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가설 1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 술 반복교육군(이하 ‘실험군’)과 시뮬레이션기반 단일교육군(이하 ‘비교군’) 간의 지 식점수의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3) 중재 2주후 실험군 73.35, 비교군 74.95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 주후도 실험군 68.90, 비교군 70.83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은 기 각되었다.

표 3.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지식 평균 비교표

(N=35)

시점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2주

전체 1 0.02 0.02 0.05 .833 실험군 4.10

비교군 4.15

인식 1 0.15 0.15 0.63 .433 실험군 4.07

비교군 3.92

보고 1 0.04 0.04 0.12 .727 실험군 4.68

비교군 4.60

반응 및 1 0.81 0.81 0.59 .447 실험군 3.97

구조 비교군 4.32

디브리핑 1 0.42 0.42 1.34 .256 실험군 4.06

비교군 3.81

6주

전체 1 0.236 0.236 1.04 .316 실험군 3.92

비교군 3.73

인식 1 0.08 0.08 0.33 .572 실험군 3.86

비교군 3.75

보고 1 0.01 0.01 0.02 .894 실험군 4.68

비교군 4.60

반응 및 1 0.43 0.43 1.54 .223 실험군 3.93

구조 비교군 3.67

디브리핑 1 0.77 0.77 1.50 .230 실험군 3.62

비교군 3.28

2) 연구가설 2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자기 효능감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4)는 중재 2주후 실험군 4.10, 비교군 4.15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주후 는 실험군 3.92, 비교군 3.73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2는 기각되었다.

표 4.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평균평점 비교표 (N=35)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전체 1 4.95 4.95 1.10 .302 실험군 22.50

비교군 21.64

의식 1 0.00 0.00 -* - 실험군 2.00

확인 비교군 2.00

도움 1 0.92 0.92 0.79 .382 실험군 2.00

요청 비교군 1.88

맥박 1 0.21 0.21 2.69 .111 실험군 2.00

확인 비교군 1.82

가슴 1 0.78 0.78 0.55 .464 실험군 5.85

압박 비교군 5.51

인공 1 0.00 0.00 0.00 .936 실험군 2.51

호흡 비교군 2.52

자동제세 1 0.04 0.04 0.14 .714 실험군 3.78

동기사용 비교군 3.70

순환 1 0.31 0.31 0.13 .723 실험군 2.64

재평가 비교군 2.85

통합성 1 0.94 0.94 2.61 .116 실험군 1.73

비교군 1.35

3) 연구가설 3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해 중재 2주후와 6주후에 조사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수행 능력의 평균 차이를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표 5-1, 표 5-2, 표 5-3)는 중재 2주후 실험군 22.50, 비교군 21.64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재 6주후는 실험군 20.46, 비교군 20.04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 설 3은 기각되었다.

추가분석으로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사전, 2주후, 6주후에서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부록 4, 5, 6) 빈도분포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5-1. 2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N=35)

* 두 집단의 평균 표준편차가 같으므로 F-값을 계산할 수 없음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전체 1 1.16 1.16 0.10 .755 실험군 20.46

비교군 20.04

의식 1 0.22 0.22 1.94 .173 실험군 1.86

확인 비교군 2.04

도움 1 0.50 0.50 2.09 .158 실험군 1.73

요청 비교군 2.00

맥박 1 0.26 0.26 0.38 .543 실험군 1.33

확인 비교군 1.53

가슴 1 1.35 1.35 0.78 .385 실험군 5.39

압박 비교군 4.94

인공 1 0.01 0.01 0.12 .732 실험군 2.07

호흡 비교군 2.04

자동제세 1 0.00 0.00 0.00 .952 실험군 3.64

동기사용 비교군 3.62

순환 1 2.19 2.19 1.04 .316 실험군 3.39

재평가 비교군 2.82

통합성 1 0.00 0.00 0.00 1.00 실험군 1.06

비교군 1.06 표 5-2. 6주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평균 비교표

(N=35)

시점 변수

ANCOVA Least square

Mean 자유도 제Ⅲ유형

제곱합

평균

제곱합 F p 집단 평균

2주 분당평균압

박수(회/분)

1 638.19 638.19 5.05 .032 실험군 110.28 비교군 120.06

분당평균압 박깊이(mm)

1 6.26 6.26 0.10 .754 실험군 45.36 비교군 44.39

호흡 정확도 (%)

1 116.49 116.49 0.07 .793 실험군 46.77 비교군 50.95

6주 분당평균압

박수(회/분)

1 0.48 0.48 0.00 .950 실험군 114.78 비교군 115.05

분당평균압 박깊이(mm)

1 0.58 0.58 0.01 .944 실험군 43.00 비교군 43.29

호흡 정확도 (%)

1 6.61 6.61 0.01 .934 실험군 19.43 비교군 20.43 표 5-3. 시점별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술기 정확도 평균 비교표

(N=35)

4) 연구가설 4 : 시뮬레이션기반 기본소생술 반복교육군이 단일교육군보다 6주후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이 유지될 것이다.

가설 4을 검증하기 위해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대하여 반복측 정 분산분석한 결과(표 6-1) 모두에서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심폐소생술 지식(F=3.88, p=.03), 자기효능감(F=3.96, p=.03), 수행능력(F=61.92, p=.00) 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군과 비교군 각각의 시점별 차이를 사전-2주후, 2주후-6주후의 전후 평 균을 비교한 결과 심폐소생술 지식은 2주후-6주후에서 실험군(t=-2.08, p < .05), 비교 군(t= -2.18, p < .05)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은 사전-2주후에서 유의한 증가(t= 3.97, p < .05)를 보였으며, 비교군은 2주후-6주후에서 유의한 감소(t= -2.39, p < .05)를 보였다.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사전-2주후에서 실험 군(t = 9.75, p < .001)과 비교군(t = 8.07, p < .001)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2주후 -6주후에서는 실험군(t = -2.40, p < .05)과 비교군(t = -2.06, p < .05) 모두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그림 3-1, 3-2, 3-3).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하여 2주에서 6 주 사이의 차이평균값을 가지고 비교한 결과(표 6-2) 세 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아 가설 4는 기각되었다.

변수 집단

사전 2주 6주

소스 F p

M±SD M±SD M±SD

심폐소생술 지식

실험군

(n=18) 71.91±8.83 73.46±9.63 70.06±8.97 집단 시간 집단*시간

0.30 3.88 0.70

.589 .026 비교군 .499

(n=17) 75.49±11.46 74.84±7.38 69.61±12.90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실험군

(n=18) 3.86±.44 4.18±.39 4.03±.49 집단 시간 집단*시간

1.69 3.96 3.04

.202 .029 비교군 .062

(n=17) 3.85±.61 4.07±.81 3.61±.54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실험군

(n=18) 15.33±3.46 22.72±2.42 20.72±3.46 집단 시간 집단*시간

0.98 61.92

0.74 .329 .000 비교군 .479

(n=17) 15.47±3.04 21.41±1.77 19.76±3.36

표 6-1.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표

(N=35)

* p < 0.5

그림 3-1.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지식의 시점별 변화

* p < 0.05

** p < 0.001

그림 3-3.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시점별 변화

-2.09*

-2.18*

-3.97**

2.40*

-8.07**

2.40*

2.06* -9.75**

* p < 0.05

** p < 0.001

그림 3-2.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의 시점별 변화

* p < 0.05

그림 3-1. 실험군․비교군의 심폐소생술 지식의 시점별 변화

변수 실험군 (n=18) 비교군 (n=17)

t p

M±SD M±SD

심폐소생술

지식 -3.39±6.91 -5.23±9.91 0.64 .528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0.15±0.42 -0.46±0.80 1.48 .148

인식 -0.18±0.40 -0.22±0.56 -0.24 .809

보고 -0.31±0.62 0.32±0.75 -0.08 .939

반응 및 구조 -.01±0.48 -0.68±1.58 -1.73 .093 디브리핑 -0.39±1.02 -0.59±0.73 -0.66 .514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2.00±3.53 -1.65±3.30 -0.31 .762

의식확인 -0.11±0.47 -0.00±0.00 1.00 .331 도움요청 -0.28±0.67 0.12±0.49 1.99 .055 맥박확인 -0.61±0.85 -0.35±0.99 0.83 .415 가슴압박 -0.56±1.54 -0.47±1.59 0.16 .873 인공호흡 -0.50±0.62 -0.41±0.51 0.46 .649 자동제세동기 사용 -0.11±0.47 -0.12±1.05 -0.02 .981 순환 재평가 0.78±1.73 -0.06±1.52 -1.51 .139 통합성 -0.61±1.14 -0.35±0.86 0.75 .458 표 6-2. 실험군과 비교군의 2주-6주 사이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의 평균차이 비교표

(N=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