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 - "

Copied!
40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연구보고 RR 2014-10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Ⅱ)

-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 -

연구책임자 _ 유 현 숙(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자 _ 이 정 미(한국교육개발원) 최 정 윤(한국교육개발원) 김 은 영(한국교육개발원) 김 민 희(대구대학교) 변 현 정(서울여자대학교) 최 보 금(서강대학교) 이 길 재(충북대학교) 연구 조원 _허 은(한국교육개발원)

김 윤 지(한국교육개발원) 김 지 연(한국교육개발원)

(4)
(5)

머리말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논의는 이제 이론적인 수준에서 벗어나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실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많은 연구들이 대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교수・학습과정 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학습참여도 및 만족도, 교 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상황, 대학의 교수・학습지원 체제 등

“교수・학습 역량”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한 대학교육 질 제고 전략 모색이 시급하다. 그러 나 그 동안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은 블랙박스로 간주되어 왔다. 성과중심의 대학평가를 강조하면서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심층 분석이 결여된 채 정부의 대학평가와 대학의 학사관리가 수행되어 왔다. 앞으로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연구 의 활성화와 데이터에 기반 한 질 관리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원은 2013-2017년간 5개년 계획으로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 략”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두 번째 해인 2년차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본원이 개발한 학생용 교수・학습과정 분석 도구인 NASEL과 교수용 조사도구 인 NAFET을 활용하여 전국규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대학에 서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을 얻었기에 지면을 빌어 다시 한번 감 사드린다. 특히 조사에 참여해 주신 62개 대학교의 42,673명의 학생들과, 올해 처음 시도 한 대학교수 대상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조사에 응해주신 10개 대학교 547명의 교수님 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특히 연구진은 학생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가능 하도록 도움을 주신 각 대학의 교수학습개발센터, 에이스 사업단, 교육평가 유관 부서의 관계자들께도 감사드린다. 이들과는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연구를 진행 할 것임을 약속드린다.

끝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충실히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2014년 12월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6)
(7)

연구요약

이 연구는 대학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을 통해 대학교육의 역량 및 질 제고를 위한 전 략을 모색하고자 5개년 계획(2013~2017년)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이 요약은 2차 년도 (2014)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올 2차 년도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4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고,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 및 활동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대학의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4년제 대학과 학생은 총 62개교의 42,673 명이며, 교수의 경우는 총 10개교의 547명이 응답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수・학습 질 관리 정책을 모색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대학교육 을 위한 최소 수준 또는 절대 수준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대학 역량을 평가하고, 대학 간 역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구성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6대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을 설정하 였다. 6대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은 1) 능동적・협력적 학습 활동(PCL: Posi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2) 교수-학생 상호작용(SFI : Student-Faculty Interaction), 3)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M-STL :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Major), 4)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L-STL :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Liberal Arts), 5) 교수・학습 성과(TLO :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6) 학생지원의 질 (QSS : Quality of Student Support) 이다.

(8)

▣ 2014년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현황

2014년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역 량진단기준 중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평균이 가장 높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 평균은 가장 낮았다. 따라서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계열별로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교육(사 범), 의・약, 예체능, 공학 계열의 평균이 높았고, 자연, 사회(상경), 인문계열의 평균이 낮 았다. 따라서 기초학문분야 학생들에 대한 교수・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전략 마련이 요 구된다. 셋째, 분석 결과 강의는 교수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및 학습태도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 고, 동시에 학생들의 활발한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마련될 필요 가 있다. 넷째, 수업 외 다양한 활동(프로젝트, 동아리, 취업・진로 스터디 등)에의 학생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내 영어강의의 양에 비해 질이 미흡하고, 학교의 국제화 노력 및 학생의 글로벌 역량 증진을 위한 자체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섯째, 학생들의 독서 및 글쓰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읽기・쓰기의 절대량이 부족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들이 근로 활동에 상당한 시간을 투입하고 있는데, 근로 활동으로 인한 학업 결손을 대다수가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학생들은 교내 구 성원과 관련해 선배 및 동료 학생 이외에 행정직원 및 조교, 각종 지원센터 상담자와는 교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아홉째, 교육 역량강화사업 및 학부교육선진화 사업(ACE) 참여대학이 미참여 대학에 비해 교수・학습 성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사업 참여 대학 및 대학교수들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가 필 요하다. 마지막으로 학기가 높아질수록 학생들은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교수-학생 상 호작용 및 교수・학습 성과(상호작용 및 성과는 8학기 이상 제외) 평균이 높은 반면, 낮은 학기의 학생들은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및 학생지원의 질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

▣ 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 변화 추이(2011-2014년간의 시계열 분석)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로 살펴보면 첫째,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분석 결과는 복 합적으로 나타났다.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는 반면, 협력적 학 습활동은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나 문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스터디 활동이 전반 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교수-학생 상 호작용은 상호작용 증진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저조하였다. 따라서 교수, 학생에 대한 면담이나 설문조사를 활용한 후속연구를 통해 적절한 제도적 지원이나 프로그램이 마련 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의 교수・학습성과와 관련하여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통한 만 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 해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이루어지는 대학의 영어 전용 강의는 매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의의 성과와 관련해서는 뚜렷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글로벌 역량 중 인지 적 역량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수용하고, 타 문화에 수용적인 태도를 기르는 것이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정책 마련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학비 부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근로활동과 학생이 체감하 는 교수・학습에 미치는 근로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는 뚜렷한 결론이 내려지지는 않았다. 다만, 학생의 근로활동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점, 선행 연구에서 근 로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관계가 밝혀졌음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요구된다.

▣ 대학공시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생의 교수・학습 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변인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교수・학습 역량진단 기준을 과정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능동 적・협력적 학습활동,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 용, 학생지원의 질과 같은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은 모두 교수・학습성과와 유의미한 상 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공부시간이 많을수록, 대학

(10)

교 평균 학점이 높은 학생일수록 교수・학습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남학 생에 비해 교수・학습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시간이 많을수록 교수・학 습성과는 낮아지고, 장학금은 증가할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교수・학습성과가 높아졌다.

계열별 분석을 보면, 인문계열에 비해 사범계열이나 의약계열의 학생들이 교수・학습성과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학계열, 자연계열 학생들의 경우 인문계열에 비해 교수・학습 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 수준의 변수들과 교수・학습성과와의 관계를 보 면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이 높은 경우가, 교수 1인당 학생비율이 높은 경우가 교수・학 습성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교원 강의 비중이 높은 경우가 학습성과가 낮게 나타났다는 점은 후속 연구가 필요한 과제다. 교육역량강화사업 및 ACE 사업의 참여 여 부는 교수・학습성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 계적 선형모형(HLM)을 통한 분석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증명되었다. 이로써 한국교육개 발원이 개발한 NASEL은 교수・학습 역량진단을 위한 바로미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 라서 대학교육 역량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강조 및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의 적 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하여 지방대학의 교수・학습성과 제고 방안 마 련, 대학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의 효과성 평가도구로써 NASEL 활용, 여학생 의 교수・학습성과 제고를 위한 지원, 계열별 교수・학습성과의 차이 해소를 위한 방안 마 련 적정 수준의 학자금지원 정책 운영 등이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 교수들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인식 및 활동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 인식 및 활동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다 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교수들은 가장 많은 시간을 연구 활동에 소요하고 있 어, 수업 준비, 학생들의 과제나 시험 채점 또는 그에 대한 피드백을 위한 시간이 매우 부 족하였다. 그러나 교수들은 자신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활동이라는 점 을 인식하고 있어 역할과 실제 사이의 갈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수들이 연구 활동만큼 교수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교수활동(teaching)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을 분석한 결과 ACE 사업 참여 대학의 교수 인식 및 활동이 참여하지 않은 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11)

ACE 사업의 효과가 교수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은 다른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에 비해 낮은 수준이므로 이를 강 화하기 위한 대학 기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시급하다. 특히 교수 개인의 특성에 따라 교 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을 분석한 결과 교육경험이 적을수록, 직위가 낮을수록, 60대보다는 50대가 학생과의 빈도 높은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수 와 학생 간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상당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호작 용 경험, 그리고 학내의 다양한 지원 체제에 대해 학생과 교수 간의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향후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의 개선 방향 및 방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 NASEL과 대학 내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 및 대학단위 활용방안

지방의 사립대학을 사례대학으로 하여 NASEL에 참여한 결과와 대학 내 데이터와의 연 동을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은 p<.05 이상의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동적・협력적 학습 활동과 학생지원의 질,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과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교수-학생 상 호작용과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회 귀분석 결과 D대학 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으로 나타났고,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CTL 참여 간 상관분석에서는 모든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CTL 참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대학의 분석결과 대학단위의 교수・학습 질 관리를 위 한 담당기구 설치, 대학 자체평가에의 NASEL 도구 활용, 대학 차원의 학습성과 목표치 설정, 교수・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CTL 기능 확대 및 학내・외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성과 확산 등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12)

▣ 정책 제언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는 정부와 대학이 수행해야할 과제를 단 기와 중장기로 나누어 제시한다. 먼저 단기 과제로 정부 차원에서는 1) 교수・학습 역량진 단기준의 설정 및 활용을 통한 교수・학습 질 관리 전략 도모, 2)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데이터 구축 및 활용체제 지원, 3) 대학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학습성과 제고 방안 마련, 4) 정부의 학부교육 선진화 사업(ACE 사업) 및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 평가를 위한 NASEL 활용, 5) 국제비교 및 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6) 학부 교육 선진화 사업(ACE 사업) 참여 대학 교수들의 교수 활동 및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위한 지원을 제시하였다. 대학 차원에서는 7)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활성 화 전략, 8)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극대화 전략, 9)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기존 프로그 램의 효과성 제고, 10)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를 줄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 11) 대학 차원의 교수・학습역량 성과 목표치 설정, 향상도 중심의 성과 평가를 제시하였다.

중장기 과제로는 정부 차원에서 12) 교수・학습과정 조사 및 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학・

연・대학 협의체 간 연계체제 구축, 13) 대학생의 학비부담 및 근로활동과 교수・학습성과 관계에 대한 지속적 연구, 14) 학생의 개인적 배경을 고려한 교수・학습성과 제고를 위한 지원 필요를 제시하였다. 대학 차원에서는 15) 글로벌 역량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질 제 고 전략, 16) 교수들의 교수활동(teaching) 지원을 위한 행・재정 지원, 17)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통한 교수・학습 지원, 18) 대학 단위의 교수・학습 관련 데이터 활용 및 공유를 위 한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19) 교수・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개발센터(CTL)의 기 능 확대 요구, 20) 대학의 유관기관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교수・학습 역량 제고 전략의 수립 및 시너지 효과 도모를 제시하였다.

❑ 키워드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생지원의 질, 학생참여

(13)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5개년 연구 설계(2013~2017) 6

3. 2차 년도(2014)의 연구 내용 12

4. 2차 년도(2014)의 연구 방법 15

Ⅱ. 이론적 배경 21

1. 대학의 교수・학습 개념 및 구성 요소 23

2. 대학의 교수・학습 조사도구 개발 관련 연구 27

3. 1차 년도 연구 요약 및 1, 2차 년도 연구 비교 55

Ⅲ.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분석 조사 도구 61

1. 4년제 대학생용 63

2. 4년제 대학 교수용 88

3. 전문대학 학생용 110

Ⅳ.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현황 및 변화 추이 121

1. 2014년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일반현황 123

2. 교수・학습경험 시계열 분석(2011-2014) 152

3. 종합 및 시사점 172

(14)

V. NASEL과 대학공시정보를 활용한 대학생의 교수・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183

1. 분석개요 및 방법 185

2. 분석 결과 192

3. 종합 및 시사점 200

Ⅵ. 교수들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인식 207

1. 교수의 교수ᐧ학습과정 인식 및 활동 분석 209

2.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교수 및 학생 간 차이 241

3. 종합 및 시사점 267

Ⅶ. NASEL과 대학 내 데이터와의 연계분석 및 활용방안 271

1. 분석개요 및 방법 273

2. 대학의 교수・학습역량 분석사례 275

3. 시사점 및 종합논의 296

Ⅷ. 요약 및 정책 제언 303

1. 요약 305

2. 정책 제언 310

참고문헌 331

ABSTRACT 339

(15)

부 록 345

[부록 1] 2014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지 347 [부록 2] 2014 대학 교수・학급과정에 관한 교수용 설문조사지 362

[부록 3] 설문조사 표집을 위한 대학 가이드라인 374

[부록 4] 교수・학습경험 시계열 분석(2011~2014) 문항별 응답 분포표 378

(16)
(17)

표 차 례

<표 Ⅰ-1>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5개년 연구 설계 10

<표 Ⅰ-2> 연구내용별 방법 제시 19

<표 Ⅱ-1> NSSE 삭제 및 추가 문항 28

<표 Ⅱ-2> AUSSE의 척도 32

<표 Ⅱ-3> 교양전담기구 설치 전문대학 명단 35

<표 Ⅱ-4> CCSSE의 설문조사 문항 44

<표 Ⅱ-5> 유관조사도구의 설문영역 비교 48

<표 Ⅱ-6> 유관조사도구의 세부 문항 구성 비교 49

<표 Ⅱ-7> 최근 3년간 FSSE 참여 기관 수, 교수 수, 평균 응답률 51

<표 Ⅱ-8> HERI 교수 설문 구성 53

<표 Ⅱ-9> HERI 교수 설문 주제 54

<표 Ⅱ-10> SSES 설문문항 55

<표 Ⅱ-11> 1차 년도 연구와 2차 년도 연구의 차이점 58

<표 Ⅲ-1> 2014 조사도구 보완을 위한 연구진 협의회 내용 64

<표 Ⅲ-2> 2014 조사실시를 위한 조사도구 수정・보완 사항 65

<표 Ⅲ-3> 2014 교수・학습과정 질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세미나 프로그램 68

<표 Ⅲ-4> 2014년도 설문조사 시행 대학의 특성에 따른 현황 70

<표 Ⅲ-5> 2014년 학생 교수・학습과정 설문조사 대학별 응답 결과 71

<표 Ⅲ-6> 응답자 배경별 현황 분석 74

<표 Ⅲ-7>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요인분석 결과 78

<표 Ⅲ-8>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요인분석 결과 79

<표 Ⅲ-9>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요인분석 결과 81

(18)

<표 Ⅲ-10> 교수-학생 상호작용 요인분석 결과 82

<표 Ⅲ-11> 학생지원의 질 요인분석 결과 83

<표 Ⅲ-12> 교수・학습성과 요인분석 결과 85

<표 Ⅲ-13> 2014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86

<표 Ⅲ-14> NAFET, NASEL, FSSE, 그리고 HERI 교수 설문 문항 비교 90

<표 Ⅲ-15> 전문가 검토 의견 표 97

<표 Ⅲ-16> 분야별 전문가 구성 99

<표 Ⅲ-17> 교수설문 전체 구성에 대한 계열별 전문가 검토 결과 101

<표 Ⅲ-18> 교수설문 전체 문항 구성에 대한 교육연구 전문가 검토 결과 102

<표 Ⅲ-19> 개별 설문 문항에 대한 수정・개선 제안 103

<표 Ⅲ-20> 교수 설문 조사 영역 및 내용 106

<표 Ⅲ-21> 2014년도 교수 설문조사 시행 대학의 특성에 따른 현황 108

<표 Ⅲ-22> 교수 설문조사 응답자 현황 109

<표 Ⅲ-23> 교수 응답자 배경별 현황 분석 110

<표 Ⅳ-1>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현황 125

<표 Ⅳ-2>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현황 126

<표 Ⅳ-3>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현황 128

<표 Ⅳ-4> 교수-학생 상호작용 현황 129

<표 Ⅳ-5> 학생지원의 질 현황 130

<표 Ⅳ-6> 교수・학습성과 현황 131

<표 Ⅳ-7> 수업 중 활동 현황 133

<표 Ⅳ-8> 영어 강의 수업 현황 134

<표 Ⅳ-9> 과제나 리포트 작성에 관한 글쓰기 태도 현황 134

<표 Ⅳ-10> 읽기・쓰기 분량 현황 135

<표 Ⅳ-11> 수업 외 활동 현황 136

<표 Ⅳ-12> 근로 활동에 할애하는 시간 현황 137

<표 Ⅳ-13> 근로 활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137

<표 Ⅳ-14> 대학 및 학과 추천 의사 138

<표 Ⅳ-15> 학내 구성원과의 관계 현황 139

(19)

<표 Ⅳ-16> 학생 지원에 대한 강조점 현황 139

<표 Ⅳ-17>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41

<표 Ⅳ-18>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44

<표 Ⅳ-19>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45

<표 Ⅳ-20>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46

<표 Ⅳ-21> 학생지원의 질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49

<표 Ⅳ-22> 교수・학습성과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151

<표 Ⅳ-23>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기술 분석: 2011-2014 154

<표 Ⅳ-24>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기술 분석: 2011-2014 156

<표 Ⅳ-25>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기술 분석: 2011-2014 158

<표 Ⅳ-26> 교수-학생 상호작용 기술 분석: 2011-2014 159

<표 Ⅳ-27> 학생지원의 질 기술 분석: 2011-2014 161

<표 Ⅳ-28> 교수・학습성과 기술 분석: 2011-2014 163

<표 Ⅳ-29> 수업 중 학습활동 기술 분석: 2011-2014 165

<표 Ⅳ-30> 수업 외 학습활동 기술 분석: 2011-2014 167

<표 Ⅳ-31> 영어 강의 경험 기술 분석: 2011-2014 168

<표 Ⅳ-32> 각종 자기계발 활동 기술 분석: 2011-2014 169

<표 Ⅳ-33> 다양성 경험 기술 분석: 2011-2014 170

<표 Ⅳ-34> 근로(취업 및 아르바이트)활동‘주당 15시간 이상’응답률: 2011-2014 172

<표 Ⅳ-35> 대학 및 학과에 대한 ‘긍정적’ 태도 응답률: 2011-2014 172

<표 Ⅴ-1> 투입 변수 명 및 변수 설명 191

<표 Ⅴ-2>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194

<표 Ⅴ-3>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195

<표 Ⅴ-4> 위계적 선형 모형의 ICC 값 198

<표 Ⅴ-5>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HLM 분석 결과 199

<표 Ⅵ-1>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중요도 현황 210

<표 Ⅵ-2>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학생 수행 인식 현황 211

<표 Ⅵ-3> 전공 교수・학습 구성 현황 212

<표 Ⅵ-4> 교양 교수・학습 구성 현황 213

(20)

<표 Ⅵ-5> 교수-학생 상호작용 현황 214

<표 Ⅵ-6> 학생지원의 질에 대한 강조점 현황 215

<표 Ⅵ-7> 교수・학습성과 현황 216

<표 Ⅵ-8> 소속 대학의 교수활동(연구, 교육) 지원에 대한 인식 218

<표 Ⅵ-9> 소속 대학의 학생에 대한 인식 218

<표 Ⅵ-10> 소속 학부・과 교육목표 수립 및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인식 219

<표 Ⅵ-11> 일주일의 시간 활용 220

<표 Ⅵ-12> 활용 교수 방법 현황 221

<표 Ⅵ-13> 활용 평가 방법 현황 222

<표 Ⅵ-14> 능동적ᐧ협력적 학습 중요도의 대학 및 교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23

<표 Ⅵ-15> 능동적ᐧ협력적 학습활동 수행 빈도의 대학 및 교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26

<표 Ⅵ-16> 전공 수업 운영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27

<표 Ⅵ-17>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29

<표 Ⅵ-18> 학생 지원의 질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31

<표 Ⅵ-19> 교수・학습성과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33

<표 Ⅵ-20> 소속 대학의 교수활동 지원에 대한 인식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35

<표 Ⅵ-21> 소속 대학 학생에 대한 인식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37

<표 Ⅵ-22> 소속 학부・과 교육목표 수립 및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인식의 배경변인별 하위집단 간 평균 차이 239

<표 Ⅵ-23> 능동적ᐧ협력적 학습 중요도 및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3

<표 Ⅵ-24> 전공 교수ᐧ학습 구성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차이 247

<표 Ⅵ-25> 교양 교수ᐧ학습 구성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차이 250

<표 Ⅵ-26>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차이 252

<표 Ⅵ-27> 학생지원의 질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54

<표 Ⅵ-28> 학습성과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56

<표 Ⅵ-29> 다른 학생과의 교류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0

<표 Ⅵ-30> 글쓰기 활동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2

<표 Ⅵ-31>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3

(21)

<표 Ⅵ-32> 비교과 활동 참여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4

<표 Ⅵ-33> 수업태도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5

<표 Ⅵ-34> 영어강의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266

<표 Ⅶ-1> D대학교 기관별 보유 데이터 예시 274

<표 Ⅶ-2> 연도별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평균 비교 276

<표 Ⅶ-3>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간 상관분석(2014) 277

<표 Ⅶ-4> 교수・학습성과(TLO) 세부 변인 277

<표 Ⅶ-5> 교수・학습성과(TLO) 영향요인 변수별 기술통계 (N=244) 278

<표 Ⅶ-6> 회귀분석결과(전체 교수・학습성과) 279

<표 Ⅶ-7> 교수・학습성과별 회귀분석결과 280

<표 Ⅶ-8>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CTL 참여 간 상관분석(2013 자체조사) 282

<표 Ⅶ-9>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CTL 참여 간 차이분석(2013 자체조사) 283

<표 Ⅶ-10> A단과대학 2013 대학 자체조사 응답자 배경변인 285

<표 Ⅶ-11> A단과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배경변인 간 상관분석 286

<표 Ⅶ-12> A단과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CTL 참여 간 차이분석 287

<표 Ⅶ-13> A단과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수시전형별 차이분석 289

<표 Ⅶ-14> A단과대학 학생들의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분석 290

<표 Ⅶ-15> A단과대학 학생들의 교양,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분석 292

<표 Ⅶ-16> A단과대학 학생들의 학생지원의 질 분석 292

<표 Ⅶ-17> A단과대학 학생들의 교수・학습성과 분석 293

<표 Ⅶ-18> A단과대학 학생들의 학습성과(교수・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294

(22)
(23)

그림차례

[그림 Ⅱ-1] 3P 교수・학습 모형 25

[그림 Ⅱ-2] 교수・학습과정의 구성 요소 26

[그림 Ⅱ-3] 문항 수정 현황 30

[그림 Ⅱ-4] 참여지표 31

[그림 Ⅱ-5] 실무과제 해결에 기반한 수업 33

[그림 Ⅱ-6] 연도별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비율 37

[그림 Ⅱ-7] 4년제 대학 대비 전문대학생의 중도 탈락율 38

[그림 Ⅱ-8] 대학 신입생들의 가구소득 분포 42

[그림 Ⅱ-9] 교수-학생통합보고서(FSSE-NSSE combined report) 구성예시 52

[그림 Ⅱ-10] 2013 교수・학습역량 진단기준 56

[그림 Ⅲ-1]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과정 71

[그림 Ⅲ-2] 2014년 대학생 학비충당 방법 76

[그림 Ⅲ-3]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스크리 도표 78

[그림 Ⅲ-4] 전공 교수・학습 만족도 스크리 도표 80

[그림 Ⅲ-5] 교양 교수・학습 만족도 스크리 도표 81

[그림 Ⅲ-6] 교수-학생 상호작용 스크리 도표 82

[그림 Ⅲ-7] 학생지원의 질 스크리 도표 83

[그림 Ⅲ-8] 교수・학습성과 벤치마크 스크리 도표 85

[그림 Ⅲ-9] 전문대학 설문도구 개발 과정 111

[그림 Ⅳ-1]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간 평균 차이 124

[그림 Ⅴ-1] 교수・학습성과 변수의 분포도 193

[그림 Ⅴ-2] 교수・학습성과 변수의 Q-Q 분포도 193

[그림 Ⅵ-1] 수업과제 협력 학습의 중요도 및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4

(24)

[그림 Ⅵ-2] 수업과제 타 수업 수강생과의 협력 학습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5 [그림 Ⅵ-3] 고차원적 사고력 증진의 중요도 및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5 [그림 Ⅵ-4] 학습내용 공유의 중요도 및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6 [그림 Ⅵ-5] 종합적 사고 활동의 중요도 및 빈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6 [그림 Ⅵ-6] 전공 교수ᐧ학습 구성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48 [그림 Ⅵ-7] 교양 교수ᐧ학습 구성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51 [그림 Ⅵ-8]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53

[그림 Ⅵ-9] 학생지원의 질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55

[그림 Ⅵ-10] 교수ᐧ학습성과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59

[그림 Ⅵ-11] 다른 학생과의 교류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61

[그림 Ⅵ-12] 글쓰기 활동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62

[그림 Ⅵ-13]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64 [그림 Ⅵ-14] 비교과 활동 참여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65

[그림 Ⅵ-15] 수업태도에 대한 교수-학생 간 차이 266

[그림 Ⅶ-1] A 단과대학 특성 284

[그림 Ⅷ-1]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312

[그림 Ⅷ-2] 학내 데이터 연계방안(안) 329

(25)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5개년 연구 설계(2013~2017) 3. 2차 년도(2014)의 연구 내용 4. 2차 년도(2014)의 연구 방법

(26)
(27)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대학교육 경쟁력 제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어떠한 방식으로 경쟁력을 제고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 가운데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대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교육의 성과를 제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교수・학습의 질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의 경쟁력 제고는 매 우 중요하며, 정책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교수・학습 현황 분석을 통한 질 제고 방안 탐색 이 중요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역량”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제고가 요구된다. 해방 이후 한국의 고 등교육은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을 이루어 대학교육의 대중화 단계를 넘어 보편화 단계 (universal access)에 이르렀다. 이제는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대학교육 정책에 주력 해야 할 시점이다. 근래 대학교육 경쟁력에 대한 논의와 초점은 대학이 얼마나 잘 가르쳐 서 학생들의 역량을 증진시키는가 하는 데 문제가 있다. 그간 대학교육의 경쟁력은 교수 들의 연구물 산출을 중심으로 한 연구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는 연구 산출도 중요하지만, 가르치는 역량 즉, 교육역량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제 고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대학교육이 개인적 차원에서나 국가적 차원 에서 고비용을 요하는 현실 속에서, 대학 교육의 책무성 증대 요구와 맥을 같이한다. 이러 한 추세에 부응하여 대학교육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교육역량이 있는 잘 가르치는 대학 육성 정책으로 강화되었고, 대학들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반성 적 사고를 하기 시작하였다(김영섭, 2009). 구체적으로 정부는 그간 “대학교육역량강화”

라는 명칭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해 대학의 교육력 강화를 지원하였고, 학부교육을 선진화 하기 위한 재정지원 사업인 ACE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김병주 외, 2008, 2009; 백성준・

(28)

채창균, 2009).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대학들도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의 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다. 대학교수・학습개발센터의 기능과 역할의 강 화를 통하여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 과정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기도 하고(조형 정 외, 2009), 교수의 교육활동 관련 지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수업적평가 제도를 개 선하고 있다. 또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통해 학습 성과를 제고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제도 개편 및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대학 차원의 노력은 교수・학습과정이 운영되는 실상에 관한 데이터가 구체적으로 뒷받침되고, 이에 의해 운영될 때 더욱 효과적인 사업이 될 수 있다.

둘째, 투입요인 중심의 대학교육 평가가 교육 과정 및 성과 중심의 평가로 강조점이 전 환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 대학평가를 위한 지표들은 인적・ 물적 그리고 재정적 투 입요인에 치중되어 왔다. 그러나 투입요인 중심의 대학평가는 제한적인 대학평가라고 할 수 있다. 성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평가 결과에 따라 교수・학습과정 질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가 어려워진 다. 근래 많은 연구들은 대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과정과 학습성과 사이에는 불가 분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투입 또는 여건 중심의 대학 평가가 교육의 과정 및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국내적으로나 국외적으로 꾸 준하게 제기되고 있다(성태제 외, 2009; 이영 외, 2008; 최정윤・이병식, 2009; 유현숙 외, 2010: 유현숙 외, 2013). 이러한 맥락에서 이미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들은 대학 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해 전국 규모의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대학교육의 과정 개선 및 교 육의 질 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투입위주의 대학교육을 지양하 고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데이터 확보를 통해 교육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지향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 수립 및 성과 중심의 대학평가 체제 구축을 위해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정부는 근래 대학교육의 역량 강화, 잘 가르치는 대학, 특성화, 구조개혁 등 다양한 명목으로 대학 재정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각각의 사업들은 고유한 사업목적이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지표들을 통해 사업단을 평가해야 한 다. 그러나 이들 사업은 대부분이 유사한 여건과 투입지표를 활용하여 사업단을 선정하고 있으며,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 지표와 교수・학습과 관련한 질적 지표는 충분하게 반영

(29)

되고 있지 못하다. 그간 운영하였던 교육역량강화사업도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관한 지표들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고, 잘 가르치는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부교육 선진화 사업 역시 교수・학습 역량에 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앞으로 정부의 고등재정지원 사업 지원을 위해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데이터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정보는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 사업의 계획 수립과 성 과평가 및 대학의 자체평가를 지원하여, 대학평가를 성과중심적인 평가체제로 재정립하 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부 재정지원사업의 지원 대학 선정 시 취업률이 많이 사용되지 만, 대학의 1차적인 성과는 학생들의 학습성과 증진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학 교육 성과로서 증진된 학생들의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성과를 학생들의 역량의 증진으로 보고 이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역량 측정 도구 개발 및 조사 실시, 결과 분석 등을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결과 분석을 통해 정부나 대학이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 한 정보를 얻기 힘들다는데 문제가 있다. 더욱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정 보가 빈약하기 때문에 평가결과에 기초한 전략 수립은 어려운 과제다. 성과중심의 대학평 가체제를 구축하여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 제공은 물론, 대학 자체평가를 위한 정보를 위 해서는 학습성과 정보와 함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과정 하위요인에 대한 자료 와 정보의 수집 그리고 지속적인 관련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의 자체컨설팅을 위해 대학의 교수・학습과 관련된 정보가 중요하게 고려되어 야 한다. 대학들은 정보공시법에 의한 대학평가의 실시나, 각종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 참 여에 따른 자체 진단의 목적으로 자체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앞으로의 대학의 자체컨 설팅은 이러한 필요에 의해 수동적으로 실시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대학의 강점과 약점 을 진단함으로써 대학발전을 도모하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을 스스로 모색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정보공시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는 대학 자체평가는 그것이 대학교육의 질과 연계되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명목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자체평가 역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고려가 매우 미흡하다는 데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교육역량 기준이 없는 평가, 다른 대학과의 상대적 비교가 어려운 평가, 교수・학습 주체인 학생과 교수들의 의견반영이 미흡한 평가 등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앞으로 대학의 자체 컨설팅은 교수・학습과정의 양대 주체인

(30)

학생과 교수들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 교수・학습과정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평가, 교수・학 습 결과로 증진된 학생들의 역량을 중시하는 평가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 질 관리 전략을 통한 대학교육 성과 제고가 필요하다.

대학교육의 성과가 교수・학습과정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수・학습 과정의 규명 및 질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대학교 육의 질 관리가 과정 변인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도 문제지만, 데이터에 기반하지 못하 고 이론적 접근과 담론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는 데도 문제가 있다. 이는 대학의 교수・

학습과정이 개별 대학수준을 벗어나, 국가적 차원에서 데이터가 확보되고 지원전략이 모 색되지 못하였다는 점에도 어느 정도 원인이 있다. 즉, 대학 간 상호 비교 및 국제적 추이 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 질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국 규모의 데이터가 시 계열에 따라 수집되고 분석되고, 이 데이터가 교수・학습 데이터와 취업률, 학업성적, 학 생역량 조사 결과 등과 연동하여 분석됨으로써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지원할 필요가 있 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대학 교육의 질 개선 전략이 장기적이고 전국 규모의 조사를 통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모색되지 못하였다. 또한 대학의 교수・학습에 대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도 미흡하였다.

이상에서 제기한 필요성들은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 질 관리가 이론적 논의에서 벗어나 데이터에 근거해 이루어짐으로써 대학교육 과정의 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 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함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전국 규모의 실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대학교육 역량을 평가하 고, 대학 차원과 국가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5개년 연구 설계(2013~2017)

이 연구는 5개년(2013~2017) 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설계되었으며, 올해(2014년)는 2 차 년도 연구에 해당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교수・학습의 질 제고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 조사 도구를 개 발하고, 개발된 조사 도구를 토대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며, 조사결과를

(31)

다각적・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학과 정부차원에서 수행하기 위한 교수・학습 질 제고 전 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 연구 추진 방향

5개년 동안의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조사 대상을 다양화하고, 조사 도구의 타당화 및 분석 방 법을 정교화해 나간다. 조사 대상은 4년제 대학생, 교수, 전문대학생, 대학원생 등으로 다 양화하고, 조사 도구는 연도별로 축적된 데이터를 pooling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 를 실시하며, 분석 방법은 전년도 분석결과를 피드백 하여 정교화한다.

둘째, 대학 기능 및 유형별 교수・학습 전략 차별화에 기반한 대학 컨설팅 활성화 및 다 각화를 꾀한다. 4년제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에 따라 그 특성을 반영한 조사도구를 활용 함으로써 차별화된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 컨설팅 대상을 확대 및 활성화하고 컨설팅 방법을 다각화한다.

셋째, 대학 교수・학습 과정의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의 강화를 추구한다. 매년 조사대상 대학을 확대하고 KEDI-개별 대학-대학교육협의체 간 교류 및 지원의 질을 높 임으로써 교수・학습의 현황분석 및 질 개선을 위한 협력 체제를 구축한다. 또한 미국, 호 주, 일본 등 교수・학습조사 및 연구기관과의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협력 연구 및 글로벌 동향분석을 위한 정보를 공유한다.

나. 연도별 연구내용

이와 같은 연구 추진 방향을 토대로 하여 5개년 동안 수행하는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1차 년도(2013) :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개발

○ 중점 추진 부문은 4년제 대학 조사이며, 중점 추진 활동은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 진단기준 개발이다.

(32)

○ 2011-2012년 본원에서 기 개발한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 여 “2013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47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 고,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의 현황 및 특성, 학습성과 영향 요인, 교수・학습과정 변화 추이, 우수 대학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 과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의 기초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 신규로 교수 대상의 교수・학습과정 조사 도구 개발에 착수하여 조사 영역을 구분하 고 각 영역별 문항을 개발하였다.

2) 2차 년도(2014) : 4년제 대학 교수・학습 역량진단

○ 중점 추진 부문은 4년제 대학생 조사와 교수 조사이며, 중점 추진 활동은 교수・학 습 역량 현황 및 질 제고 방안 수립이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대학생 대상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4년 대학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62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전년도에 기 개발한 교수 대상의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4년 교수 대상 교 수・학습과정 (예비)조사”를 1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신규로 전문 대학생 대상의 교수・학습과정 조사 도구 개발에 착수하여 조사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별 문항을 개발하였다.

○ 4년제 대학생 본 조사 및 교수 예비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4년제 대학의 교수・학 습과정 현황 및 특성, 교수-학생 간 인식 차이,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 교수・학 습과정 변화 추이, 대학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다 체계화된 교수・

학습 질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3) 3차 년도(2015) : 대학 유형별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 4년제, 전문대학

○ 중점 추진 부문은 4년제 대학 조사 및 전문대 조사이며, 중점 추진 활동은 대학 유 형별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이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대학생 대상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5년 대학생 대상

(33)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60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교수대상의 예비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5년 교수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6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전년도에 기 개발한 전문대학생 대상의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5년 전문대 학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예비)조사”를 1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신규로 대학원생 대상의 교수・학습과정 조사 도구 개발에 착수하여 조사 영역을 구 분하고 각 영역별 문항을 개발한다.

○ 4년제 대학생 및 교수 대상 본 조사 및 전문대학생 예비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4년 제 대학의 교수・학습의 현황 및 특성, 교수-학생 간 인식 차이, 학습성과 영향요 인, 교수・학습과정 변화 추이, 우수 대학 사례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의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를 정비하고, 대학 유형별 교수・학 습 질 제고 방안을 도출한다.

4) 4차 년도(2016) : 대학 유형별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 4년제, 전문대학, 대학원

○ 중점 추진 부문은 4년제 대학 조사, 전문대 조사, 대학원 조사이며, 중점 추진 활동 은 기 개발된 대학의 유형별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의 다양화 및 고도화이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대학생 대상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6년 대학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70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교수대상 예비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6년 교수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7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전문대학생 대상의 예비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6년 전 문대학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5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전년도에 기 개발한 대학원생 대상의 조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2016년 대학원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예비)조사”를 1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 4년제 대학생 및 교수, 전문대학생 대상 본 조사 및 대학원생 예비 조사 결과 분석 을 통해 4년제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의 교수・학습의 현황 및 특성, 교수-학생 간

(34)

인식 차이, 학습성과 영향요인, 교수・학습과정 변화 추이, 우수 대학 사례 등을 분 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 유형별 다양한 교수・학습 질 제고 방안을 도출한다.

5) 5차 년도(2017)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에 기반한 컨설팅 다각화

○ 한국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종합적 대안 모색에 초점을 두고 대학유형 별 교수・학습의 특성을 종합 및 비교하고,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에 기반한 대학 유형별 교수・학습 전략 차별화 및 컨설팅 활동의 다각화를 도모한다.

○ 전년도에 기 실시한 조사도구들을 수정・보완하여“2017년 대학생, 교수, 전문대학 생, 대학원생 대상 교수・학습과정 (본)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대상 대학 수는 4년 제 80개교, 교수 80개교, 전문대 60개교, 대학원 50개교이다.

○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4년제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의 교수・학습의 현황 및 특성, 교수-학생 간 인식 차이, 학습성과 영향요인, 교수・학습과정 변화추이, 우수 대학 사례 등을 분석하고, 아울러 대학의 기능 및 유형별 교수・학습 특성을 비교한다.

○ 대학유형별(4년제, 전문대학, 대학원) 교수・학습 전략을 차별화하고 대학 컨설팅을 다각화하며, 향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의 발전 방향 및 질 제고 방안을 종합적으 로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도표화 하면 아래와 같다. 음영으로 표시한 부분이 올 해 다루 어진 연구내용이다.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연구

제목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부제 (주안점)

◦대학의 교수・학 습 역량진단기준 개발

◦4년제 대학 교 수・학습 역량진

◦대학 유형별 교 수・학습 역량 평 가(체제) 다양화:

4년제, 전문대학

◦대학 유형별 교 수・학습 역량 평 가(체제) 다양화:

4년제, 전문대학, 대학원

◦교수・학습 역량 진단기준에 기반 한 컨설팅 다각화

<표 Ⅰ-1>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5개년 연구 설계

(35)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이론적 분석

◦4년제 대학 교수・

학습과정 개념 정립

◦4년제 조사도구 타당화(요인분석)

◦전문대 교수・학 습과정 개념 정립

◦교수 및 전문대 조사도구 타당화 (요인분석)

◦분석방법 정교화

◦대학원 교수・학 습과정 개념 정립

◦대학원 조사도구 타당화(요인분석)

◦분석방법 정교화 -

-

◦분석방법 정교화 -

-

◦분석방법 정교화 조사

도구 개발

◦4년제(보완)

◦교수(신규)

◦4년제(보완)

◦교수(보완)

◦전문대(신규)

◦4년제(보완)

◦교수(보완)

◦전문대(보완)

◦대학원(신규)

◦4년제(보완)

◦교수(보완)

◦전문대(보완)

◦대학원(보완)

◦4년제(보완)

◦교수(보완)

◦전문대(보완)

◦대학원(보완) 예비

조사 - ◦교수(10개교) ◦전문대(10개교) ◦대학원(10개교) - 본 조사

(목표 치임)

◦4년제(47개교) ◦4년제(62개교) ◦4년제(60개교)

◦교수(60개교)

◦4년제(70개교)

◦교수(70개교)

◦전문대(50개교)

◦4년제(80개교)

◦교수(80개교)

◦전문대(60개교)

◦대학원(50개교)

분석 (조사 도구별

공통)

◦교수・학습과정 일반 현황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PCL/SFI/M-STL/L-STL/QSS/TLO)・주요문항별 빈도 분석

◦집단 간 교수・학습과정 차이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대학특성・개인배경변인별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t/F 검정)

◦교수의 교수・학습과정 인식 및 활동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주요문항별 빈도 분석

◦집단 간 교수 인식 및 활동 차이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대학특성・교수개인배경변인별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t/F 검정)

◦교수-학생 간 교수・학습과정 인식 차이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주요문항별 빈도 분석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 개인배경 변인, 학습과정 변인, 대학 특성 변인의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위계적 선형모형)

◦교수・학습과정 변화 추이(2011-2017)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연도별 특성(평균 및 편차) 분석 - 학습과정 요인별 변화 추이 분석

◦우수 대학 사례 분석

- 대학유형별 교수・학습 현황 및 특성 - 대학유형별 NASEL 자료 활용 사례 분석

◦대학의 기능 및 유형별 교수・학습 특성 비교(2017년) - 4년제/전문대/대학원 교수・학습 특성 비교

(36)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홍보 및 네트 워크 구축

◦국내

-KEDI-CTL 교 수・학습 워크샵

◦국외

-KEDI 국제 포럼

◦대교협, 전문대 교협과의 협의회

◦국내

-교수・학습과정 질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 력 강화 세미나

◦대교협, 전문대 교협과의 협의회

◦국내

-KEDI-CTL 교 수・학습 워크샵 -ACE 참여 대학

워크샵 -학술대회 세션

구성 및 발표

◦대교협, 전문대 교협과의 협의회

◦국내

-KEDI-CTL 교 수・학습 워크샵 -ACE 참여 대학

워크샵 -학술대회 세션

구성 및 발표

◦국외

-ASHE 또는 AIR Conference 발표

◦대교협, 전문대 교협과의 협의회

◦국내

-KEDI-CTL 교 수・학습 워크샵 -ACE 참여 대학

워크샵 -학술대회 세션

구성 및 발표

◦국외

-ASHE 또는 AIR Conference 발표

◦대교협, 전문대 교협과의 협의회

대학 교수・

학습 질제고

전략 컨설팅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설정 및 수준 제시를 통한 질 관리 전략

◦교수・학습과정의 주요 특징 분석을 통한 자체 컨설팅

◦교수・학습과정의 강・약점 분석을 통한 질 관리 전략

◦대학 및 학생 특성을 반영한 교수・학습 질 관리 전략

◦대학 내 유관기관 활용을 통한 교수・학습 개발 활성화 전략

◦교수・학습 데이터의 효과적 활용 전략

◦대학의 교수・학습 진단을 통한 자체평가 방안 등 정부

정책 수립 지원

◦대학 교수・학습과정 데이터 구축 및 활용 지원 방안

◦대학교육역량 강화 및 대학평가 방안

◦대학재정지원사업 활용 방안

◦대학교육 역량 국제비교 지원 등

3. 2차 년도(2014)의 연구 내용

2차 년도 연구 내용은 기 개발된 설문지1)를 활용하여 “2014년 한국 대학생의 교수・학 습과정 조사”를 통한 현황을 분석하고,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예비조 사를 실시하며,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과정 조사를 위한 조사 문항을 개발 하고,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대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영역별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본원에서 수행한 ‘한국 대학생 학습과정 분석연구(Ⅰ,Ⅱ, Ⅲ, 2010~2012)’를 통해 개발한 조사도구 (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이하 NASEL로 표기)를 활용함.

(37)

가.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보완 및 신규개발 1) 4년제 대학생용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

- 전년도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NASEL) 문항 일부 보완 - NASEL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실시

- NASEL의 타당화 작업 완료

2) 교수 대상 교수・학습 조사도구(NAFET)2) 개발

- 교수 대상 조사도구(NAFET) 문항 일부 수정 보완 - NAFET 타당화 작업 완료

3) 전문대학생 교수・학습 조사도구 개발

- 전문대학 학생용 교수・학습 조사 관련 선행도구 분석 - 전문대학생용 교수・학습과정의 특징 분석

- 전문대학생용 교수・학습과정 조사 영역 및 문항 개발

나. 대학의 교수・학습과정 현황 및 변화 추이 분석 1) 2014년 교수・학습 현황 개관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현황 - 교수・학습과정 주요 특징별 현황 - 시사점 분석

2) 교수・학습과정 시계열 분석(2011~2014)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추이

2) 연구진은 교수용 조사도구를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의 앞자를 따 NAFET으로 명명하 고, 이하 NAFET으로 표기함.

(38)

- 교수・학습과정 주요 특징별 현황 - 시사점 추출

다. NASEL과 대학공시정보를 활용한 대학생의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회귀분석

- 교수・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HLM 분석

-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 및 학생배경 요인분석을 통한 시 사점 추출

라. 교수들의 교수・학습과정 인식 및 활동 분석 1) 교수의 교수・학습과정 인식 및 활동 분석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현황 - 교수활동 일반 현황

- 대학 및 교수 배경 특성에 따른 교수 인식 및 활동 차이

2)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교수 및 학생의 인식 차이

-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별 문항

- 기타 교수・학습 주요 특징별 인식의 차이

3) 교수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인식 및 활동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역량 강화 방안 추출

마. NASEL과 대학 내 데이터와의 연계분석 및 활용방안

1) 대학 전체 차원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학생배경 요인별 현황분석

2) 단과대학 차원의 교수・학습 역량진단기준과 학생배경 요인별 현황분석

(39)

3) 대학차원 및 단과대학 차원의 교수・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대안제시

바. 요약 및 정책 제언

- 대학의 교수・학습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단기 및 중장기, 정부차원의 과제 와 대학차원의 과제로 구분하여 제시

4. 2차 년도(2014)의 연구 방법

가.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

교수・학습과 관련된 이론・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보완한다. 특 히 올해 개발에 착수한 전문대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을 추 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문대학의 교수・학습과정의 특징, 전문대학 학생들 의 배경, 주요국의 전문대학 교수・학습과정 분석을 위한 도구 내용 분석 등을 실시하였 다. 또한 올해 예비조사를 실시한 대학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과정 조사 도구와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및 관련 이론을 검토하여 보완하였다.

나.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 유관 부서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세미나 개최

개별 대학들의 교수・학습개발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교수・학습 관련 전문 지식을 활용 하고, 학생・교수 대상의 교수・학습과정 조사과정에 협조 체제를 마련하고자 교수・학습개 발센터(CTL: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및 유관부서(대학 효과성 센터, 대학평 가인증원, 대학혁신센터 등)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교수・학습개발센터 관계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과정 조사에 관한 협조를 의뢰하고, 교수・학습과정 조사 데이터의 대학 활용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대학의 교수・학습 질 관리 를 도모하는 방안을 찾고자 ‘교수・학습과정 질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세미나’

를 개최하였다. 올해에는 대학효과성센터, 기타 대학 평가 유관부서 및 전문대학 관계자 까지 참석 대상 범위를 확대하였다. 세미나는 5월 16일(금)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포스트

(40)

타워(서울 중앙우체국) 10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학의 교수・학습개발센터 또 는 유사 업무부서 담당자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하였다. 세미나 자료집은 별도로 발간되 었다3).

세미나 실시 후 학생 대상 설문조사와 교수 대상 설문조사를 CTL의 협조 아래 실시하 였으며, 대학별 데이터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다. 전문가 협의회

대학 교수・학습 관련 전문가 및 전문대학 교육 및 교수・학습과정 관련 전문가들과 협의회 를 개최하여 교수・학습 조사도구의 수정 및 보완 사항, 조사 실시 및 조사 결과, 분석결과에 따른 질 관리 전략 모색을 위한 논의를 실시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에 반영하였다.

라. 전문가 검토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설문도구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차례 에 걸쳐 대학 교육 및 연구 전문가를 통하여 설문문항 구성의 포괄성, 타당성, 표현의 명 확성에 관하여 검토를 받았다. 1차 전문가 검토는 4명의 교수를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였 으며, 여기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하여 설문도구를 수정한 후, 타당화 검토 도구를 활용 하여 11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마. 설문조사 실시

1) 4년제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

○ 2014년도에 참여대학의 확대 및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전국의 4년제 대 학 CTL(대학교수・학습개발센터) 및 유관 부서 담당자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 여 조사의 기본 취지 및 내용을 설명하고, 참여 대상 대학과 향후 조사를 위한 수행 과제에 대해 상호논의 하였다.

3) 한국교육개발원(2014). 교수・학습과정 질 제고를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세미나 자료집. 2014. 5. 16.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자동차 냉방장치는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 로 기체 → 액체 → 기체로 상태변화가 일어나는 냉매를 순환시켜 증발기에서 증

・ 이러한 지향점을 강조하는 이유는 교수・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인 접근보다 지향하는 바를 뚜렷이 하는 교수・학습법이 효율적이기 때문.. 교수학습

– 컴퓨터에 기반한 교수 학습 환경은 수학적 대상과 관계의 형식적 표현을 다룰 수 있다는 점과 학습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함으 컴퓨터에 기반한 교수 학습

센서로 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에 의해 ECU가 연산작업 실시, 슬립 상태를 판단 하고 ABS 작동여부가 결정되면, ECU의 제어 Logic에 의하여 밸브와 모터가 작동 되면서

학계 서울대 이태호 교수 서울대 최영찬 교수 안양대 김동환 교수 경남대 김종덕 교수 전문가 농경연 장철수 선임연구위원 김태곤박사 언론계 농수축산신문 발행인

전통적으로 교사에게 부여되었던 역할(지식의 전달자이며 학습의 최종적 평가자)을 학습자에게 이양한다는 것이다. 둘째, 매우 다양한 인지적 능력들을 지니고 있다.

위의 두가지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첫째,일반적인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은 제재곡 중심으로 음악을 학습하기

○ 일반계 고등학교에 적용할 통합과학 중심의 창의적인 STEAM 수업모델 및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영재학급과 연계된 창의적인 STEAM 수업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