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 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요 약"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서론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정책환경의 변화] 정책 패러다임이 증거기반(evidence-based policy)으로 전환 되고, 데이터 경제의 부상, 디지털 뉴딜의 등장 등으로 정책의 효과성과 실효성 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데이터 활용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

∙ [기술환경의 변화] 기술의 개방성은 높아지고, 보편화되고 있으며, 누구나 쉽 게 다양한 데이터에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데이터 활용 역량(Data Literacy)’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짐

∙ [사회환경의 변화] 투명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향하고, 국민소통과 사회 적 참여 확대 등 상향식 문제해결 방식이 대두되며, 지역의 문제를 협력적으로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사회혁신이 추진

∙ 시대가 급변함에 따라 기술 및 데이터 활용환경도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정책 기초자료의 개발 및 다양화 필요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현실감 있는 정책 발굴 및 추진을 위해 국민의 일상생활을 파악할 수 있는 공공 및 민간 빅데이터(국민활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지역 단위의 사회 경제적 특징을 세분화·유형화 한 새로운 지역통계 구축

∙ 국민의 생활패턴 및 경제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발굴하여, 공간정보 와 융합한 소지역 단위의 정책 기초자료를 개발하고, 누구나 쉽게 지역의 특성 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개발

∙ 국민의 거주·이동 특성과 경제적 특성을 소지역 단위로 분석·유형화하는 방법 론을 정립하고,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 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의 활용 확대방안 모색

요 약

SUMMARY

(2)

vi

2. 국민활동 데이터와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개발 의의

□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소지역 단위로 쉽고 간단하게 파악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빅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융합 활용하여 생산한 통계 데이터(지표) 및 해당 정보 탐색을 위한 기술서비스를 통칭

∙ ‘지리인구통계’ 방법론1)을 적용하여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지역 유형화·세분화 통계자료 개발

∙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Exploratoty Data Analysis)을 위해 관심 지역의 특성 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역통계 자료 관련 정보서비스 기능 설계

□ 국민활동 데이터 기반의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개발 의의

∙ (데이터 생산 관점) 국민의 이동 및 경제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민간 빅데이터 를 활용하여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추정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 (데이터 구축방법 관점) 특정 시점에 측정된 정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시간적 개 념과 흐름(flow)이 포함된 동적 데이터로 구축

∙ (데이터 활용방법 관점)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이 가능하며, 빅데이터를 잘 다룰 수 없어도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 제공

∙ (정책적 효과 측면) 데이터 활용역량(Data Literacy)의 격차를 줄이고 디지털 접근성을 높여 포용적 디지털 경제를 지향

3. 국내외 사례 분석

□ 영국 CDRC의 오픈 지오데모그래픽(Open Geodemographics)

∙ 영국의 소지역 단위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하여 인구 총조사에서 집계 된 60개 변수를 활용한 OAC(Output Area Classification) 구축·공개

1) 지리인구통계(Geodemographics)는 ‘사람들이 사는 장소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분석하는 것’으로, 사람이 사는 장소에 대한 많은 변수(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공간적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론

(3)

∙ 전국을 8개의 Supergroup, 26개의 Group, 76개의 Subgroup으로 유형화·세 분화한 통계자료를 웹 기반 인터랙티브 지도로 시각화하여 제공

자료: CDRC Maps: 2011 OAC. https://maps.cdrc.ac.uk/#/geodemographics/oac11/default/ (2020년 3월 3일 검색) 그림 1 | 영국 CDRC에서 제공하는 OAC 인터랙티브 지도

□ 일본 ‘다이내믹 지오데모그래픽(Dynamic Geodemographics)’ 개발

∙ 공간정보와 인구 활동에 관련된 민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의 새로운 다 이내믹 지오데모그래픽 개발 추진

∙ 휴대전화의 이동 이력을 바탕으로 인구분포에 대한 빅데이터와 다양한 공간정 보를 융합하여 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추정하고, 변화하는 지역의 인구 속 성을 파악

□ 소비자 타겟팅 활용 목적으로 다양한 기업에서 상용 지리인구통계 생산

∙ 민간에서는 ACORN, MOSAIC, PSYTE-HD, Patchwork nation 등 다양한 지리인구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며, 공공 센서스자료와 오픈 데이터, 민간 빅데이터 등을 다양하게 융합 활용하여 지속적인 유형화 방법 개선을 도모

(4)

viii

□ 공공, 민간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을 유형화·세분화 하여 공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공간을 새로운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는 도구 제공

∙ 민·관 데이터 공유와 활용 저변 확대 등으로 공공 분야에서의 지리인구통계 구 축 및 활용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랙티브 지도 등 개방형 플랫폼을 통 해 분석 결과를 공개하여 국민의 정책적 관심과 참여를 유도

∙ 인구·사회·경제적 지표를 반영하여 목적에 맞게 지역을 유형화할 수 있는 지리 인구통계 자료의 구축이 필요하며, 구축된 자료에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탐색 할 수 있는 정책 기초자료 및 도구개발 필요

4. 국민활동 데이터를 이용한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개발

□ 국민활동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사람의 거주와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경제활동 관 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250m 격자단위로 지역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세분화

∙ 사람의 거주·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KT의 유동인구 데이터를, 경제적 특 성 파악을 위해 KCB 데이터 등 민간 빅데이터를 융합 활용(<표 1> 참고)

∙ 지역의 거주 환경 및 상업 시설 현황 등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건축물의 주용도 와 노후도 등을 분석에 활용

∙ 그 밖에 1인가구 현황, 사업체 종사자 수, 카드지출 행태 등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파악에 필요한 정보이지만, 표준화된 격자단위 데이터로 구축이 불가능한 데이터는 해당 지역을 이해하는 보조 변수로 활용

□ 지역유형화를 위해 지리인구통계 모형 중 하나인 K-means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시범분석하고, 해당 결과를 인터랙티브 리포트와 같이 정보탐색 이 가능한 기술적 환경으로 구축

∙ 1차 분석에서는 사람의 이동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셋과 경제활동을 나타내 는 데이터셋으로 구분하여 지역 군집화를 수행하고 결과를 해석

∙ 2차 분석에서는 1차 분석 결과를 토대로 두 데이터셋을 위치기반으로 융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지역을 유형화

(5)

구분 데이터 유형 및 출처 데이터

시점 항목명 항목 정의

민간 데이터

유동인구/

서비스인구 (SKT)

2018년 6월

~ 2019년 5월

성별 유동인구 일단위 Snapshot으로 집계된 성별 유동인구 의 월 평균

연령대별 유동인구

일단위 Snapshot으로 집계된 연령대별(유소년인 구,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 유동인구의 월 평균 평일-공휴일별

유동인구

일단위 Snapshot으로 집계된 평일/공휴일 유 동인구의 월 평균

근로형태·소득정보 (Korea Credit Bureau, KCB)

2019년 9월

월평균 소득(추정) 은행 및 카드사 등록 고객의 월 평균(추정) 소득 급여소득자 은행 및 카드사 등록 고객 중 급여소득자 현황 자영업자 은행 및 카드사 등록 고객 중 자영업자 현황 소비 정보

(BC카드)

2018년 6월 ~

2020년 5월 업종별 지출현황 자택 주소지 기준의 BC카드 회원의 업종별 카 드 지출 현황(2018년 6월 ~ 2020년 5월)

공공 데이터

사업체 종사자 (통계청, 전국사업체

조사 2018)

2018년 산업분류별

종사자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체의 종사자 수 가구 수 및 1인가구 수

(통계청, 인구주택총 조사 2018)

2018년 1인가구 비율 집계구 단위 총 가구 수 대비 1인가구 수 비중

인구통계 (2019 국토조사,

행정안전부)

2019년 10월

주민등록인구 통계

연령별(유소년인구,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 주민등록인구 및 고령인구비율 통계 건축물 통계

(2019 국토조사, 국토지리정보원)

2019년 10월

노후건축물 통계 지역 내 노후건축물(25년 이상) 통계 용도별

건축물 통계

지역 내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등), 단독주택, 상업시설, 공업시설 통계

자료: 저자 작성

표 1 | 지리인구통계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 항목

□ 사람의 이동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

∙ 주민등록인구와 이동통신사의 유동인구 데이터, 그리고 건물 용도를 구분할 수 있는 건축물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K-means 군집분석 수행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요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정주 지역 특성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지역 유형화에 유동인구 변수보다 건물용도 비율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남

□ 경제활동 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

∙ 생산자원(인구밀도, 연령별 인구구조), 생산활동의 유형(급여소득자/자영업자 비 율), 경제활동 분배 결과(월 추정소득)을 융합하여 K-means 군집분석 수행

(6)

x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요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중심 부의 활력지역과 외곽의 은퇴자 지역, 변두리의 관심지역 등의 특성이 나타남

이동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 경제활동 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

자료: 저자 작성

그림 2 | 이동특성과 경제활동 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결과

□ 국민의 이동과 경제활동 특성을 융합한 지역유형화 분석

∙ 사람의 이동과 경제활동 특성을 고려한 지역유형화 분석에 사용된 변수를 결합 하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의 군집이 관찰되었 으며, 제 1군집과 제 5군집은 각각 2개와 3개의 세부 군집으로 재분류

- 군집 1은 대체로 거주인구(주민등록인구)와 인구의 흐름(유동인구) 모두 낮은 지 역이며, 세부 군집 1-1의 경우 자영업자 비율과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세부 군집 1-2는 근로소득자 비율이 높고 노후건축물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 - 군집 2는 모든 연령대의 거주인구가 가장 많고 아파트 비율이 높고 추정소득도

높은 지역

- 군집 3은 유동인구가 많고, 상업용 건물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

- 군집 4는 고령인구 비율이 가장 높으나 유동인구와 건물은 매우 적은 지역

(7)

- 군집 5는 대체로 건물 수가 많은 단독주택 밀집 지역으로, 세부 군집 5-1은 그 룹내 추정소득이 상대적으로 높고 근로소득자 비율이 높고, 세부 군집 5-2는 고령인구 비율이 다소 높고 단독주택과 노후 건축물 비율이 전체 군집 중 가장 높으며, 군집 5-3은 그룹내 상대적으로 유동인구는 많고 거주인구수는 적고 상 업시설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

자료: 저자 작성

그림 3 | K-Means 군집분석에 따른 지리인구통계 그룹 분류

(8)

xii

∙ 1인가구 비율을 함께 살펴보면, 군집 3(도시의 삶이 모이는 곳)에 해당하는 격자 와 겹치는 집계구의 평균 일인가구 비율이 약 54.18%로 가장 높은 반며, 군집 2(안정적 삶을 영위하는 가구) 지역은 1인가구 비율이 가장 낮음

∙ 대전광역시에 도매 및 소매업을 비롯한 금융 및 보험업 등 다수의 산업 분류가 군집 3에 집중되어 있으며, 유동인구가 많고 상업용 건물이 많은 도심에 분포

∙ 업종별 카드매출 분석결과, 대부분 군집에서 생활업종의 비율이 가장 높으나, 군집 3의 경우 음식 업종 지출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동인구가 많은 상업지역 및 1인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으로 추정

□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자료는 방대한 양의 정보에서 지역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결과 및 관련 지표를 데이터 탐색이 가 능한 도구로 제공하여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소지역 단위의 지역특성 파악

∙ 정책실무자와 국민에게 원본 데이터를 제공하여도 데이터 분석전문가 외에는 누구나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활용하고 의미 있는 정보(insight) 도출에는 한계

∙ 정책실무자와 국민이 데이터에 근거한 정책적 소통과 데이터 활용 확대를 위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도출하는 보편적 데이터 활용기술 (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인터랙티브 리포트로 설계

자료: 저자 작성

그림 4 |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인터랙티브 리포트(시범 구축)

(9)

5.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활용방안

□ 공공부문에서의 활용방안

∙ (중앙정부 차원) 다양한 정책 발굴 및 모니터링 도구로서, 상시적인 지역의 경 제활력 및 민생경제 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 지역의 변화 및 정책(혹은 사업) 추진으로 인한 영향 분석 등에 활용

∙ (지자체 차원) 지역맞춤형 정책 컨설팅 도구로서, 개별 지역정보를 바탕으로 정책 목적에 따른 대상 지역·시장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특성을 고려한 정책 상 품 발굴 및 전달 채널 전략 수립에 활용하여 지역경쟁력 제고

∙ (도시재생사업/지역개발사업 발굴 및 성과 모니터링)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 석도구는 체감도 높은 사업을 발굴하고, 주민참여를 통한 계획 수립을 위한 기 초자료 및 소통지원, 사업의 성과를 모니터링하는 도구 등으로 활용 가능

□ 민간부문에서의 활용방안

∙ (상권분석) 유동인구 및 소득/소비 데이터 등 지역분석 및 상권분석의 기초가 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목적의 상권분석 및 마케팅 도구로 활용 가능

∙ (소통도구) 일반 국민들의 사회적 참여 기회 확대 및 협력적 지역문제 진단 및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데이터에 기반한 소통도구로 활용 가능

□ 개방형 지리인구통계 분석도구 활용 확대를 위한 추진과제

∙ (거버넌스 구축) 공공과 민간의 빅데이터 융합 활용을 통해 창출되는 시너지 효 과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표준화, 지속적 유지관리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민 간과 공공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필요

∙ (콘텐츠 개발) 기존의 통계자료에서 도출하지 못한 국민활동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 생산되는 여러 가지 자료를 검토하여 지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발굴·콘텐츠 개발 필요

∙ (정보활용 생태계) 정보로 새로운 정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보활용 선순 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며, 다양한 스토리와 융합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생 태계 활성화가 필요

참조

관련 문서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은, 한편으로 공공정보 이용을 촉진하거나 공공부문 이 직접 빅데이터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국민의 실질소득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며, 국가가 자유무역 및 공정한 시장제도 아래에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할

한국인터넷진흥원 해당 문자메시지로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피해 및 피해자를 예방하기 위해 악성앱 발견, 신고 시 인터넷서비스 사업자(ISP)를

◦ 그러나 여전히 주요 수출품목이 가공식품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 서 수출품목을 신선농산물 등으로 다양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수 출 유망품목 발굴, 수출시장 정보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지속적으로 농업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민간 부문 특히 생산자와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간의 공동 협력의 결과로 자금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이 자료에는 화학회사나