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및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교육의 제공시점을 다르게 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술기 수행능력뿐 아니라 의사소통, 리더십, 의사결정능력과 같은 비기술적 술기의 추가 사정이 필요 하다.

3) 심폐소생술 교육에서 술기교육 시에 술기 수행능력의 마스터리 수준이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경희, 이인숙(2005). 자기효능 증진 기본생명소생술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심정지 고 위험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5(6), 1081-1090.

강혜원, 허혜경(2010).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중환자간호학회지, 3(2), 66-76.

권말숙(2009).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수기에 미치는 효 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12), 3925-3930.

권말숙(2010).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 는 효과와 지속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222-228.

고종현(2007). 시뮬레이션 교육이 보건계열 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 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성숙, 김복자(2006). In-hospital utstein style에 의거한 일개 종합전문요양기관의 방 원 내 심폐소생술 분석. 임상간호연구, 11(2), 177-192.

김소연(2010). 반복학습의 기간차이가 학업성취도와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 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수홍, 김상희, 심정신(2007). 간호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및 교육효과 지속 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8(6), 496-502.

김윤희, 장금성(201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 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2), 245-255.

김진영, 전성숙, 김동희, 최송실(2008). 일부 일반병동 간호사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 한 지식, 태도 및 교육수혜 실태. 기본간호학회지, 15(2), 177-192.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 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6(4), 430-437.

김혜숙, 최은영(2012).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효과의 지속성. 한국 간호교육학회지, 18(1), 101-109.

대한심폐소생협회(2011). 공용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배포. 서울: 사단법인 대 한심폐소생협회.

박영례, 김혜숙, 차혜경(2010). 초등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수 행자신감. 한국보건학회지, 23(2), 133-142.

박요섭, 김영민, 이원재, 김한준, 김용범, 정원중, 김석환, 김윤희(2006). 임상실습과정 의과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와 강의식 재 교육이 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45-50.

박정미(2006). 자기주도적 학습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및 유지에 미치는 효과. 경북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2006).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 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8-13.

백미례, 이인수(2001).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5(5), 63-71.

백지윤(2006).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성태제(1996).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지학사.

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원, 최규일, 김윤정(2009). 임상 전 의학전 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및 술기 수행능력의 6개월 전후 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496-504.

양지승, 이규민, 강상진(2007).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 도 추정. 교육평가연구, 20(3), 147-167.

오수일, 한상숙(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90-94.

이숙희, 채명정, 김금란, 김은정, 하숙현(2010).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간호대 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 남대학교 간호과학, 15(1), 95-107.

이원웅, 조교종, 최석환, 유지영, 유지영, 유기철(2009).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후 목 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505-509.

이향련(1993). 당뇨병환자 집단교육의 효과 및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학회지, 23(2), 170-186.

임경춘(2011).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한국간호교육학 회지, 17(2), 246-258.

최향옥(2006). 심폐소생술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허혜경, 박소미(2012).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111-119.

홍정석, 안력, 김선휴,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2009).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 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지, 20(6), 609-614.

Abe, Y., Kawahara, C., Yamashina, A, & Tsuboi, R. (2013). Repeated scenario simulation to improve competency in critical care: Anew approach for nursing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2(1), 33-40.

Ackermann, A. D. (2009). Investigation of learning outcomes for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PR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with the use of high-fidelity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6), e213-e22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Bond, W. F. & Spillane, L. (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11), 1295-1298.

Cant, R, P.,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Carrero, E., Gomar, C., Penzo W., Fabregas, N., Valero, R., & Sanchez-Etayo, G.

(2009). Teaching basic life support algorithms by either multimedia presentations or case based discussion equally improves the level of cognitive skill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University of Barcelona, Spain.

Chamberlain, D., Smith, A., Woollard, M., Colquhoun, M., Handley, A. J., Leaves, S., & Kern, K. B. (2002). Trials, of teaching methods in basic life support:

Comparison of simulated CPR performance after first training and at 6months, with a note on the value of re-training. Resuscitation, 51(2), 179-187.

Cooper, J. B., & Taqueti, V. R. (2004).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 training.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1), i11-i18.

Delasobera, B. E., Goodwin, T. L., Strehlow, M., Gilbert, G., Souza, P. D., Alok, A., Raje, P., & Mahadevan, S. V. (2010). Evaluating the efficacy of simulators and multimedia for refreshing ACLS skills in India.

Resuscitation, 81(1), 271-223.

Hamilton, R. (2005). Nurses'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3), 288-297.

Hoadley, T. A. (2009). Learn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low- and high-fidelity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91-95.

Jeffries, P. R. (2005).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6(2), 96-103.

Kardong-Edgren, S. E., Starkweather, A. R., & Ward, L. D.(2008). The integration of simulation into a clinical foundations of nursing course: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5.

Kneebone, R. (2003). Simulation in surgical training: Educational iss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dical Education, 37(3), 267-275.

Lee, C. C., Im, M., Kim, T. M., Stapleton, E. R., Kim, K., Suh, G. J., Singer, A. J.,

& Henry, M. C. (2007). Comparison of traditional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course instuction vs. a scenario-based, performance oriented team instruction (SPOTI) method for korean paramedic students.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38(1), 89-92.

Leigh, G. T. (2008).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imulation and the levels of self0efficacy reported by nursing students.

The Frances Payne Bolton school of nursing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The degree of Doctor of Nursing Practice.

Lo, B. M., Devine, A. S., Evans, D. P., Byars, D. V., Lamm, O. Y., Lee, R. J., Lowe, S. M., & Walker, L. L. (2011). Comparison of traditional versus high-fidelity simulation in the retention of ACLS knowledge.

Resuscitation, 82(11), 1440-1443.

Madden, C. (2006).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cquisition & retention of CPR knowledge & skills. Nursing Education Today, 26, 218-227.

MaGaghie, W. C., Issenberg, S. B., Petrusa, E. R., & Scalese, R. J. (2006). Effect of practice on standardised learning outcomes i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0(8), 792-797.

Mieure, K. D., Vincent, W. R., Cox, M. R., & Jones, M. D. (2010). A high-fidelity simulation mannequin to introduce pharmacy students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4(2), 22.

Monhan, T. (2002). Simulation workshop in changi general hospital. Laerdal, 8-9.

Moule, P., Wilford, A., Sales, R., & Lockyer, L. (2008). Student experiences and mentor views of the use of simulation for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28, 790-797.

Mundell, W. C., Kennedy, C. C., Szostek, J. H., & Cool, D. A. (2013). Simulation technology for resuscitation training: A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uscitation, DOI10.1016/J.resuscitation.2013.04.016.

Norman, J. (2012).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ture o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The ABNFF Journal, 23(2), 24-28.

Nyman, J., & Sihvonen, M. (200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suscitation, 47(2), 179-184.

Oermann, M. H., Kardong-Edgren, S. E., & Odom-Maryon, T. (2011). Effects of monthly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CPR psychomotor skill performance, Resuscitation, 82(4), 447-453.

Perkins, G. D. (2007). Simulation in resuscitation training. Resuscitation, 73(2), 202-211.

Roh, Y. S., Issenberg, S. B., Chung, H. S., & Kim, S. S. (201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uscitation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s, 42(7), 1079-1086.

Roh, Y. S., Lee, W. S., Chung, H. S., & Park, Y. M. (2013).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resuscitation training on nurse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Nurse Education Today, 33(2), 123-128.

Shavit, I., Peled, S., Steiner, I. P., Harley, D. D., Ross, S., Tal-Or, E., & Lemire, A. (2010), Comparison of outcomes of two skills-teaching methods on lay-rescuers' acquisition of infant basic life support skills. The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7(9), 979-986.

Smith, K. K., Gilcreast, D., & Pierce, K. (2008). Evaluation of staff's retention of ACLS and BLS skills. Resuscitation, 78(1), 59-65.

Wayne, D. B., Butter, J., Siddall, V. J., Fudala, M. J., Wade, L. D., Feinglass, J., &

McGaghie, W. C. (2006). Mastery learning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kills by internal medicine resident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51-256.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에서 석사과정 중인 학생으로 간호학생의 심폐소생 술 교육효과와 지속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소생술 교육효과와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여 간호학생의 교육 효과(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자기효능감)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입니 다.

참여의 조건은 기본 인명구조술 자격증이 없는 사람에 한합니다.

자료조사의 절차는 심폐소생술 이론 강의 30분 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술기 훈 련 120분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2주후 사후조사 1, 6주후 사후조사 2를 실시할 것입 니다.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내용은 동일하며 질문지와 수행능력 평가지를 통해서 자료 를 조사할 것이며 질문지 작성에 소요되는 예상시간은 25분 정도이고, 수행능력평가는 5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이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귀하가 얻는 이점은 기본소생술을 배우고 익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귀하가 작성해 주신 설문조사의 내용과 연구결과는 오직 연구목적에 의해서만 사용 되며, 모든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됩니다. 또한 연구 참여와 관련하여 어떠한 비용도 발생되지 않으며, 연구 기간 중 언제라도 참여중단을 요청할 수 있고, 연구 참여에 동 의하지 않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참여 여부는 귀하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 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귀하가 제공해주신 소중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방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입니다.

연구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에 기재된 연락처로 연구자에게 문의하시면 언제 라도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바쁘신 가운데 협조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도교수: 허 혜 경 연 구 자: 정 지 수 올림 연 락 처:010-89**-****

E-mail :papaya****@hanmail.net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동의서

연구 참여 동의를 위한 설명문

연구 참여 동의서

본인은 연구자로부터 본 연구에 대한 목적, 내용, 참여절차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이해했습니다.

또한, 어떠한 비용도 발생하지 않으며, 연구 기간 중 언제라도 참여 중단을 요청할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이에 본인은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2013년 월 일

참여자 : (서명) 연락처 :

서 약 서

본인은 상기 프로그램에 기꺼운 마음으로 참여하였으며 끝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서약합니다. 또한 본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일체의 어떤 정보도 다른 학생들과 정 보를 교환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며 이를 어길 시에는 본 프로그램 참여를 포기하는 것 으로 간주하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습니다.

2013년 월 일

참여자 : (서명) 연락처 :

심폐소생술 지식을 묻는 질문지입니다.

본 질문지는 평가하기 위함이 아니고 성적과 전혀 관계가 없으며 연구에만 사용할 것이 오니 솔직한 응답 부탁드립니다.

다음의 문제를 읽고 옳다고 생각하는 번호에 ‘V’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잘 모르시면 추측하지 마시고 ‘잘 모르겠다’에 ‘V’ 표시해 주십시오.

부록 2. 설문지

1.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① 의식을 잃은 사람의 체세포에 산소를 공급해 주기 위해

② 심장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심장박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③ 심장의 박동이 멈춘 사람에게 자발순환이 빨리 회복되도록 하기 위해 ④ 이상 모두

⑤ 잘 모르겠다.

2. 성인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구조자가 주위에는 도움을 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무엇을 가장 먼저 하겠는가?

① 도움을 요청할 곳을 찾는다.

② 가슴압박 소생술을 2분 동안 시행한다.

③ 환자에게 다가가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④ 환자의 자세를 바로 누운 자세로 눕히고 머리 젖히고-턱들기를 시행하여 환자의 기도를 연다.

⑤ 잘 모르겠다.

3. 의식이 없는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전에 환자의 호흡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5~10초간 환자의 가슴의 오르내림이 있는지 관찰한다.

② 호흡운동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호흡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③ 입과 코 가까이에 귀와 빰을 대고 가슴을 보면서 보고-듣고-느낀다.

④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면서 얼굴과 몸통을 짧게 관찰하여 정상적인 호흡이 있는지 관찰 한다.

⑤ 잘 모르겠다.

4. 반응이 없는 사람이 나타내는 호흡 형태들 중에서 심정지 상태일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① 얕고 빠른 호흡 ② 깊고 빠른 호흡

③ 불규칙하고 매우 느린 호흡

④ 규칙적이지만 거친 호흡음을 내는 호흡 ⑤ 잘 모르겠다.

5. 반응이 없는 환자가 심정지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에 가장 먼저 시행하여야 할 것은?

① 2회의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② 30회의 가슴압박을 시행한다.

③ 머리 젖히기-턱 들기로 기도를 확보한다.

④ 다른 구조자에게 환자의 맥박을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시킨다.

⑤ 잘 모르겠다.

6. Bag-valve-mask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할 경우에 인공호흡이 적절하게 시행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① 청색증이 호전되는지 피부색을 관찰한다.

② 호기할 때 투명한 마스크에 김이 서리는지 관찰한다.

③ 청진기를 사용하여 절절한 호흡음이 들리는지 확인한다.

④ bag-valve-mask를 짤 때 가슴이 올라오고 놓을 때 가슴이 내려가는지 관찰한다.

⑤ 잘 모르겠다.

7. 가슴압박을 하기 전에 구조자가 확인해야 할 것은?

① 동공확장 ② 의식 없음 ③ 맥박 없음 ④ 호흡 없음 ⑤ 잘 모르겠다.

8. 헬스클럽에서 52세 남자가 쓰러졌을 경우 심정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맥박 촉진에 적절한 동맥은?

① 노동맥 ② 팔동맥 ③ 목동맥 ④ 넙다리 동맥 ⑤ 잘 모르겠다.

9. 가슴압박을 시행할 때 손을 올려 놓아야 하는 올바른 가슴 위치는?

① 명치의 바로 위

② 복장뼈(흉골의 위쪽 1/2) ③ 젖꼭지를 이은 선의 가운데

④ 가슴의 가운데, 복장뼈의 아래쪽 1/2 ⑤ 잘 모르겠다.

10. 무반응 상태로 침대에서 발견된 성인남성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에 ‘가슴압박 : 인공호흡’의 올바른 비율은?

① 50:2 ② 30:1 ③ 30:2 ④15:2 ⑤ 잘 모르겠다.

11.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가슴압박을 시행할 때 적절한 속도는?

① 분당 80~100회 ② 분당 약 100회 ③ 분당 100~120회 ④ 분당 약 102회 ⑤ 잘 모르겠다.

12. 성인에게 가슴압박을 시행할 때 적절한 가슴압박의 깊이는?

① 2.5~3cm ② 3~4cm ③ 4~5cm ④ 5~6cm ⑤ 잘 모르겠다.

13. 반응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 맥박을 확인할 때 촉지해야 하는 적절한 시간은?

① 5초 이내 ② 5~10초 이내 ③ 15초 이내 ④ 15~20초 이내 ⑤ 잘 모르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