인 구조자 기본소생술 술기를 시범보이고 실습함

- 구강 대 구강을 이용한 인공호흡 - 1인 구조자 기본소생술

y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 을 시범보이고 실습함

심폐소생술 실습모형을 이용한 시범 및 실습

120분 술기 실습실

시뮬레이션 실습

브리핑

y시뮬레이션 실습실을 소개함: 필요한 물품의 위치 및 장비사용 방법 ySimMen을 소개함 : SimMan을 보여 주고 만져보게 하여 친숙해지도록 함 y심실세동 시나리오를 소개함

설명

시범 20분

시뮬레 이션 실습실 시뮬레이션

구동 실습

y심실세동 시나리오를 이용하며 1인 구 조자 기본소생술을 실습함

y2인 1조으로 한명당 10분 구동실습 y한명 실습 구동시 다른 한명 수행관찰

인간 환자 시 뮬 레 이 터를 이용 한 실습

구동실습 10분 수행관찰

10분

디브리핑 디브리핑

y3조의 시뮬레이션 실습을 한 직후 디브리핑을 진행함

-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경험을 나눔 - 촬영한 동영상을 보면서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을 나눔

- 알고리듬을 보면서 다시 한번 놓친 부분을 점검함

- 실습을 통해 얻은 지식과 기술을 나눔

- 그 밖에 나누고 싶은 것을 나눔

토의 60분 디브리

핑실

표 1.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교육 구성

(28)

4. 연구도구

1) 심폐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 지식은 대한심폐소생협회(2011)의 ‘보건의료인들을 위한 기본소생술 예습 문제’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18개 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도구로 먼저 5 개 답가지의 객관식 문항 20개를 개발하였다. 그 후 W시 Y병원 심폐소생술 교육장인 응급의학과 교수 1인, 기본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2인, 기본 인명구조 술 자격증을 가진 간호학과 교수 2인, 기본소생술 교수자의 자격이 있는 간호학과 교 수 1인, 응급실 및 응급중환자실에 근무한 경험이 있고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을 가 진 간호학과 대학원생 4인을 통해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조사를 위해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을 가진 간호학과 4학년 54명 을 대상으로 예비조사하여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난이도와 분별도를 확인 하였다.

질문지의 난이도는 .25 이하 어려운 문항, .25 - .75 적절한 문항, .75이상 쉬운 문 항으로 고난이도 문항과 저난이도 문항이 골고루 섞여있어야 하며, 분별도는 .40 이 상 변별력이 높은 문항, .30 - .39 변별력이 있는 문항, .20 - .29 변별력이 낮은 문 항, .10 - .19 변별력이 매우 낮은 문항, .10미만 변별력이 없는 문항으로 .20 이하의 문항은 좋지 않은 문항으로 수정이나 삭제의 기준에 따라(성태제, 1996; 양지승, 이규 민, 강상진, 2007), 질문지의 난이도는 .20 - .90 사이에 분포되도록 하였고, 분별도는 .20이하 값이 나온 3문항 중 의미 전달이 잘못된 2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18문항을 선 정하였다.

각 문항의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 처리하였으며, 맞은 개수를 100점 환산하여 사용 하여 심폐소생술 지식의 가능점수 범위는 0점~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29)

2)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은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 로 Roh 등(2012)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와 박정미 (2006)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18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W시 Y병원 심폐소생술 교육장인 응급의 학과 교수 1인, 기본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2인, 기본 인명구조술 자 격증을 가진 간호학과 교수 2인, 기본소생술 교수자의 자격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1인, 응급실 및 응급중환자실에 근무한 경험이 있고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을 가진 간호학 과 대학원생 4인을 통해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여 문항의 어휘를 수정·보완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Cronbach α=.933 이었고, 요인 분석을 통해 Roh 등(2012) 의 도구의 하위영역인 인식, 보고, 반응 및 구조, 디브리핑 및 기록에서 2학년 간호학 생에게 기록은 적합하지 않아 1문항을 제외하여 인식 6문항, 보고 2문항, 반응 및 구 조 7문항, 디브리핑 2문항으로 최종 17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척도는 ‘매우 자신없다’ 1점에서 ‘매우 자신있다’ 5점으로 5점 Likert 척도이며 가능점수 범위는 1점~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 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α=.882 이었다.

3)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기본소생술 동작 및 전 영역의 수행의 절차 및 시간과 술기 의 정확도를 의미하며(김혜숙, 김미선, 박미화, 2009) 대한심폐소생협회(2011)의 성인 기본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술기평가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심폐소생 술 수행관찰 평가 24항목과 술기 정확도 3항목으로 총 27개 항목을 일차 개발하였다.

일차 개발된 도구는 W시 Y병원 심폐소생술 교육장인 응급의학과 교수 1인, 기본소생 술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2인,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을 가진 간호학과 교

(30)

수 2인, 기본소생술 교수자의 자격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1인, 응급실 및 응급중환자실 에 근무한 경험이 있고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을 가진 간호학과 대학원생 4인에게 문 항 내용, 어휘, 체크리스트 평가방법 등에 대해서 전문가 타당도를 실시하여 중복된 수 행관찰 평가항목 1개를 제외한 수행관찰 평가 23항목과 술기 정확도 3항목 총 2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그 후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간호학과 2학년 5명을 대상으로 두 명의 관찰자가 심폐소생술 술기 수행을 관찰 평가하여 관찰자간 신뢰도가 Kendall tau-b=.756이었다.

최종 도구의 구성은 의식확인 2문항, 도움요청 2문항, 맥박확인 2문항, 가슴압박 7문 항, 인공호흡 3문항, 자동제세동기 사용 4문항, 순환재평가 4문항, 통합성 2문항의 총 26문항이다.

수행관찰 척도는 정확하게 수행할 경우 1점, 부정확하게 수행하거나 미수행의 경우 0점으로 하였으며 술기 정확도 항목은 Resusci Anne SkillReporter pc system (Laerdal, Stavenger, Norway)에 의해 출력된 기록의 2분간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 였으며 분당평균압박수 100-120회/분, 분당평균압박깊이 50-60mm, 호흡 정확도 80-100% 일 경우 1점, 그 이외 0점으로 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0점~2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 한다.

(31)

5. 연구진행절차

1) 교수자(instructor) 오리엔테이션

기본소생술 강의 및 술기 실습 진행을 위해 기본소생술 교수자 자격이 있는 간호학 과 교수 1명, 응급실 간호사 1명, 응급의학 의사 1명, 응급구조사 3명 총 6명에게 연 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강의 후에 술기 훈련이 진행되며 술기 훈련의 내 용은 성인 1인 구조자 기본소생술 술기를 실습하면서 이때 사용하는 호흡법은 구강 대 구강을 이용한 인공호흡법을 교육할 것과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제세동 방법을 시범보이고 이때 자동제세동기를 가지고 온 사람이 패드를 부착하는 것으로 교육하도 록 30분간 설명하여 술기 실습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2) 예비조사

예비조사는 심폐소생술 지식과 자기효능감 도구의 신뢰도 조사를 위해 2013년 3월 19일에서 22일까지 W시 소재 Y대학교의 기본인명구조술 자격증이 있는 간호학과 4 학년 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체크리스트의 관찰자간 신 뢰도를 위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3) 본 조사 절차

본 조사 기간은 2013년 3월 19일부터 6월 22일까지로 W시의 Y대학교 간호학과 2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는 Y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연구 진행 승인을 받은 후 (YWNR-13-0-007) 그림 2와 같이 진행하였다.

(32)

Y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기간 등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학생 중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이 없는 대상자 35 명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그 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기초 지식이 전혀 없는 학생들이므로 사전조사 전에 기본 소생술 이론 강의를 제공한 후 질문지를 이용하여 25분간 심폐소생술 지식과 자기효 능감을 사전조사 하였고, Resusci Anne SkillReporter pc system (Laerdal, Stavenger, Norway)을 이용하여 사전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관찰수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학생들의 이름 순서 번호로 홀수는 실험군으로 짝수는 비교군으로 무 작위 배정하여 자신이 어느 군에 속하였는지 알지 못하였다.

그 후 심폐소생술 실습모형(Little Anne, Laerdal, Stavenger, Norway)를 이용하여 기본소생술 술기 훈련을 실시한 후에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SimMan, Laerdal, Stavenger, Norway)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을 하였다. 실험군은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을 시행하였고, 비교군은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단일교육을 시행하였으며 교육 시행 시 학생들의 번호 순서대로 실시하여 교수자와 운영자가 어 느 군에 속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사후조사는 질문지의 조사-재조사 효과를 줄이기 위해서 2주일 후에 실시 하였고, 두 번째 사후조사는 6주 후에 실시하였으며 사전조사와 마찬가지로 실험군과 비교군 구분하지 않고 번호대로 약속을 정해서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은 질문 지를 이용해 25분간 조사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Resusci Anne SkillReporter pc system (Laerdal, Stavenger, Norwa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3)

심폐소생술 이론 강의 30분

⦁심폐소생술 실습모형를 이용한 기본소생술 술기 훈련 120분

⦁인간 환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2회 반복교육 총 180분

(N=18)

⦁심폐소생술 실습모형를 이용한 기본소생술 술기 훈련 120분

⦁인간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단일교육 총 100분

(N=17) 사전 조사 :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2주후 사후 조사 1 :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6주후 사후 조사 2 :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그림 2. 연구진행 절차 흐름도 2학년 간호학생 대상자 선정

(N=35)

무작위 배정

(34)

6.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 Chronbach's α, 문항분석 난이도, 분별도, 관찰자간 신뢰도 Kendall tau-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군과 비교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χ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t-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실험군과 비교군의 교육효과는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5) 실험군과 비교군의 교육효과 지속성은 repeated measure ANOVA,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5)

특성 구분 실험군 (n=18) 비교군 (n=17)

χ2/t p n (%)/M±SD n (%)/M±SD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별 남자 여자

7명 (38.9) 11명 (61.1)

-

17명 (100) 8.26* .008

연령 19.9 ± 1.2 19.7 ± 1.1 0.49 .627

심폐소생술 교육경험

아니오 예

13 (72.2) 5 (27.8)

14 (82.4)

3 (17.7) 0.51* .691

Ⅳ. 연구결과

1. 실험군과 비교군의 동질성 검증

1) 실험군과 비교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에서 실험군의 나이 평균 19.9 ± 1.2 세, 비교군의 나이 평균 19.7 ± 1.1세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심폐소생술 교육경험 유·무에서도 실험군과 비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성별에서 실험군의 남자 7명, 여자 11명, 비교군의 여자 17명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χ2=8.26, p=.008)(표 2-1)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이 유지되 지 않아 교육효과에 대한 가설검정에서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로 분석하 였다.

표 2-1. 실험군과 비교군의 일반적 특성 동질성 검증 (N=35)

* Fisher’s exact test

(36)

변수

실험군 (n=18) 비교군 (n=17)

t p

M±SD M±SD

심폐소생술 지식 71.91±8.83 75.49±11.46 -1.03 .307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3.86±0.42 3.85±0.58 0.07 .949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15.33±3.46 15.47±3.04 -0.12 .902

술기 정확도

분당평균압박수(회/분) 116.11±10.04 118.82±11.14 -0.76 .454

분당평균압박깊이(mm) 46.11±8.33 41.47±7.85 1.69 .100

호흡 정확도(%) 7.39±24.38 8.12±21.36 -0.09 .926 2)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검정한 결과 심폐소생술 지식은 실험 군이 71.91±8.83, 비교군이 75.49±11.46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t=-1.03), 심폐소생 술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이 3.86±0.42, 비교군이 3.85±0.58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0.07),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실험군이 15.33±3.46, 비교군이 15.47±3.04, 술기 정확 도의 3항목도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종속변수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표 2-2).

표 2-2. 실험군과 비교군의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 (N=35)

(37)

시점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2주 1 17.19 17.19 0.23 .639 실험군 73.35

비교군 74.95

6주 1 24.91 24.91 0.21 .653 실험군 68.90

비교군 70.83

2. 가설검증

1) 연구가설 1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 술 반복교육군(이하 ‘실험군’)과 시뮬레이션기반 단일교육군(이하 ‘비교군’) 간의 지 식점수의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3) 중재 2주후 실험군 73.35, 비교군 74.95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 주후도 실험군 68.90, 비교군 70.83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은 기 각되었다.

표 3.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지식 평균 비교표

(N=35)

(38)

시점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2주

전체 1 0.02 0.02 0.05 .833 실험군 4.10

비교군 4.15

인식 1 0.15 0.15 0.63 .433 실험군 4.07

비교군 3.92

보고 1 0.04 0.04 0.12 .727 실험군 4.68

비교군 4.60

반응 및 1 0.81 0.81 0.59 .447 실험군 3.97

구조 비교군 4.32

디브리핑 1 0.42 0.42 1.34 .256 실험군 4.06

비교군 3.81

6주

전체 1 0.236 0.236 1.04 .316 실험군 3.92

비교군 3.73

인식 1 0.08 0.08 0.33 .572 실험군 3.86

비교군 3.75

보고 1 0.01 0.01 0.02 .894 실험군 4.68

비교군 4.60

반응 및 1 0.43 0.43 1.54 .223 실험군 3.93

구조 비교군 3.67

디브리핑 1 0.77 0.77 1.50 .230 실험군 3.62

비교군 3.28

2) 연구가설 2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자기 효능감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4)는 중재 2주후 실험군 4.10, 비교군 4.15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주후 는 실험군 3.92, 비교군 3.73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2는 기각되었다.

표 4.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평균평점 비교표 (N=35)

(39)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전체 1 4.95 4.95 1.10 .302 실험군 22.50

비교군 21.64

의식 1 0.00 0.00 -* - 실험군 2.00

확인 비교군 2.00

도움 1 0.92 0.92 0.79 .382 실험군 2.00

요청 비교군 1.88

맥박 1 0.21 0.21 2.69 .111 실험군 2.00

확인 비교군 1.82

가슴 1 0.78 0.78 0.55 .464 실험군 5.85

압박 비교군 5.51

인공 1 0.00 0.00 0.00 .936 실험군 2.51

호흡 비교군 2.52

자동제세 1 0.04 0.04 0.14 .714 실험군 3.78

동기사용 비교군 3.70

순환 1 0.31 0.31 0.13 .723 실험군 2.64

재평가 비교군 2.85

통합성 1 0.94 0.94 2.61 .116 실험군 1.73

비교군 1.35

3) 연구가설 3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수행 능력의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5-1, 표 5-2, 표 5-3)는 중재 2주후 실험군 22.50, 비교군 21.64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주후는 실험군 20.46, 비교군 20.04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 설 3은 기각되었다.

추가분석으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사전, 2주후, 6주후에서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부록 4, 5, 6) 빈도분포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5-1. 2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N=35)

* 두 집단의 평균 표준편차가 같으므로 F-값을 계산할 수 없음

(40)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전체 1 1.16 1.16 0.10 .755 실험군 20.46

비교군 20.04

의식 1 0.22 0.22 1.94 .173 실험군 1.86

확인 비교군 2.04

도움 1 0.50 0.50 2.09 .158 실험군 1.73

요청 비교군 2.00

맥박 1 0.26 0.26 0.38 .543 실험군 1.33

확인 비교군 1.53

가슴 1 1.35 1.35 0.78 .385 실험군 5.39

압박 비교군 4.94

인공 1 0.01 0.01 0.12 .732 실험군 2.07

호흡 비교군 2.04

자동제세 1 0.00 0.00 0.00 .952 실험군 3.64

동기사용 비교군 3.62

순환 1 2.19 2.19 1.04 .316 실험군 3.39

재평가 비교군 2.82

통합성 1 0.00 0.00 0.00 1.00 실험군 1.06

비교군 1.06 표 5-2. 6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N=35)

참조

관련 문서

It means, reducing depression, increasing hope and family support are needed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 And the results of this

Therefore, it suggests that sensorial activities based performance play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playfulness and creative

Purpose: The Lee Jong-Wook Seoul Project, which began in 2011, is a training program that aims to educate faculty members of Lao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in medical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Voice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Creative Self-Efficacy and Change.. Self-Efficacy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The purpose of study are analyzing the effects of dance majors' self-managemen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elf-efficacy and concentration, In the future,

The program intervenes in self-efficacy, anxiety, and time-managing behavior, which respectively stands for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verified to a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